HERI 칼럼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HERI 2014. 11. 12
조회수 5448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지 알고 있다.”


1307271463_00393963101_201106061-300x199.jpg영화는 대한민국 텔레비전의 음식 관련 프로그램이 어떻게 제작되는지를 파헤친다. 이를 위해 이 영화 김재환 감독은 경기도 일산에 아예 식당을 차렸다. 그 식당에는 거울 뒤마다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평범한 식당은 브로커와 홍보대행사와 외주제작사와 방송사 제작진을 번갈아 만나면서 맛집으로 변신한다. 이 과정에서 식당 주인은 이리저리 돈을 건네고, 브로커는 가짜 메뉴를 만들고, 연기자 지망생인 가짜 손님들은 맛 없는 가짜 음식을 먹으면서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리는 연기에 열중한다.


김 감독은 전직 엠비시 피디다. 친정인 방송사들의 내부를 사정없이 내보인다. 결국 1천만원을 들여 에스비에스 ‘생방송 투데이'에 맛집으로 등장했다. 방송이 나오는 그 날, 식당은 문을 닫았다. 2년 동안의 프로젝트가 끝나는 순간이었다.


티브이 맛집 방송은 왜 거대한 사기극이 됐을까. 방송 피디 개인의 비윤리성 때문은 물론 아니다. 협찬으로 매출을 극대화하려는 외주제작사의 비윤리성 때문만도 아니다. 외주제작사에 저가로 프로그램을 발주하고는 책임은 나 몰라라 하는 거대 공중파 방송사에 큰 책임이 있지만, 그들을 비난한다고 문제가 풀리는 것도 아니다. 그들 모두는 거대한 사슬 속에 있다.


광고시장은 줄어들어 프로그램 제작비용 절감 압력이 더욱 거세진다. 비용절감을 위해 방송사는 핵심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외주를 선호한다. 그렇지 않아도 경영사정이 열악한 외주제작사는 비용절감을 위해 빠듯한 일정으로 제작을 마쳐야 하니 약간의 조작은 불가피하다. ‘가 봤는데 맛집이 아니더라’고 하고 발길을 돌리기엔 시간이 없다. 브로커를 통해 식당을 섭외하고, 연기자 지망생을 앉혀야 한다.


원청업체(방송사)의 시청률 압박도 거세다. 시청자는 점점 더 감각적인 것을 찾는다. 좀 더 화끈한 메뉴를 찾아내야 하고, 안 되면 가짜 메뉴를 ‘개발'하도록 해서 눈길을 끌려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또 조금만 프로그램 질을 높이려 해도, 추가 수입을 확보해야 한다. 출연하는 식당들로부터 소액의 협찬을 받는 것 쯤이야 프로그램 질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조처라고 생각할 법도 하다.


이 모두가 합쳐져 거대한 사기극은 완성된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문제는 맛집 방송에서 끝나지 않는다. 방송 전체, 방송사 경영 전반에 걸쳐 있다. 모두가 자신의 뜻과는 상관 없이 협박전과 사기극에 가담한다.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들이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면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다. 방송광고시장은 변함이 없는데, 쪼개먹어야 할 사업자는 두 배로 늘어난다. 거대 광고주인 대기업들은, 손 하나 까딱 않고 간접광고 효과를 누리게 될 것이다. 그런 힘을 갖지 못한 기업은 미디어에 접근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우리에게 ‘트루맛쇼'를 강요하는 빅브러더는 누구인가? 저널리즘 가치보다 기업의 생존과 이윤창출을 앞에 놓는 미디어 기업의 경영 행태다. 특히 민영방송인 종합편성채널 출범을 앞두고 성찰해야 할 대목이다.


그래서 미디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요구된다. 미디어 기업은 ‘저널리즘의 공적 가치’라는 사회적 책임이 기업으로서의 경제적 책임보다 앞서야 하는 조직이니, 여기 걸맞은 경영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특히 민영방송인 종편 출범을 앞두고 성찰해야 할 대목이 미디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이다. (관련 보고서 링크) 사회책임경영 관련 국제 보고지표를 만드는 지아르아이(GRI)에서는, 주요 광고주 매출비중까지도 공개해야 한다는 미디어 기업 사회책임경영 지표 초안을 만들어 두고 작업 중이다. 외주제작사 같은 협력업체에 대해 어떻게 대하는지, 시청자 안전을 위한 장치는 어떻게 마련해 두고 있는지, 편집과 영업은 어떻게 분리되어 있는도 경영의 주요 이슈다. 사회책임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이런 내용 모두를 낱낱이 대중에게 공개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규제당국과 시민사회가 미디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을 적극적으로 요청해야 한다.


사실 시청자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시장에서 벌어지는 어느 모순이나, 사슬의 맨 끝에는 소비자가 있기 마련이다. 시청자는 가해자이면서 곧 피해자다. 감각적 콘텐츠만을 찾지 말고, 광고주의 협찬을 받는 미디어를 거부하고, 독립언론의 가치를 지키는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다행히 트루맛쇼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이 거세다. 트위터에서는 <트루맛쇼>(@truetasteshow) 계정이 인기이고, 마이크로카페 ‘쇼파'(showfar.kr)에는 맛쇼놀이' 팬클럽도 생겼다고 한다. 독립영화치고는 입장객도 많다. 한 달 만에 1만명에 육박하는 관객을 모았다.


사실 소비자가 좋은 콘텐츠를 위해 주머니를 열지 않고서는  광고주의 압박과 협찬의 유혹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소비자가 자신이 지지하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미디어를 직접 주머니를 열어 후원하게 될 때, 문제는 자연스레 풀린다.


좋은 세상을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인터넷 창을 열고, 점심 한 끼 값인 ‘트루맛쇼’ 표를 예매하자. 광고주에 휘둘리지 않는 미디어를 원한다면, 그 미디어를 지갑을 열어 구독해야 한다. 건강한 시민운동을 원한다면, 지갑을 열어 그 시민단체를 후원해야 한다. 생산농가 어린이가 커피원두를 따는 노동 대신 공부를 하도록 만들려면, 일반커피 대신 공정무역 커피를 사 마셔야 한다. 3년 동안 식당을 통째로 운영하면서 만든 <트루맛쇼>의 손익분기점은 관객 16만명이라고 한다. 아직 15만명이 더 봐야 한다는 이야기다.


소비는 투표다. 결제는 행동이다. 어쩌면 총선과 대선보다 더 중요한 투표이고, 촛불시위보다 더 중요한 행동이다. 세상을 앞으로 밀기도 하고 뒤로 당기기도 한다. 매일, 바로 당신의 지갑  언저리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바로 그 언저리 어딘가에 ‘희망'이 있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
페이스북 www.facebook.com/lee.wonjae.fb
트위터 @wonjae_lee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3분기 기업실적 악화 – HERI 경제뉴스 해설(10/27)

등록: 2011.10.27 수정: 2014.11.12 1. EU정상회의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26일(현지시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을 9%로 확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EU 정상들은 그러나 심야까지 회의를 거듭하면서도 그리스 국...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49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67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42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6044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26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5049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93

[착한경제] ‘빈곤퇴치, 자립, 그리고 적극적 평화’ - 유누스 박사 강연

등록: 2011.08.18 수정: 2014.11.12 “We can create our own world as we want. It is a question of making up our mind. If we want to do it, it will get done.” - Muhammad Yunus (Aug 16, 2011, Seoul) 마이...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63

[착한경제] “재벌 2,3세들, 두려움에 떨고 있다”

등록: 2011.08.08 수정: 2014.11.12 2011년 8월 6일, MBC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 출연했습니다. 주제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었습니다. 진행자인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시원하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48

[착한경제]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

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 HERI
  • 2014.11.12
  • 조회수 7197

[착한경제] 대지진 뒤 일본사회, 근본적 변화가 온다

등록: 2011.7.28 수정: 2014.11.12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덮친 대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일본 사회 근본적 변화의 촉발점이 됐습니다. 일본 최고 경제평론가이며 민주당 외교정책의 막후 브레인으로 불리는 테라시마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15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의 눈물과 평창

등록: 2011.7.26 수정: 2014.11.12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평창입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퍼지는 순간, 한국 참석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눈에 띄는 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눈물을 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66

[착한경제] GDP는 틀렸다

등록: 2011.7.13 수정: 2014.11.12 GDP는 틀렸다. 무슨 소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GDP는 무조건 옳다고 배웠다. 내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때는 GDP 숫자를 따져 1인당 2만 달러가 넘었다느니, 세계 10위권에 들었다느니 하면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8219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48

[착한경제] 카이스트의 연쇄 자살, 15년 전과 지금

등록: 2011.04.13 수정: 2014.11.12 카이스트에서 네 명의 학생이 연달아 자살한다. 세계적으로 촉망받던 교수 한 명도 자살한다. 학교 쪽은 상담과 심리치료 등의 제도 개선책을 내놓는다. 올해 이야기가 아니다. 1996년 봄 몇몇...

  • HERI
  • 2014.11.12
  • 조회수 6158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님, 시간이 됐습니다

등록: 2011.03.23 수정: 2014.11.12 “초과이익공유제라는… 공산주의인 지 사회주의인지… 경제학 교과서에도 없는….” 회장님의 입에서 나온 언어에 실망을 거둘 수 없었습니다. 그 내용이 ‘동반성장’과 ‘사회책임경영’ 같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88

[착한경제] 스티브 잡스 없는 애플은 가능할까?

등록: 2011.03.02 수정: 2014.11.12 지난 2월 24일 애플의 주주총회에서는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에 대한 주주들의 투표가 있었다. 1주1표제로 진행된 이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이사로 재선...

  • HERI
  • 2014.11.12
  • 조회수 5664

[착한경제] '해고는 살인'인 세상과 쌍용차

등록: 2011.03.01 수정: 2014.11.12 무급휴직중이던 쌍용자동차 노동자가 또 사망했습니다. 부인이 2010년 4월 자살한 뒤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던 분입니다. 아이 두 명을 남기고 돌아가셔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관련기...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18

[착한경제] 기업에 혁명이 필요할 때

등록: 2011.02.24 수정: 2014.11.12 미국 유학 시절, 기숙사 근처의 친환경 유기농 마트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은 아내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터였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쌓여 있는 색색의 유기농 채소와 과일...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14

[착한경제] ‘복지’ 논쟁에서 느낀 아쉬움

등록: 2011.02.09 수정: 2014.11.12 자동차가 달리려면 기름을 넣어야 한다. 그러나 기름만 넣는다고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움직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더욱 생각할 것이 많다. 차체가 튼...

  • HERI
  • 2014.11.12
  • 조회수 4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