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배우자'고 외치는데, 정말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 수준이 뒤처져 있는 것일까?
2008년 한겨레경제연구소가 한∙중∙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연구한 결과 세 국가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수준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특징들을 보였다.
가장 큰 특징은 3 개국 모두 정부의 관심사항이 기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의 경우 당시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장려하고 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자 공기업을 중심으로 보고서 발간 및 관련부처 신설이 빠르게 증가되었다. 또한 이런 분위기는 대기업으로까지 이어졌다. 중국 기업 역시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한 상당수가 지속가능경영의 목표를 ‘조화사회건설’에 두고 있는데 이는 후진타오 정부가 내세운 ‘조화사회’라는 정책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특징은 한∙중∙일 3 개국 모두 환경경영 노력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한국과 중국은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인증을 받은 기업들이 상당히 많았으며 경제∙환경∙사회 영역 중 환경영역의 정보공시율이 가장 높아 환경관련 정보공개도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국의 경우도 사회책임경영이행 수준은 낮은 편이나 경제∙사회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경경영에 대한 노력이 눈에 띄었다.
세 번째는 반 부패∙윤리경영을 강조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가 인권∙사회에 대한 정보공시율이 매우 낮다는 점이었다. 그 결과 인권∙사회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연구팀이 발견한 특징 중 가장 해석하기 어려웠던 부분은 마지막 부분이었다. 왜 한∙중∙일 기업은 인권∙사회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꺼려 하는 것일까?
당시 연구팀은 그 현상이 두 가지의 원인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하나는 우리가 평가기준으로 삼았던 글로벌 스텐더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글로벌 스텐더드에 아시아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한∙중∙일 기업이 중요하게 여기는 인권∙사회영역의 활동과 글로벌 스텐더드가 요구하는 활동이 불일치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해당 정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실제로 한∙중∙일 기업이 이행하고 있는 인권∙사회영역의 활동이 서구와 비해 혹은 경제∙환경영역의 활동에 비해 현저히 작을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2010년 한겨레경제연구소는 두 가지 해석이 사실인 지에 대해 12월 15일에 열리는 아시아미래포럼(www.asiafutureforum.org)에서 점검해보기로 했다.
먼저 ‘2010 아시아미래포럼: 동아시아 기업의 진화’<East Asia 30>세션에서 글로벌 스텐더드에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아시아CSR평가모델’을 개발하여 한∙중∙일 기업을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중일 CSR전문가위원회’와 협력해 글로벌 스텐더드는 존중하되 아시아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환경, 사회, 거버넌스의 세부지표와 그 가중치를 결정하여 평가모델을 만들었다.
과연 이 평가모델로도 한중일 기업은 인권사회영역의 활동이 가장 취약할까? 12월 15~16일 열리는 2010 아시아미래포럼에서 그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스텐더드도 충족시키면서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CSR활동을 잘 하고 있는 한∙중∙일 우수기업 30곳(East Asia 30)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2010 아시아미래포럼: 위기 후 동아시아의 패러다임’<동아시아기업의 사회적 책임>세션에서는 한중일 기업의 인권∙사회영역의 우수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한다. 중국의 칭화대-일본의 호세이대-한국의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지난 5개월간 ‘한중일CSR공동연구팀’을 결성하여 CSR우수사례 연구를 했다.
공동연구팀은 한∙중∙일 기업의 우수사례를 개발하여 전세계에 알리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동감했고 아직까지 CSR활동에 대한 의욕은 있으나 방법을 모르는 한∙중∙일 기업의 성과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한겨레경제연구소는 2008년 한∙중∙일 기업의 인권∙사회에 대한 활동이 적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해석을 부분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인권과 사회 영역의 활동의 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이들 중 한∙중∙일 내에서 정치 ∙사회면에서 주요 현안으로 다루고 있는 이슈를 우선 선정했다. ‘성평등 확산’, ‘이해관계자와의 대화’,’공급망관리’ 등 세 개의 이슈를 선정했고 한∙중∙일을 대표하는 18개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사례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한국의 ‘유한킴벌리의 가족친화경영’, ‘현대자동차의 이해관계자 리뷰위원회’, ‘LG전자의 협력사행동규범’, 일본의 ‘시세이도의 캥거루스텝제도’, ‘후지제록스의 공급망관리를 위한 셀프체크리스트 가이드북’, 중국 ‘레노버의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통한 공급자와의 상생경영’ 등의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사례개발을 통해 밝혀진 한중일 기업의 차이점과 공통점도 한층 업그레이드 되어 발표된다.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아시아 기업의 CSR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문의 070-7425-5237,www.asiafutureforum.org
김진경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