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배우자'고 외치는데, 정말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 수준이 뒤처져 있는 것일까?


2008년 한겨레경제연구소가 한∙중∙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연구한 결과 세 국가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수준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특징들을 보였다.


가장 큰 특징은 3 개국 모두 정부의 관심사항이 기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의 경우 당시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장려하고 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자 공기업을 중심으로 보고서 발간 및 관련부처 신설이 빠르게 증가되었다. 또한 이런 분위기는 대기업으로까지 이어졌다. 중국 기업 역시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한 상당수가 지속가능경영의 목표를  ‘조화사회건설’에 두고 있는데 이는 후진타오 정부가 내세운 ‘조화사회’라는 정책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특징은 한∙중∙일 3 개국 모두 환경경영 노력을 아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한국과 중국은 환경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인증을 받은 기업들이 상당히 많았으며 경제∙환경∙사회 영역 중 환경영역의 정보공시율이 가장 높아 환경관련 정보공개도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중국의 경우도 사회책임경영이행 수준은 낮은 편이나 경제∙사회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경경영에 대한 노력이 눈에 띄었다.


세 번째는 반 부패∙윤리경영을 강조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가 인권∙사회에 대한 정보공시율이 매우 낮다는 점이었다. 그 결과 인권∙사회와 관련된 기업의 활동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연구팀이 발견한 특징 중 가장 해석하기 어려웠던 부분은 마지막 부분이었다. 왜 한∙중∙일 기업은 인권∙사회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꺼려 하는 것일까?


당시 연구팀은 그 현상이 두 가지의 원인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하나는 우리가 평가기준으로 삼았던 글로벌 스텐더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글로벌 스텐더드에 아시아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한∙중∙일 기업이 중요하게 여기는 인권∙사회영역의 활동과 글로벌 스텐더드가 요구하는 활동이 불일치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해당 정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실제로 한∙중∙일 기업이 이행하고 있는 인권∙사회영역의 활동이 서구와 비해 혹은 경제∙환경영역의 활동에 비해 현저히 작을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2010년 한겨레경제연구소는 두 가지 해석이 사실인 지에 대해 12월 15일에 열리는 아시아미래포럼(www.asiafutureforum.org)에서 점검해보기로 했다.


먼저 ‘2010 아시아미래포럼: 동아시아 기업의 진화’<East Asia 30>세션에서 글로벌 스텐더드에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아시아CSR평가모델’을 개발하여 한∙중∙일 기업을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중일 CSR전문가위원회’와 협력해 글로벌 스텐더드는 존중하되 아시아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환경, 사회, 거버넌스의 세부지표와 그 가중치를 결정하여 평가모델을 만들었다.


과연 이 평가모델로도 한중일 기업은 인권사회영역의 활동이 가장 취약할까? 12월 15~16일 열리는 2010 아시아미래포럼에서 그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스텐더드도 충족시키면서 아시아적 특성을 반영한 CSR활동을 잘 하고 있는 한∙중∙일 우수기업 30곳(East Asia 30)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2010 아시아미래포럼: 위기 후 동아시아의 패러다임’<동아시아기업의 사회적 책임>세션에서는 한중일 기업의 인권∙사회영역의 우수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한다. 중국의 칭화대-일본의 호세이대-한국의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지난 5개월간 ‘한중일CSR공동연구팀’을 결성하여 CSR우수사례 연구를 했다.


공동연구팀은 한∙중∙일 기업의 우수사례를 개발하여 전세계에 알리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동감했고 아직까지 CSR활동에 대한 의욕은 있으나 방법을 모르는 한∙중∙일 기업의 성과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한겨레경제연구소는 2008년 한∙중∙일 기업의 인권∙사회에 대한 활동이 적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해석을 부분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삼았다.


인권과 사회 영역의 활동의 범위가 매우 다양하여 이들 중 한∙중∙일 내에서 정치 ∙사회면에서 주요 현안으로 다루고 있는 이슈를 우선 선정했다. ‘성평등 확산’, ‘이해관계자와의 대화’,’공급망관리’ 등 세 개의 이슈를 선정했고 한∙중∙일을 대표하는 18개 기업을 대상으로 우수사례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한국의 ‘유한킴벌리의 가족친화경영’, ‘현대자동차의 이해관계자 리뷰위원회’, ‘LG전자의 협력사행동규범’, 일본의 ‘시세이도의 캥거루스텝제도’, ‘후지제록스의 공급망관리를 위한 셀프체크리스트 가이드북’, 중국 ‘레노버의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통한 공급자와의 상생경영’ 등의 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사례개발을 통해 밝혀진 한중일 기업의 차이점과 공통점도 한층 업그레이드 되어 발표된다.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아시아 기업의 CSR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문의 070-7425-5237,www.asiafutureforum.org


김진경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님, 시간이 됐습니다

등록: 2011.03.23 수정: 2014.11.12 “초과이익공유제라는… 공산주의인 지 사회주의인지… 경제학 교과서에도 없는….” 회장님의 입에서 나온 언어에 실망을 거둘 수 없었습니다. 그 내용이 ‘동반성장’과 ‘사회책임경영’ 같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62

[착한경제] 스티브 잡스 없는 애플은 가능할까?

등록: 2011.03.02 수정: 2014.11.12 지난 2월 24일 애플의 주주총회에서는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에 대한 주주들의 투표가 있었다. 1주1표제로 진행된 이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이사로 재선...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45

[착한경제] '해고는 살인'인 세상과 쌍용차

등록: 2011.03.01 수정: 2014.11.12 무급휴직중이던 쌍용자동차 노동자가 또 사망했습니다. 부인이 2010년 4월 자살한 뒤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던 분입니다. 아이 두 명을 남기고 돌아가셔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관련기...

  • HERI
  • 2014.11.12
  • 조회수 5604

[착한경제] 기업에 혁명이 필요할 때

등록: 2011.02.24 수정: 2014.11.12 미국 유학 시절, 기숙사 근처의 친환경 유기농 마트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은 아내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터였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쌓여 있는 색색의 유기농 채소와 과일...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78

[착한경제] ‘복지’ 논쟁에서 느낀 아쉬움

등록: 2011.02.09 수정: 2014.11.12 자동차가 달리려면 기름을 넣어야 한다. 그러나 기름만 넣는다고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움직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더욱 생각할 것이 많다. 차체가 튼...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34

[착한경제] 소셜 커머스, 3년 후에도 망하지 않으려면?

등록: 2011.01.27 수정: 2014.11.12 이원재 소장님의 글에서도 나왔듯이, 지난해는 정말 "social"한 한해였습니다. 온갖 social 들이 쏟아져 나와 다양한 개념과 결합되어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기 때문이지요. 개인적으로, 그 중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6526

[착한경제]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살을 베어갈 수 있다? 없다?

등록: 2011.01.19 수정: 2014.11.12 정치를 좋게 말하는 사람은 드믈다. 특히 지난 달 예산국회 처럼 연례행사로 ‘난장판’ 이 벌어지면 모두들 못볼 것을 본 것처럼 한마디씩 한다. '저질' 정치인을 욕하며 자신의 고상함을 ...

  • HERI
  • 2014.11.12
  • 조회수 13058

[착한경제] 2010년의 경영 화두, ‘Social’

등록: 2010.12.30 수정: 2014.11.12 올 한 해, 나는 '사회'(social)라는 단어에 매달렸다. 사실 이 단어는 올해 기업 경영의 최대 화두라고 부를 만하다. 올해 기업 경영을 하면서 이 단어를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다면 앞...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85

[경제담론 톱아보기] – 아르헨티나는 복지 포퓰리즘이 망쳤을까?

등록: 2010.12.27 수정: 2014.11.12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복지'를 화두로 대선행보에 시동을 거는 등 복지가 성장을 밀어내고 다음 대선의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 그런데 김황식 국무총리가 10월 말 무상급식과 노인의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8159

[착한경제] 올해 송년회에 해야 할 건배사는

등록: 2010.12.08 수정: 2014.11.12 정부대전청사에서 공무원 1천여 명이 한꺼번에 야외로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다고 한다. 알고 보니 배수관 공사 중에 일어난 진동이었다. 마음 속에 뭉쳐 있던 불안이, 건물이 흔들리자 긴급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34

[착한경제] 올해 송년회에 해야 할 건배사는

등록: 2010.12.08 수정: 2014.11.12 정부대전청사에서 공무원 1천여 명이 한꺼번에 야외로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다고 한다. 알고 보니 배수관 공사 중에 일어난 진동이었다. 마음 속에 뭉쳐 있던 불안이, 건물이 흔들리자 긴급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57

[착한경제] 일본기업, 부활의 노래

등록: 2010.11.29 수정: 2014.11.12 일본 주요 기업들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일로를 겪던 실적 개선 속도가 가파르다. 특히, 슈퍼 엔고시대에 거둔 실적이라 더욱 주목하게 된다. 일본을 대표...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66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중국 기업가에게는 ‘원죄의식’이 있다

등록: 2010.11.26 수정: 2014.11.12 “중국 민간기업 경영자들과 얘기하다 보면 일종의 ‘원죄의식’ 같은 게 있다는 걸 발견합니다. 다른 사람의 희생을 발판으로 사업을 일으키고, 법을 어겨가면서 돈을 번 어두운 기억 때문이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69

[착한경제] 그 분이 오신다고요?!

등록: 2010.11.25 수정: 2014.11.12 대학시절, 함께 스터디를 하던 멤버 중에 똑똑하고 모범적인 선배가 있었습니다. 인자하고 현명해서 상담 신청을 하면 마치 자신의 일인냥 정성껏 조언해주곤 했습니다. 머리도 좋아서 공부를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25

[착한경제] 한∙중∙일 기업은 서구보다 사회책임경영이 뒤떨어졌을까?

등록: 2010.11.23 수정: 2014.11.12 한겨레경제연구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연구를 벌써 3년째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말끔히 풀지 못한 의문이 있다. 늘 한국 언론과 기업들은 '서구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34

[착한경제] 스트레스, 내 안을 보라

등록: 2010.11.22 수정: 2014.11.12 '아! 스트레스 받아' 직장인이면 일주일에 몇 번 쯤은 내뱉는 말이다. 우리는 스트레스가 세계 최고 수준인 나라에 살고 있다. 얼마 전 발표된 ‘필립스 헬스 앤 웰빙 지수’에 따르면 G20...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97

[착한경제] '벤처 박사' 안철수의 성공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안철수(카이스트 석좌교수)는 올바른 사람이다. 그는 원래 올바른 창업가였다. 컴퓨터 바이러스백신이라는, 세상이 없던 제품을 만드는 '안철수연구소'라는 벤처기업을 세웠고, 성공시켰다. 편법 없...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35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사회적기업, 국제협력에 나서야 하는 이유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57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사회적기업, 해외원조의 새로운 길

등록: 2010.11.18 수정: 2014.11.12 동아시아 3국(이하 한중일)은 상당한 경제적 성장을 이뤄냈다. 20세기 중반 패전국으로 대부분의 산업기반을 상실했던 일본은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생산성에 기반한 성장을 거듭해 아시아의 거의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54

[착한경제-아시아미래포럼] 더 나은 기업이 가능하려면

등록: 2010.11.17 수정: 2014.11.11 지난 주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에 대해 논란도 많았지만, 나는 내심 기대를 갖고 있었다. 주요국 경영자들이 금융위기 이전의 과거 경영 관행에서 탈피하겠다는 반성이라도 하지 않을...

  • HERI
  • 2014.11.11
  • 조회수 4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