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0.11.12 수정: 2014.11.11


10월 초, <조선일보> 1면을 보고는 큰 한숨을 쉰 일이 있습니다. <조선일보>는 10월 '한중일 경제대전'이라는 제목의 시리즈를 진행했습니다. 첫 회 제목은 이렇습니다. "1등 하던 造船業, 中에 밀렸고 1등 할 생명공학, 日이 선점했다" 이 기사를 보는 순간, 내용에 상관 없이 마음이 답답해졌습니다.


동아시아에는 긴장이 끊이지 않습니다. 최근 센가쿠열도(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험악한 대립은 그 긴장에서 불거진 한 현상일 뿐입니다.


주변 열강이 긴장 상태일 때, 한국의 주권은 위협받습니다. 한일병탄 당시의 국제 정세가 바로 그랬습니다. 스스로 운명을 결정하기보다는, 누구 편인지를 분명히 하라는 압박을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균형과 평화야말로 한국에게 가장 우호적인 국제 환경입니다.


언론을 보면, 한중일 사이에는 전투 뿐


그런데 우리는 스스로 동아시아 정세를 호전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정치도 경제도 문화도 스포츠도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 사이에는 전투 뿐입니다.


한국 언론은 이런 상황을 부추기고 있지요. <조선일보> 시리즈가 대표적입니다. 또 여러 언론이 프랑스의 학자 기 소르망의 <가디언> 기고를 인용해 "한국이 일본 뒤쫓는 시대는 끝났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습니다. 비슷하게,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제로섬으로만 보는 시각입니다.


사실 이런 게 흔히 우리 머릿속에서 발견하곤 하는 인식입니다. 인접해 있는 주변 강대국과 우리의 관계는 긴장과 경쟁 관계이고, 우리는 늘 어느 분야에서나 전투 중이고, 긴장을 절대 늦추지 말고 주변을 계속 견제해야 한다는 인식이지요.


이런 인식을 접할 때마다, 저는 남북한과의 대결 구도가 너무 오래 되어 대결적 사고가 우리 머릿속에 너무 많이 스며들어 버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국과 일본이 우리와 대결한다는 인식이 확산될수록, 가장 손해를 보는 것은 한국입니다.


지금 한국이 해야 할 일은 오히려, 동북아 주요 국가들과 공통의 이해관계를 계속 개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을 맡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평화와 협력 무드가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그게 한국에게 가장 유리한 주변국 환경입니다.


G20를 넘어서려면


한 겨레경제연구소가 이번에 '2010 아시아미래포럼: 동아시아 기업의 진화'를 마련한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동아시아에서 답을 찾아야 합니다. 한중일 세 나라가 먼저 나서서, 국제사회에서 가질 수 있는 공동의 이해관계를 찾아내야 합니다. 그래서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이런 과정에서 동북아에는 공동의 이해관계가 생기고, 이게 긴장 완화와 평화로 가는 징검다리가 됩니다.


아시아 지성과 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이런 논의를 하는 장을 마련하기로 한 것입니다. 특히 민간 전문가와 기업, 시민사회가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민간 포럼을 잘만 구성하면, 국가들의 회의체인 G20를 넘어설 수 있습니다. 한중일 사이에 지속적인 논의를 하면, G20보다 더 효과적으로 결론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G20보다 훨씬 유연하고, 개혁적이고, 무엇보다 실용적인 논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자리가 됩니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그런데 한중일 공동의 이해관계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주제야 많을 수록 좋겠지만, 가장 쉬우면서도 세 나라 모두에게 필요한 주제여야 할 것입니다.


한중일 공동의 이해관계 찾기


유력한 주제 중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는 주제입니다. 일단 민간이 협력하는 것이 빠릅니다. 그러니 기업 부문이 먼저 나서는 게 좋습니다. 그 중에서도 사회적 책임이라는 주제는 경쟁 상황에 있는 기업끼리도 협력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CSR과 관련된 대부분의 논의가, 서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더욱 협력할 것이 많습니다. 서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발전해 온 동아시아 기업들은, 그 사회적 책임을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히려 국제 사회에 더 강력하고 더 모범적인 표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안철수 카이스트 교수


이 주제를 좀 더 넓히면, 동아시아 기업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찬찬히 뜯어보는, '기업이 무엇을 하는 곳인가'라는 질문으로 넘어갈 수 있겠습니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미국식 주주자본주의는 흔들리고 있습니다. 주주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중시하던 동아시아 기업의 경영 방식은, 다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2010 아시아미래포럼에서는 이런 주제를 다루려고 합니다.


동아시아, 좀 더 넓혀 국제사회에는 분명히 한국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과 일본 양자는 함께 일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한국이 중간에서 조정자 역할을 하면, 국제사회에서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지역공동체가 됩니다.


미시적으로 봐도 그렇습니다. 한겨레경제연구소가 한국·중국·일본 전문가들과 함께 동아시아 기업을 연구한 지 3년째입니다. 그런데 중국 전문가와 일본 전문가들은 자주 부딪쳤습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거시적 맥락, 국가 정책의 문제부터 이야기를 풀어 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총론과 당위에 강합니다. 반면 일본 전문가들은 꼼꼼하지요. 각론을 중시하고, 범위가 작더라도 정확한 결론을 내리려고 합니다. 당위보다는 실용을 중시하고, 내용 없는 구호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회의에서는 늘 우리 연구소, 한국인의 ‘허브’ 역할이 중요했습니다. 굳이 자임하지 않아도 자꾸 중재자 역을 맡게 됐습니다.


아오키 마사히코 스탠퍼드대 교수


다시 강조되는 한국의 허브 역할


한국·중국·일본이 공동의 이해관계를 찾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중국과 미국 사이의 팽팽한 긴장에 완충장치를 만들기 위해서도 그렇습니다. 경제발전 수준이 서로 다른 한중일 사이에 형성된 공급사슬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도 필요합니다. 조심스럽지만, 세 나라 공통의 과제인 북한을 둘러싼 긴장을 해소하는 데도 지역공동체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 접근을 아시아미래포럼에서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12월 15~16일 열리는 첫 아시아미래포럼에는, 세계적 경제학자 아오키 마사히코 스탠퍼드대 교수가 참석해 동아시아 기업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발표합니다.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대표적 경제학자 중 한 명인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금융위기 이후 다양화하고 있는 기업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강연합니다.


이 밖에 이정우 경북대 교수, 김영호 유한대 총장, 박영철 고려대 석좌교수 등의 토론이 열립니다.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 최지성 삼성전자 사장의 발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ISO26000, 동아시아 30, 사회적기업 등 12개 다양한 분과 세션이 운영되고, 안철수 카이스트 석좌교수, 정혜신 정신과 전문의의 특강도 열립니다. 세부 세션 내용에 대해, 한겨레경제연구소(HERI)의 블로그 착한경제(goodeconomy.hani.co.kr)에서 지속적으로 알려드릴 것입니다.


* 아시아미래포럼 세부내용 확인 및 문의: www.asiafutureforum.org. 070-7425-5237.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51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33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6033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06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5030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578

[착한경제] ‘빈곤퇴치, 자립, 그리고 적극적 평화’ - 유누스 박사 강연

등록: 2011.08.18 수정: 2014.11.12 “We can create our own world as we want. It is a question of making up our mind. If we want to do it, it will get done.” - Muhammad Yunus (Aug 16, 2011, Seoul) 마이...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55

[착한경제] “재벌 2,3세들, 두려움에 떨고 있다”

등록: 2011.08.08 수정: 2014.11.12 2011년 8월 6일, MBC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 출연했습니다. 주제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었습니다. 진행자인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시원하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43

[착한경제]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

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 HERI
  • 2014.11.12
  • 조회수 7189

[착한경제] 대지진 뒤 일본사회, 근본적 변화가 온다

등록: 2011.7.28 수정: 2014.11.12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덮친 대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일본 사회 근본적 변화의 촉발점이 됐습니다. 일본 최고 경제평론가이며 민주당 외교정책의 막후 브레인으로 불리는 테라시마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03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의 눈물과 평창

등록: 2011.7.26 수정: 2014.11.12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평창입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퍼지는 순간, 한국 참석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눈에 띄는 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눈물을 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57

[착한경제] GDP는 틀렸다

등록: 2011.7.13 수정: 2014.11.12 GDP는 틀렸다. 무슨 소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GDP는 무조건 옳다고 배웠다. 내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때는 GDP 숫자를 따져 1인당 2만 달러가 넘었다느니, 세계 10위권에 들었다느니 하면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8214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40

[착한경제] 카이스트의 연쇄 자살, 15년 전과 지금

등록: 2011.04.13 수정: 2014.11.12 카이스트에서 네 명의 학생이 연달아 자살한다. 세계적으로 촉망받던 교수 한 명도 자살한다. 학교 쪽은 상담과 심리치료 등의 제도 개선책을 내놓는다. 올해 이야기가 아니다. 1996년 봄 몇몇...

  • HERI
  • 2014.11.12
  • 조회수 6152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님, 시간이 됐습니다

등록: 2011.03.23 수정: 2014.11.12 “초과이익공유제라는… 공산주의인 지 사회주의인지… 경제학 교과서에도 없는….” 회장님의 입에서 나온 언어에 실망을 거둘 수 없었습니다. 그 내용이 ‘동반성장’과 ‘사회책임경영’ 같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84

[착한경제] 스티브 잡스 없는 애플은 가능할까?

등록: 2011.03.02 수정: 2014.11.12 지난 2월 24일 애플의 주주총회에서는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에 대한 주주들의 투표가 있었다. 1주1표제로 진행된 이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스티브 잡스는 애플의 이사로 재선...

  • HERI
  • 2014.11.12
  • 조회수 5654

[착한경제] '해고는 살인'인 세상과 쌍용차

등록: 2011.03.01 수정: 2014.11.12 무급휴직중이던 쌍용자동차 노동자가 또 사망했습니다. 부인이 2010년 4월 자살한 뒤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던 분입니다. 아이 두 명을 남기고 돌아가셔서,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관련기...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08

[착한경제] 기업에 혁명이 필요할 때

등록: 2011.02.24 수정: 2014.11.12 미국 유학 시절, 기숙사 근처의 친환경 유기농 마트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은 아내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터였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쌓여 있는 색색의 유기농 채소와 과일...

  • HERI
  • 2014.11.12
  • 조회수 6203

[착한경제] ‘복지’ 논쟁에서 느낀 아쉬움

등록: 2011.02.09 수정: 2014.11.12 자동차가 달리려면 기름을 넣어야 한다. 그러나 기름만 넣는다고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움직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더욱 생각할 것이 많다. 차체가 튼...

  • HERI
  • 2014.11.12
  • 조회수 4961

[착한경제] 소셜 커머스, 3년 후에도 망하지 않으려면?

등록: 2011.01.27 수정: 2014.11.12 이원재 소장님의 글에서도 나왔듯이, 지난해는 정말 "social"한 한해였습니다. 온갖 social 들이 쏟아져 나와 다양한 개념과 결합되어 새로운 모델을 선보였기 때문이지요. 개인적으로, 그 중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6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