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1.11.04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사실상 철회

먼 나라 그리스가 아주 가깝게 느껴진다. 글로벌 경제의 특징이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1야당인 신민당이 2차 구제금융안에 동의한다면 국민투표는 필요 없다면서 사실상 국민투표 철회 의사를 밝혔다. 그는 "처음부터 국민투표 자체를 의도했던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어떤 변화가 있었길래 기세등등하던 국민투표안을 철회했나요?

야당인 신민당의 안토니오 사마라스 당수가 현재 의회에서 구제금융 협약을 승인하자, 대신 총리가 사퇴하고 총선을 위한 임시 과도정부를 구성해 바로 조기총선을 하자, 이렇게 밝힌 직후 총리의 발언이 나왔다. 사마라스 당수는 현 구제금융안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파판드레우 총리는 "우리는 야당인 신민당이 구제금융안을 지지하겠다고 한 사실을 환영한다"고 밝히고 신민당과의 공동정부 구성과 구제금융안 지지 협상을 벌일 것을 지시했다.

-- 원래 현지시각 오늘 의회 신임투표를 한다고 했었는데요?

그렇다. 여당인 사회당이 총 152석이다. 그런데 사회당 내 일부 의원들이 국민투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신임투표에 불참하겠다는 의원도 있다. 추가 이탈이 있을지 우려된다. 신임투표가 예정대로 이뤄지면 파판드레우 총리가 살아남을지 불투명한 상황으로 관측된다. 그래서 사회당 탈당파와의 관계, 신민당과의 협조 강도(연정 수준까지 가는 것인지) 등이 모두 변수가 됐다.

-- 그럼 이제 사태는 지원안을 받는 쪽으로 봉합될까요?

결국 받는 쪽으로 봉합되는 정치적 과정이라고 본다. 신민당은 총리 퇴진과 조기총선을 전제로 한 구제금융안 지지 입장이라고 강조한 반면 파판드레우 총리는 사퇴와 조기총선은 거부하고 구제금융안에 대한 지지의 합의에 방점을 두고 있어 협상에 진통이 예상된다. 파판드레우 총리는 3일 저녁 의회 연설에서 지금 같은 중대한 시기에 권력 공백이 있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재선에 관심없다고 밝혀서 여운을 남겼다.

-- 어지럽네요. 어떻게 정리가 되는 건가요?

유럽연합 정상들의 그리스 지원안 타협은 어려운, 아름다운 타협이다. 1. 어려운 이웃이 생겼고 2. 같이 돕기로 합의했고 3. 돕는 과정에서 부잣집에서 조금씩 손해보기로 했고 4. 대신 어려운 집에도 반성하고 분발하라고 했고 5. 그 분발안을 받아들일지를 어려운 집에서 가족회의중이라고 보면 된다. 이들 나라 정상이 같이 머리를 맞대고 서로 조금씩 손해를 보면서 그리스 구제금융안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제 그리스로 공이 넘어갔고, 국민투표, 신임투표, 정당한 타협과 다툼을 거치면서 결론을 향해 가고 있다. 재정위기 극복 과정은 정치 과정이라는 것이 더욱 분명해진다.


2. 그리스 총리 입만 보는 세계금융시장

그리스 총리가 세계 경제로부터 이만큼 주목받는 일이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시장이 그리스만 보고 있다. 3일 뉴욕금융시장에서 주가는 유럽발 호재로 올랐다. 유럽중앙은행(ECB)가 기준금리를 1.50%에서 1.25%로 인하했다. 이것도 주가에 좋은 영향을 끼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208.43포인트(1.76%) 상승한 12,044.4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88% 오른 1,261.15, 나스닥지수는 2.20% 뛴 2,697.97.


3. 엘지전자의 1조원, 어디로 갈까

LG전자는 3일 이사회를 통해 6385억원의 시설자금과 4235억원의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스마트폰 분야에서 경쟁력이 뒤처지면서 최근 휴대폰 사업이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롱텀에볼루션(LTE)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구개발(R&D)비를 늘릴지, 태양광 사업에 투자할지, 소프트웨어를 강화할지 주목된다. 한편에서는 적자에 시달리는 엘지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데 투입될 것이라고 보고 있기도 하다. 엘지전자의 혁신은 한동안 칭송받았지만, 그것은 뼈와 살을 깎는, 비용절감형 혁신에 그쳤다. 그래서 스마트폰 시대에 뒤처졌다. 새 살이 돋아나는 데 이 돈이 투입될지 관심거리다.


4.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동반성장위원회가 두부·레미콘·LED·맞춤정장 등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선정했다. 위원회는 4일 오전 전체 회의를 열고 24개 품목을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추가 선정하고, 해당 품목의 사업을 벌이는 대기업에 대해 사업 철수나 진입 자제, 확장 자제 등의 권고를 할 예정이다. 가장 논란이 됐던 두부는 사업 축소 및 확장 자제 품목으로 선정될 것 같다. CJ 등 확실한 대기업은 사업 축소를, 논란이 됐던 풀무원은 사업 확장을 자제하는 쪽으로 결론.


5. 월가 시위대, 맨큐의 경제학 비판

월가 시위대가 이번에는 하버드 대학의 유명 교수 중 한명인 그레고리 맨큐 교수의 경제학 수업을 듣지 말자며 수업 거부 운동을 벌이고 있다. 시위대는 맨큐 교수의 수업이 지나치게 편향적이고 이로 인해 경제에 대한 잘못된 시각을 갖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위대는 맨큐 교수의 고전 경제학 강의가 지나치게 시장근본주의적 시각을 갖게 만든다며 비판하고 있다. 지난 5년간의 경기 침체는 바로 이러한 편향된 시각이 만들어 낸 문제라는 이야기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사회적기업 장수의 비결, 지식창조 메커니즘

등록: 2012.09.11 수정: 2014.11.12 지속가능성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혁신 사회적기업은 일반 기업이 경영 효율성을 이유로 외면하는 사회적 필요를 채워주거나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안...

  • HERI
  • 2014.11.12
  • 조회수 6141

[착한경제] 한국 양궁 성공신화의 비밀

등록: 2012.08.08 수정: 2014.11.12 1980년대 초 어느 날, 서거원 대한양궁협회 전무(당시 삼익악기 양궁선수단 감독)는 연습장 앞에서 무언가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었다. “양궁이 늘 이렇게 재미없는 스포츠로만 남아 있을까? 그...

  • HERI
  • 2014.11.12
  • 조회수 9764

[착한경제-2012년 풀뿌리사회적기업가학교 수료식]

등록: 2012.07.11 수정: 2014.11.12 [2012년 풀뿌리사회적기업가학교 수료식] 3개월을 함께 한 (예비)사회적기업가들의 축하의 장 착한경제를 만들어 갈 사회적기업가로서의 감성과 지성을 일구어 온 ‘2012년 풀뿌리사회적기업가학교’...

  • HERI
  • 2014.11.12
  • 조회수 6545

[착한경제] 진보가 집권한 프랑스, ‘올랑드 솔루션’은 어떤 모습일까

등록: 2012.05.08 수정: 2014.11.12 당선되자마자 "긴축은 더이상 우리의 운명일 필요가 없다. 특히 독일에 하고 싶은 말”이라고 쏘아붙인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당선자는 앞으로 유럽 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올랑드 입장에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5010

[착한경제] 지구온난화에 스핀(spin)을 거는 사람들

등록: 2011.12.20 수정: 2014.11.12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 공조의 틀인 ‘쿄토의정서’가 휴지가 될 운명에 놓였다고 한다. 12월 중순 남아공화국 더반 총회 직후 캐나다가 탈퇴를 선언했고, 일본과 러시아도 심상치 않다.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21

[착한경제] Being Socially Prepared is the Key Success Factor in Community Based Development – Interview with Tri Mumpuni

등록: 2011.11.09 수정: 2014.11.12 Tri Mumpuni, the one of the 2011 Magsaysay Awardees, has been proposing an innovative model, the hybrid model, to solve Asia's pertaining issues such as poverty, energy, ...

  • HERI
  • 2014.11.12
  • 조회수 30935

[착한경제] SK 검찰 수사 경영 영향 – HERI 경제뉴스해설(11/9)

등록: 2011.11.09 수정: 2014.11.12 1. SK 최태원 회장 검찰 수사 검찰이 최태원(51) SK그룹 회장과 동생인 최재원(48) 수석부회장이 1천억원이 넘는 회삿돈을 횡령한 정황을 포착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검찰이 어제 이런 혐...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10

[착한경제] 아이폰 1대당 이익이 삼성 스마트폰의 3배-HERI 경제뉴스 해설(11/8)

등록: 2011.11.08 수정: 2014.11.12 1. 한국 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에 대한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A+`로 유지하고 등급전망을 ‘긍정적’으로 높인다고 밝혔다. 큰 변화가 없다면 1년 안에 한국 국가...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93

[착한경제] 그리스 총리 입만 보는 세계경제 - HERI 경제뉴스해설(11/4)

등록: 2011.11.04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사실상 철회 먼 나라 그리스가 아주 가깝게 느껴진다. 글로벌 경제의 특징이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1야당인 신민당이 2차 구제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38

[착한경제] 내년 1분기 위기설 나온다 - HERI 경제뉴스 해설(11/3)

등록: 2011.11.03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사태 등으로 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위기 국면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는지? 몇 가지 좋지 않은 신호가 있다. 우선 그리스 불확실성이 커졌다. 우여곡절 끝...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90

[착한경제] 그리스 파산으로 가나 – HERI 경제뉴스해설(11/2)

등록: 2011.11.02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추진, 세계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그리스 총리가 돌연 유로화 사용국가의 2차 지원안에 대한 국민투표안을 들고 나오면서, 어렵게 마련한 지원안이 부결될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4985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 HERI 경제해설(10/31)

등록: 2011.10.31 수정: 2014.11.12 1.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경제력이 취약한 가계의 빚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 어떤 내용인가요...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37

[착한경제] 유럽의 아름다운 타협 - HERI 경제뉴스해설(10/28)

등록: 2011.10.28 수정: 2014.11.12 1. 유럽에서 온 좋은 소식 27일 새벽 4시(현지 시각, 한국 시각 27일 오전 11시) 벨기에 브뤼셀의 EU 정상회의 회견장에 기자들이 호출됐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유로화 사용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23

[착한경제] 3분기 기업실적 악화 – HERI 경제뉴스 해설(10/27)

등록: 2011.10.27 수정: 2014.11.12 1. EU정상회의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26일(현지시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을 9%로 확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EU 정상들은 그러나 심야까지 회의를 거듭하면서도 그리스 국...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40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19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24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22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72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900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