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HERI 2014. 11. 12
조회수 5815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토론회에서 발표할 내용을 미리 쓴 것입니다. <이코노미 인사이트> 10월호에도 게재됐습니다. 자세한 안내는 다음 공고문을 참고하십시오.

* 이 글을 좀 더 정교하게 발전시킨 발표문은 토론회 현장에서 배포될 예정입니다.


“우리가 저녁식사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푸줏간 주인이나 제빵업자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다. 그들의 이기심 때문이다.”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 남긴 명문이다. 각각의 경제 주체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이기적인 동기로 움직이지만, 그 결과 경제 전체가 더욱 효율적으로 돌아가게 된다는, 다시 말해 이기심이 선한 경제를 만든다는, 당시로서는 전복적인 논리다.


애덤 스미스는 이렇게, 다른 영역과는 달리 경제 영역에서는 이기적인 개인의 행동이 윤리적인 사회적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인식론적 프레임을 제시한다. 경제학계에선 한 세기가 넘게 주류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고전파와 신고전파 경제학은 이 프레임에 맞춰 촘촘하게 논리를 짜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 프레임은 두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수많은 기업가와 투자자들이 자신의 ‘이기적인’ 행동을 합리화하는 근거로 사용됐다. 경제에서만큼은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게,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것보다 오히려 더 낫다는 프레임 말이다. 던컨 폴리 하버드대 교수는 경제에서 윤리를 제거해 버린 이 프레임을 ‘애덤의 오류’(Adam’s Fallacy)라고 부른다.


안철수 신드롬과 애덤 스미스의 오류


안철수 신드롬이 한국 사회를 덮쳤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대학원장은 한 번도 출마 의사를 본인의 입으로 밝힌 적이 없는데도, 압도적인 격차로 주요정당 후보를 모두 따돌리며 서울시장 후보로 떠올랐다. 불출마 선언을 하고 나서는, 그 동안 한 번도 흔들리지 않던 박근혜 대세론을 처음으로 흔들며 일약 유력 대선 주자로 떠올랐다.


한국 사회는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을 세워 성공한 벤처기업가였던 학자에 대해 왜 이렇게 열광하는 것일까? 그 경제적 함의는 무엇일까?


그 원인은 바로 애덤 스미스의 프레임과 그 논리에 대해 쌓여가는 우리 사회의 피로감에 있다. 안철수는 애덤 스미스의 논리를 말과 행동을 통해 내재적으로 반박하고 있는 사람이다.


안철수 원장은 ‘영혼이 있는 기업’을 이야기한다. 정직하고 선한 의지를 가진 기업과 기업가를 논하고, 그런 조직과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애덤 스미스의 인식론적 오류의 확장판이고 수십년간 경제 인식의 지배적 프레임을 제공한 신고전파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기업은 영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주인-대리인 이론(Principal-Agent Theory)이 이를 주창한다. 경영자는 주주의 대리인으로 활동하는 것이므로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독자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게 이 이론의 핵심 주장이다. ‘관료는 영혼이 없다'는 말보다 훨씬 일찍, 경제학원론 교과서는 ‘기업은 영혼이 없다'고 설파하고 있는 셈이다.


이기심은 그 자체로 윤리적인가


‘애덤 스미스의 오류’의 핵심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기심은 그 자체로 윤리적’이라는 주장이다. 즉 경제 주체의 이기적 행동에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한 것이다. 이 오류는 여기서 출발해, 우리가 경제를 인식하는 방법에 네 가지 중요한 가정을 제시한다.


첫째, 주주는 탐욕스럽다. 그런데 기업은 주주의 대리인이다. 그래서 기업은 탐욕스러워야 한다. 그래서 기업의 탐욕은 ‘수탁자 의무’를 충실히 하는 책임 있고 윤리적인 행동이다.


둘째, 이기심은 시장경제를 활성화하고 재화와 서비스를 우리에게 전달해 준다. 기업의 이기심은 우리를 고용하고 우리에게 월급을 주고 우리의 저녁 식탁에 빵과 고기를 차려 준다. 그래서 개별 기업의 탐욕은 사회적으로도 ‘선'이다.


셋째, 기업은 탐욕을 실천해야 하므로 냉혈한이 되어야 한다. 경영자는 때로는 불법과 편법도 저지르고, 때로는 사람을 냉정하게 해고할 줄도 알아야 한다. 이기심이 결국 시장경제를 지탱하므로, 냉혈한이 오히려 윤리적이다. 어설프게 이타심을 보이는 기업은 오히려 비윤리적이다. 경제는 원래 그런 것이다.


넷째, 어떤 경우에는 정치나 사회 같은 다른 영역에서도 탐욕이 선일 수 있다. 겉으로 내세우는 명분은 모두 포장일 뿐이다. 모두가 겉과 속이 다르며, 어차피 속에는 탐욕이 들어차 있다. 이런 상황이라면 탐욕을 드러내고 실행하는 게 오히려 윤리적일 수 있다.


이 네 가지 논리는 “탐욕은 선이다”(Greed is good)라는 한 마디로 압축된다. 이 말은 영화 <월스트리트>에서 주연배우 마이클 더글러스가 남긴 명대사다.


사실 현대 경제학과 경제정책, 기업 전략은 상당부분 이들 논리에 기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경제에서는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IMF 구제금융과 함께 이 논리가 경제 구조 전체를 지배하는 주류 논리로 자리잡았다고 할 수 있다.


‘안철수 현상’은 이 프레임이 흔들리면서 씨앗이 뿌려졌다. 철석같이 믿고 있던 ‘탐욕의 경제적 효율성’에 대해 의구심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기업이 냉정하게 사람을 해고하면 당장은 고통스럽지만, 이익이 늘어나고 효율성이 높아진다고 배웠다. 그러면 경제가 더 좋아진다고 들었다. 대기업이 국내에서는 조금 편법을 쓰더라도, 수출 많이 해서 돈을 벌어 오면 국민 살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IMF 구제금융 때 한국 국민은 정부 및 기업과 이런 논리에 암묵적 합의를 한 셈이다.


그런데 생각과는 좀 다르게 일이 굴러간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한 게 요즘이다. 이익 많이 내는 한진중공업은 가차없이 대량해고를 감행했다. 대기업은 중소기업과 중소상인이 하던 업종에 진출해 물량공세를 벌이면서 생존권을 위협했다. 반면 총수 일가 소유 기업에는 일감을 대량으로 몰아주면서 부를 세습했다.


이 광경을 지켜보면서, 한국 사회가 답해야 하는 질문이 생겼다. 기업의 탐욕은 점점 더 커지고 더욱 잘 실현되는데, 왜 내게는 좋아진 경제의 과실이 오지 않는 걸까? 제빵업자와 푸줏간 주인은 점점 더 부자가 되는데, 왜 우리 집 저녁 식탁에 올라오는 음식의 양과 질은 초라해지기만 할까?


이걸 깨뜨린 게 안철수다. 안철수 교수는 뇌물 안 주고 올바르게 사업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돈 버는 일보다 소프트웨어 만드는 일에 몰두하기만 해도 사업이 됐다고 이야기한다. 자기가 설립한 기업을 떠나면서는 주식을 직원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탐욕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탐욕 없는 성공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애덤 스미스는 틀렸다는 사실을 논리로가 아니라 실천으로 보여줬다.


또 하나, 안 교수는 겉과 속이 같은 기업과 경제인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겉으로는 국가경제를 생각하고 취약계층을 돕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은 늘 탐욕이 들어차 있어야 할 것 같은, 전형적인 기업인의 모습을 그는 거부한다. 자기가 세운 기업의 주식을 직원들에게 나누어주는 그의 모습은, 언행일치의 리더십을 보여준다.


두 가지 점, 즉 탐욕 없는 성공이 가능하고 언행일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안철수 교수는 경제를 보는 기존의 인식론적 프레임을 뒤집는다. ‘안철수 현상’은 그래서 전복적이다. 그의 삶이 보여주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더 이상 탐욕은 윤리적이지 않다는 사실이다. 탐욕은 그저 탐욕스러운 결과를 낳을 뿐이다. 선한 의도를 지녀야만 결과도 선할 수 있다.


빌 게이츠, 경제학자들을 당황케하다


빌 게이츠는 2008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창조적 자본주의론’을 내놓고 세계적으로 대단한 관심을 끈다. 창조적 자본주의론은 사실 안철수 현상과 비슷한 지점에서 출발한다. 애덤 스미스의 오류를 지적하고 뒤집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빌 게이츠는 기업이 선행을 통해 더 큰 경영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저소득층을 고려한 제품을 늘리고, 기부와 봉사활동을 늘리면서 경쟁력을 오히려 강화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서 애덤 스미스의 오류를 뒤집는다. 탐욕이 아니라 선의가 성공을 이끌 수 있다는 이야기를,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기업가가 부르짖은 셈이니 말이다.


창조적 자본주의에 대한 빌 게이츠와 주류경제학자들의 토론을 담은 책 <창조적 자본주의>를 보면, 주류경제학자들은 비이성적으로 보일 정도로 이 새로운 논리에 반발한다. 이해할 만한 일이다. 핵심을 건드렸기 때문이다. 주류경제학이 그 동안 쌓아온 경제논리의 성채, 그 가장 밑단을 받치고 있는 반석을 빌 게이츠가 깨뜨린 셈이다. 애덤 스미스의 가정을 뒤엎었으니 말이다. 당황하고 반발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이 책을 보면 재미있는 점이 있다. 빌 게이츠가 ‘낭만적'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강단의 경제학자들이다. 게이츠에게 공감하는 사람들은 기업가, 비영리 활동가 등 실천가가 많다. “모든 이론은 회색이며, 오직 영원한 것은 저 푸른 생명의 나무"(괴테가 파우스트에 쓴 말)라는 말이 다시 떠오르는 대목이다.


현실경제에서의 함의


탐욕이 윤리적인 것이 아니라 선의가 윤리적인 것이고 선의를 기초로 한 경제 체제가 사실 더 우월하다는 프레임은 사실 담론 수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경제에서는 몇 가지 현상과 노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책임을 실행하는 기업이 장기적으로는 사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재무적 성과도 좋을 것이라는 사회책임경영(CSR)과, 사회적 목적을 사명으로 가진 사업조직인 사회적기업 등은 이런 현상의 일부다. 윤리적 소비나 사회책임투자 등 소비 및 금융시장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안철수는 ‘상식 대 비상식'이라는 프레임을 제시한다. 이 프레임이 ‘탈정치적'이거나 ‘추상적'이라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사실 이 프레임은 매우 중요한 경제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한국경제에서 무엇이 ‘상식적'인 것인가? 매우 단순하다. 이익이 좀 줄더라도 협력업체 및 노동자들과 공생하는 기업이 좋은 기업 경영이라는 게 상식이다. 경제성장률은 높지만 소수에게만 부가 집중되는 경제는 좋지 않다는 게 상식이다. 동일노동에는 동일노동이 지급되는 게 상식이고, 뇌물이나 학연이나 지연에 의존하지 않은 거래관행이 정착되어야 한다는 게 상식이다.


윤리적 수준에서 이야기하자면 이렇다. 탐욕이 선이 아니라, 선의가 선이다. 냉혈한이 아니라, 윤리적이고 착한 사람이 성공한다. 말과 행동, 겉과 속이 다른 것은 나쁜 것이다. 언행일치가 미덕이다. 경제라고 다를 것은 없다. 이 말은 우리 모두에게 ‘상식'이다.


그러나 애덤 스미스와 신고전파 경제학은 그 ‘상식'을 거부한다. 그 거부는 매우 창의적이었고 한 시대를 풍미했지만, 유효기간이 끝나가고 있다.


그 ‘상식'을 되찾고 싶은 사람들이 안철수 현상에 열광했다. 그 ‘상식'을 되찾고 싶은 기업가와 학자들이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론에 공감했다. 세상은 애덤 스미스의 뒤를 이을 새로운 프레임에 목말라 있는 것이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

페이스북 www.facebook.com/lee.wonjae.fb

트위터 @wonjae_lee

이메일 timelast@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그리스 총리 입만 보는 세계경제 - HERI 경제뉴스해설(11/4)

등록: 2011.11.04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사실상 철회 먼 나라 그리스가 아주 가깝게 느껴진다. 글로벌 경제의 특징이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1야당인 신민당이 2차 구제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18

[착한경제] 내년 1분기 위기설 나온다 - HERI 경제뉴스 해설(11/3)

등록: 2011.11.03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사태 등으로 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위기 국면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는지? 몇 가지 좋지 않은 신호가 있다. 우선 그리스 불확실성이 커졌다. 우여곡절 끝...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78

[착한경제] 그리스 파산으로 가나 – HERI 경제뉴스해설(11/2)

등록: 2011.11.02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추진, 세계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그리스 총리가 돌연 유로화 사용국가의 2차 지원안에 대한 국민투표안을 들고 나오면서, 어렵게 마련한 지원안이 부결될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65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 HERI 경제해설(10/31)

등록: 2011.10.31 수정: 2014.11.12 1.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경제력이 취약한 가계의 빚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 어떤 내용인가요...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14

[착한경제] 유럽의 아름다운 타협 - HERI 경제뉴스해설(10/28)

등록: 2011.10.28 수정: 2014.11.12 1. 유럽에서 온 좋은 소식 27일 새벽 4시(현지 시각, 한국 시각 27일 오전 11시) 벨기에 브뤼셀의 EU 정상회의 회견장에 기자들이 호출됐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유로화 사용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08

[착한경제] 3분기 기업실적 악화 – HERI 경제뉴스 해설(10/27)

등록: 2011.10.27 수정: 2014.11.12 1. EU정상회의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26일(현지시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을 9%로 확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EU 정상들은 그러나 심야까지 회의를 거듭하면서도 그리스 국...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46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52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22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15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63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71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28

[착한경제] ‘빈곤퇴치, 자립, 그리고 적극적 평화’ - 유누스 박사 강연

등록: 2011.08.18 수정: 2014.11.12 “We can create our own world as we want. It is a question of making up our mind. If we want to do it, it will get done.” - Muhammad Yunus (Aug 16, 2011, Seoul) 마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81

[착한경제] “재벌 2,3세들, 두려움에 떨고 있다”

등록: 2011.08.08 수정: 2014.11.12 2011년 8월 6일, MBC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 출연했습니다. 주제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었습니다. 진행자인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시원하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99

[착한경제]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

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 HERI
  • 2014.11.12
  • 조회수 6900

[착한경제] 대지진 뒤 일본사회, 근본적 변화가 온다

등록: 2011.7.28 수정: 2014.11.12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덮친 대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일본 사회 근본적 변화의 촉발점이 됐습니다. 일본 최고 경제평론가이며 민주당 외교정책의 막후 브레인으로 불리는 테라시마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63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의 눈물과 평창

등록: 2011.7.26 수정: 2014.11.12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평창입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퍼지는 순간, 한국 참석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눈에 띄는 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눈물을 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17

[착한경제] GDP는 틀렸다

등록: 2011.7.13 수정: 2014.11.12 GDP는 틀렸다. 무슨 소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GDP는 무조건 옳다고 배웠다. 내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때는 GDP 숫자를 따져 1인당 2만 달러가 넘었다느니, 세계 10위권에 들었다느니 하면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7878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13

[착한경제] 카이스트의 연쇄 자살, 15년 전과 지금

등록: 2011.04.13 수정: 2014.11.12 카이스트에서 네 명의 학생이 연달아 자살한다. 세계적으로 촉망받던 교수 한 명도 자살한다. 학교 쪽은 상담과 심리치료 등의 제도 개선책을 내놓는다. 올해 이야기가 아니다. 1996년 봄 몇몇...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