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Europe)의 설립자인 클리포드 사우스컴이 지난 8월1일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강연에서 강조한 말이다.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이 날 강연은 약 40여분간 진행됐다. 170여석의 강연장이 꽉 차 사회적기업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읽을 수 있었다. 강연 후 30분간 이어진 질의응답시간에는 대학생 및 사회적기업 관계자들이 다양한 질문을 했다. 그 중에서도 정부주도로 사회적기업이 양성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과 관련된 질문이 많았다.
사우스컴은 “영국에서는 정부에 직접적 재정지원을 많이 요청하지 않는다”며 “대신 사회적기업의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이해와 제도적 지원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적인 사회적기업 열풍을 ‘세계경제의 변화’로 보며 사회적기업과 대기업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변화에 잘 대처하는 스마트한 대기업들은 기꺼이 협력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강연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사회적 기업이란 무엇인가?
사우스컴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의는 매우 광범위하지만 근본적으로 기업, 비즈니스이며 ‘거래를 하는 조직’임을 강조했다. 거래의 당위는 사회적 목적에 있으며, 가치관이 무엇인가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다양한 사회적기업 사례
영국에서 지역기반 사회적기업 (community enterprise)이 나오게 된 배경은 북부의 전통적인 철강 산업이 쇠퇴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부나 민간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이 스스로 존립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비즈니스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사우스컴은 첫 번째 사례로 마을 주민들이 힘을 합쳐 만든 사회적기업 ‘코인스트리트 빌더스’(CSCB, Coin Street Community Builders)를 소개했다. CSCB는 한때 황폐화됐던 런던 사우스뱅크 지역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건물 임대 등을 통해 번 수익금의 대부분을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원, 학교, 병원 유지 등에 사용하고 있다.
사우스컴은 영국 사회적기업 중 더 윤리적으로 경영하고 사회적 가치를 꾀하기 위해 민간부문과 경쟁을 하는 사례도 소개했다.. 영국에는 ‘전화협동조합’이 있어 우리나라의 이동통신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며, 자신도 전화협동조합에 가입한 사용자라고 밝혔다. 또한 사회적기업에게 대출을 해주는 트리오도스뱅크(Triodos Bank), 노숙인들이 잡지를 팔아 자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빅이슈(Big Issue)도 소개했다. 그는 잡지를 살 때마다 자선이 아니라, 동등한 상거래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의 중요성을 느낀다고 말했다.
전통적으로 정부가 맡았던 복지사업을 더 잘한다고 평가받는 사회적기업 사례도 소개했다. 원래 정부 소속이었던 사회복지사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사회적기업 ‘썬더랜드 홈케어’(Sunderland Home Care Associates)는 복지사들 스스로가 직접 사업을 하면서 서비스가 개선되고, 이직율도 낮아졌다고 사우스컴은 전했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인터넷망 제공회사를 사서 공유하거나, 에너지회사를 사서 태양력, 풍력 등을 지역사회에 공급하는 사례도 언급했다.
끝으로 수평적 조직 운영을 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수마(Suma)를 소개했다. 유기농 식품과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수마 사례를 통해 사우스컴은 사회적기업이란 비즈니스를 달리하는 방식임을 강조했다. 즉, 경영과 지배구조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열린 방식으로 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우스컴은 영국에서 사회적기업들은 첫 시작은 미약했지만,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정부 기관에도 영향을 주고, 더욱 발전을 거듭해 경기침체 시기에도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스페인의 몬드라곤 생활협동조합과 ‘FC바르셀로나’를 소개하며 사회적기업의 성장과 발전의 미래모델을 제시했다.
사회적기업의 4가지 이점
사우스컴은 사회적기업이 가진 이점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첫째, 배당금을 나눌 필요가 없다. 사회적기업은 근로자나 지역이 소유하므로 수익금은 마을에 다시 돌아가게 된다. 많은 돈을 경영자의 월급이나 주주 이익 배당금으로 쓰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다양한 지원을 끌어올 수 있다. 일하고자 하는 동기가 명확한 직원들과 지역사회 봉사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셋째, 자체적으로 벌어들인 수익과 함께 기부금이나 보조금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기업은 충실한 고객층을 갖고 있다. 사회적 가치에 동의하고 이를 나누고자 하는 사람들이 사회적기업에 지지를 보내기 때문이다.
사회적 기업의 핵심 ‘네트워킹과 협력’
사우스컴은 사회적기업의 핵심으로 네트워킹과 협력을 꼽았다. 그는 경쟁보다는 각 구성원 간 파트너십과 협력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의 이야기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사려 깊고 헌신적인 시민들로 구성된 작은 그룹이 세상을 변화시킨다. 이는 변하지 않는 유일한 진실이다.”(“Never doubt that a small group of thoughtful, committed citizens can change the world. lndeed, it is the only thing that ever has.”)
(녹취록 작성: 박효진 인턴 연구원, 사진: 숙명여대 앙트러프러너십센터 제공)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