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1.03.23 수정: 2014.11.12


“초과이익공유제라는… 공산주의인 지 사회주의인지… 경제학 교과서에도 없는….” 회장님의 입에서 나온 언어에 실망을 거둘 수 없었습니다. 그 내용이 ‘동반성장’과 ‘사회책임경영’ 같은 지금 한국 기업의 당면과제를 무시하고 있다는 점도 실망의 큰 원인이었습니다. 그러나 더 큰 실망은, 요즘 젊은이들은 좀처럼 떠올리지 않는 ‘공산주의’라는 낡은 이념을 꺼내들어 동반성장 노력을 비판하려 했다는 데서 왔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습니다. 회장님의 시간은, 이제 지나가고 말았다는 사실을.


스티브 잡스의 ‘경영’과 이건희 회장의 ‘지배’


회장님의 삼성은 두 가지 문제에서 낡은 기업이 되고 말았습니다.


첫째는 지배구조 문제입니다. 회장님의 지배권을 지키기 위해, 수많은 삼성인이 법정을 오갔습니다. 삼성은 안팎으로 가장 많은 법조인을 상대하는 한국 기업이 되고 말았습니다. 담배회사도 아닌 삼성이 이렇게 된 이유는 오직 하나, 얽히고설킨 지배구조였습니다. 법과 지분이 삼성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셨나 봅니다.


그런데 애플의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는 지분 0.6%만 가지고도 애플을 지키고 있습니다. 순환출자도, 복잡한 계열관계도 없습니다. 대신 그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투자자들의 입맛을 맞추고 설득하며 경영합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창업한 애플에서 쫓겨나기도 했지만, 결국 돌아와 세계 최고 경영자로 칭송받고 있습니다.


회장님이 ‘지분’이라는 안전판 뒤에서 삼성을 ‘지배’한다면, 잡스는 최전선에 서서 애플을 ‘경영’합니다. 그 앞에 삼성의 법정 공방은 너무나 초라하고 낡아 보입니다.


둘째는 비노조 경영 문제입니다. 가끔 외국 전문가들을 만나 삼성에 대해 설명하다가, 부끄러움에 턱 막히고 마는 곳이 바로 이 대목입니다. 국제사회가 정한 경영원칙인 유엔글로벌콤팩트, 올해부터 발효한 국제표준 ISO26000 등 모든 사회책임경영(CSR) 관련 국제표준에서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언급합니다. 2011년 7월이면 한국 기업에 복수노조 설립이 허용됩니다. 회사가 나서서 노조를 만들어 유지하는 비노조 경영은 어차피 끝납니다.


삼성에도 노조가 생길 것입니다. 시끄러워질 것입니다. 토론과 타협을 통한 경영에 익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갤럭시S와 트위터에 어울리는 경영자는


이제 ‘지분’의 안전판 뒤에 숨지 않고도, 노조를 막아 직원들을 침묵하게 만들지 않고도 경영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뒤처지게 됩니다. 삼성에도 위험 속에 온몸을 던져 경영하는, 그런 최고경영자가 필요한 시간이 됐습니다.


잡아야 할 화두가 많습니다. 소통의 정신을 구현할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중요합니다. 사회책임경영도 미래 화두입니다. 창조적 콘텐츠 개발 역시 그렇습니다. 그러나 회장님의 화두는 아닙니다. 갤럭시S와 트위터는, 위험에 몸을 맡긴 미래의 경영자가 만들고 사용해야 어울리는 제품입니다.


시간을 막아서는 사람이 있습니다. 시간을 헉헉대며 뒤쫓아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시간을 앞서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의 경영자는, 시간을 앞서가야 합니다. 그게 어려우면, 적어도 헉헉대면서 따라가기라도 해야 합니다.


처자식 빼고 다 바꾸고, 삼성 직원 모두 저녁회식 하지 말고 오후 4시에 퇴근해서 자기계발 하라며 ‘신경영’을 외쳤을 때, 회장님은 시간을 앞서가고 있었습니다. 스웨덴 발렌베리를 방문하고 사회공헌활동을 강조하고 창조경영을 내세웠을 때, 회장님은 시간을 뒤쫓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초과이익공유제’라는 단어를 듣고 공산주의를 떠올린 지금, 회장님은 시간을 막아서고 있습니다.


시간을 막아서는 경영자는, 흙탕물을 튀기며 물속의 다른 물고기들을 긴장시키는 메기 역할을 할 수 없습니다. 임직원들이 조개처럼 눈치를 보며 단단한 껍데기 안으로 숨도록 만들 뿐입니다. 사회의 뒷다리를 잡는 리더가 경영하는 조직은, 긴장과 생기를 잃고 관료화하기 마련입니다.


회장님, 이제 삼성을 내려놓으실 시간이 됐습니다.


초과이익공유제, 진정한 토론을 원한다면


회장님이 ‘발언이 진의가 아니었다'며 한발 물러섰다고 김순택 삼성 미래전략실장은 전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초과이익공유제라는 제도는, 토론해 볼 만합니다. 찬성할 수도 반대할 수도 있습니다. 오랜 경험을 지닌 경영자로서, 회장님의 의견도 경청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왜 회장님의 발언은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건전한 토론으로 이어지지 않았을까요? 그것 역시 삼성을 내려놓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삼성은 제가 이 글을 실은 <한겨레>에도 거액의 광고를 집행하기도 하고 하지 않기도 하면서 경영의 목줄을 쥐고 흔듭니다. 다른 언론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정운찬 전 총리가 이끌던 동반성장위원회 역시 삼성이 얼마나 참여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도 언론도 비영리단체도, 삼성의 눈치를 안 보고는 견디기 힘듭니다. 그러다 보니 모두들 회장님 말씀을 받아쓰기에 바쁠 뿐, 토론이 성사되지 않습니다.


관자놀이에 총구를 들이댄 채 “초과이익공유제가 공산주의냐 사회주의냐"를 물어서는, 제대로 된 토론이 이루어지기 힘듭니다. 회장님의 한 마디를 모든 언론이 대서특필하는 이유는, 그 총 때문입니다.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그 총 때문입니다. 지혜가 담긴 토론을 원하신다면, 한국사회의 ‘메기’가 되고자 하신다면, 그 총을 먼저 내려놓으셔야 합니다. 삼성을 내려놓으셔야합니다.


이건희 회장님, 이제 삼성을 내려놓으실 시간이 됐습니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장 드림

http://www.facebook.com/lee.wonjae.fb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그리스 총리 입만 보는 세계경제 - HERI 경제뉴스해설(11/4)

등록: 2011.11.04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사실상 철회 먼 나라 그리스가 아주 가깝게 느껴진다. 글로벌 경제의 특징이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1야당인 신민당이 2차 구제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18

[착한경제] 내년 1분기 위기설 나온다 - HERI 경제뉴스 해설(11/3)

등록: 2011.11.03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사태 등으로 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위기 국면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는지? 몇 가지 좋지 않은 신호가 있다. 우선 그리스 불확실성이 커졌다. 우여곡절 끝...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78

[착한경제] 그리스 파산으로 가나 – HERI 경제뉴스해설(11/2)

등록: 2011.11.02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추진, 세계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그리스 총리가 돌연 유로화 사용국가의 2차 지원안에 대한 국민투표안을 들고 나오면서, 어렵게 마련한 지원안이 부결될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65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 HERI 경제해설(10/31)

등록: 2011.10.31 수정: 2014.11.12 1.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경제력이 취약한 가계의 빚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 어떤 내용인가요...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14

[착한경제] 유럽의 아름다운 타협 - HERI 경제뉴스해설(10/28)

등록: 2011.10.28 수정: 2014.11.12 1. 유럽에서 온 좋은 소식 27일 새벽 4시(현지 시각, 한국 시각 27일 오전 11시) 벨기에 브뤼셀의 EU 정상회의 회견장에 기자들이 호출됐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유로화 사용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08

[착한경제] 3분기 기업실적 악화 – HERI 경제뉴스 해설(10/27)

등록: 2011.10.27 수정: 2014.11.12 1. EU정상회의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26일(현지시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을 9%로 확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EU 정상들은 그러나 심야까지 회의를 거듭하면서도 그리스 국...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46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52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22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15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63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71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28

[착한경제] ‘빈곤퇴치, 자립, 그리고 적극적 평화’ - 유누스 박사 강연

등록: 2011.08.18 수정: 2014.11.12 “We can create our own world as we want. It is a question of making up our mind. If we want to do it, it will get done.” - Muhammad Yunus (Aug 16, 2011, Seoul) 마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81

[착한경제] “재벌 2,3세들, 두려움에 떨고 있다”

등록: 2011.08.08 수정: 2014.11.12 2011년 8월 6일, MBC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 출연했습니다. 주제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었습니다. 진행자인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시원하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99

[착한경제]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

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 HERI
  • 2014.11.12
  • 조회수 6900

[착한경제] 대지진 뒤 일본사회, 근본적 변화가 온다

등록: 2011.7.28 수정: 2014.11.12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덮친 대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일본 사회 근본적 변화의 촉발점이 됐습니다. 일본 최고 경제평론가이며 민주당 외교정책의 막후 브레인으로 불리는 테라시마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63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의 눈물과 평창

등록: 2011.7.26 수정: 2014.11.12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평창입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퍼지는 순간, 한국 참석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눈에 띄는 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눈물을 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17

[착한경제] GDP는 틀렸다

등록: 2011.7.13 수정: 2014.11.12 GDP는 틀렸다. 무슨 소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GDP는 무조건 옳다고 배웠다. 내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때는 GDP 숫자를 따져 1인당 2만 달러가 넘었다느니, 세계 10위권에 들었다느니 하면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7878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13

[착한경제] 카이스트의 연쇄 자살, 15년 전과 지금

등록: 2011.04.13 수정: 2014.11.12 카이스트에서 네 명의 학생이 연달아 자살한다. 세계적으로 촉망받던 교수 한 명도 자살한다. 학교 쪽은 상담과 심리치료 등의 제도 개선책을 내놓는다. 올해 이야기가 아니다. 1996년 봄 몇몇...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