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등록: 2011.02.09 수정: 2014.11.12


자동차가 달리려면 기름을 넣어야 한다. 그러나 기름만 넣는다고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빠르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움직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더욱 생각할 것이 많다. 차체가 튼튼하고 안전해야 하고, 운전기사도 유능하고 선량해야 하며, 지도에서 올바른 길을 찾아내기도 해야 한다. 나를 잘 모시겠다면서 기름만 찾고 있는 운전기사는 어쩐지 불안하다.


요즘 보편적 복지와 재정을 둘러싼 논쟁을 지켜보며 받는 느낌이다.


‘의무급식'에서 시작해 ‘무상의료', ‘무상보육' 등 보편적 복지 정책과 관련된 논쟁이 한창이다. 그리고 그 논란의 축은 이제 ‘돈'으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보편적 복지를 하려면 재정이 많이 드는데, 그러려면 돈을 써야 하는 국가가 기존 재정을 아끼거나 세금을 더 거두어 재정 여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그렇게 해서 국가가 더 많은 복지를 제공하게 하면, 복지사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 돈을 마련하는 게 가장 중요하게 보인다.


나는 한국사회에 복지가 늘어나야 하고, 가능하면 그 복지는 보편적 성격이어야 한다는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그러나 그 논의가 국가의 재정과 역할에 대한 것으로만 집중되는 것은 어쩐지 불편하다.


복지재정 논쟁에 대한 나의 불편함 속에는 세 가지 이유가 있었다.


첫째, 사고방식의 문제다. ‘재정’은 ‘복지’라는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필요한 ‘투입’이다. 재정 논쟁에 빠지다 보면 자칫 투입 중심 사고에 빠질 수 있다. ‘복지’라는 최종 성과를 중심에 놓은 사고방식을 가져야 좋은 정책을 설계할 수 있다.


지금도 정부는 몇 조 원을 들여서 사업을 벌인다고 발표하면서 자랑스러워한다. 그러나 그 돈이 원래 목적한 성과를 얼마나 냈는지는 감감 무소식인 경우가 흔하다. 복지 재정을 확충해 복지국가를 만들더라도, 이런 투입 중심 사고방식이 성과 중심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그 재정이 실제 성과인 ‘복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둘째, 역할 분담의 문제다. 복지는 국가의 것만은 아니다. 기업과 시민사회의 역할을 함께 생각해야만 논리가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 중소기업 임직원들의 복지는 납품 대기업과의 거래관계를 빼 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중소기업이 기술을 개발해 원가를 절감하면, 대기업이 납품가격을 더 깎아 버리고 기술까지 가져가곤 하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복지는, 일자리의 불안정성을 빼 놓고는 말할 수 없다.


국가의 복지정책을 통해 사회임금이 늘어나더라도, 시장은 이 증가분을 언제든 도로 빼앗아 올 수 있다. 복지국가에서도 복지는 지체되거나 오히려 줄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충분히 인식되고 실행되지 않는다면 말이다.


시민사회의 역할도 매우 크다. 기업이 책임 있게 움직이도록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결국 깨어 있는 소비자와 투자자다. 이들이 책임 있는 기업에 투자하고 그 물건을 구매할 때, 기업은 변화한다. 이들을 깨우는 게 바로 시민사회의 역할이다. 시민사회가 직접 만드는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등 사명 중심 기업 역시 기업의 변화를 견인할 수 있다.


셋째, 전략의 문제다. 사업에는 늘 공감이 먼저다. 돈은 나중이다. 어떤 위대한 사업도 재정계획부터 출발하지 않았다. 먼저 뛰어들고, 헌신하고,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낸 다음, 투자자와 후원자가 등장했다. 그리고 돈이 모였고, 성과를 증폭시킬 수 있었다.


보편적 복지는 이제 막 국민들에게 소개됐다. 이게 왜 중요한지에 대한 공감을 얻는 게 먼저다. 누군가 뛰어들어서 그 비전으로 국민을 먼저 감동시켜야 한다. 돈 이야기부터 먼저 꺼내는 것은, 스스로 확신이 부족하다는 인상만 증폭시킨다.


지금의 복지 논쟁은 너무나 중요하다. 우리 사회가 사람을 어떻게 대접해야 하는 것인가를 다시 정의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 대접에 대해 사회 전체가 토론하고, 서로 공감과 합의를 만들어내는 장이 건국 이래 최초로 열린 셈이다. 그래서 더욱 정교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 기회를 놓치면 정말 곤란하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착한경제] 그리스 총리 입만 보는 세계경제 - HERI 경제뉴스해설(11/4)

등록: 2011.11.04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사실상 철회 먼 나라 그리스가 아주 가깝게 느껴진다. 글로벌 경제의 특징이다.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총리가 3일(현지시간) 제1야당인 신민당이 2차 구제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29

[착한경제] 내년 1분기 위기설 나온다 - HERI 경제뉴스 해설(11/3)

등록: 2011.11.03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사태 등으로 경제 상황이 전반적으로 위기 국면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는지? 몇 가지 좋지 않은 신호가 있다. 우선 그리스 불확실성이 커졌다. 우여곡절 끝...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97

[착한경제] 그리스 파산으로 가나 – HERI 경제뉴스해설(11/2)

등록: 2011.11.02 수정: 2014.11.12 1. 그리스 총리 국민투표 추진, 세계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그리스 총리가 돌연 유로화 사용국가의 2차 지원안에 대한 국민투표안을 들고 나오면서, 어렵게 마련한 지원안이 부결될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4878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 HERI 경제해설(10/31)

등록: 2011.10.31 수정: 2014.11.12 1. 내년 말 가계대출 대란 올까 경제력이 취약한 가계의 빚 부담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한국은행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 어떤 내용인가요...

  • HERI
  • 2014.11.12
  • 조회수 4633

[착한경제] 유럽의 아름다운 타협 - HERI 경제뉴스해설(10/28)

등록: 2011.10.28 수정: 2014.11.12 1. 유럽에서 온 좋은 소식 27일 새벽 4시(현지 시각, 한국 시각 27일 오전 11시) 벨기에 브뤼셀의 EU 정상회의 회견장에 기자들이 호출됐다.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유로화 사용 ...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27

[착한경제] 3분기 기업실적 악화 – HERI 경제뉴스 해설(10/27)

등록: 2011.10.27 수정: 2014.11.12 1. EU정상회의 결과가 나왔다면서요? 유럽연합(EU) 정상들이 26일(현지시간) 유럽 은행들의 자본을 9%로 확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EU 정상들은 그러나 심야까지 회의를 거듭하면서도 그리스 국...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60

[착한경제] EU정상회담 어디로 갈까 – HERI 경제뉴스 해설(10월 26일)

등록: 2011.10.26 수정: 2014.11.12 1. 유럽연합 재무장관회의 취소, 뉴욕증시 하락 유럽연합 EU가 2차 정상회담 전 개최할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를 취소했습니다. EU 집행위원회는 EU 정상들은 26일 열 예정이던 27개 EU 회원...

  • HERI
  • 2014.11.12
  • 조회수 4469

[착한경제] 신용카드 목장의 결투 – HERI의 경제뉴스 해설(10/25)

등록: 2011.10.25 수정: 2014.11.12 1. 신용카드 수수료 논란, 정부가 나서다 ---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놓고 논란이 한창인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요? 당국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의 타당성을 재점검한다. 업계에서도...

  • HERI
  • 2014.11.12
  • 조회수 5330

‘안철수 현상’의 경제적 함의

등록: 2011.09.28 수정: 2014.11.12 안철수 신드롬의 경제적 함의 - ‘안철수 현상’을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빌 게이츠의 ‘창조적 자본주의’와 함께 읽다 * 이 글은 2011년 9월 29일 열리는 '안철수 현상과 한국사회'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23

[착한경제] 한국경제, 언제까지 국제금융가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할 것인가?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기원전 12세기 그리스가 ‘목마’라는 계책으로 10년 걸린 공성전을 마무리 한 트로이 전쟁은 경제가 발단이 됐다. 땅이 비옥하지 않은 그리스는 올리브와 포도나무 외에는 변변한 소출이 없었...

  • HERI
  • 2014.11.12
  • 조회수 4569

[착한경제] 경제위기, 낙관의 이유와 비관의 이유

등록: 2011.09.26 수정: 2014.11.12 ‘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급상승하고, 주가는 요동을 친다. 대기업이 줄줄이 파산하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던 1997~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를 떠...

  • HERI
  • 2014.11.12
  • 조회수 4781

[착한경제] 구글도 애플처럼 닫힌 생태계를 향하나

등록: 2011.08.19 수정: 2014.11.12 구글의 모토롤라 휴대폰 사업 인수 발표가 화제다. 구글이 밝히고 있는 이 기업의 목표는 “전 세계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글은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45

[착한경제] ‘빈곤퇴치, 자립, 그리고 적극적 평화’ - 유누스 박사 강연

등록: 2011.08.18 수정: 2014.11.12 “We can create our own world as we want. It is a question of making up our mind. If we want to do it, it will get done.” - Muhammad Yunus (Aug 16, 2011, Seoul) 마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88

[착한경제] “재벌 2,3세들, 두려움에 떨고 있다”

등록: 2011.08.08 수정: 2014.11.12 2011년 8월 6일, MBC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에 출연했습니다. 주제는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었습니다. 진행자인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과 시원하게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12

[착한경제] ‘우리는 왜 사회적 기업을 원하는가?’

등록: 2011.08.05 수정: 2014.11.12 “정부나 대기업 지원에 대한 의존보다는 사회적기업의 창의성과 자발성, 사회적가치가 지속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영국 사회적기업 운동의 선구자이자 소셜엔터프라이즈유럽(Social Enterprise...

  • HERI
  • 2014.11.12
  • 조회수 6910

[착한경제] 대지진 뒤 일본사회, 근본적 변화가 온다

등록: 2011.7.28 수정: 2014.11.12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덮친 대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일본 사회 근본적 변화의 촉발점이 됐습니다. 일본 최고 경제평론가이며 민주당 외교정책의 막후 브레인으로 불리는 테라시마 지...

  • HERI
  • 2014.11.12
  • 조회수 5873

[착한경제] 이건희 회장의 눈물과 평창

등록: 2011.7.26 수정: 2014.11.12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평창입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목소리가 장내에 울려퍼지는 순간, 한국 참석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리고 눈에 띄는 한 장면이 있었다. 바로 눈물을 보...

  • HERI
  • 2014.11.12
  • 조회수 5126

[착한경제] GDP는 틀렸다

등록: 2011.7.13 수정: 2014.11.12 GDP는 틀렸다. 무슨 소리인가. 지금까지 우리는 GDP는 무조건 옳다고 배웠다. 내 나라를 자랑스러워할 때는 GDP 숫자를 따져 1인당 2만 달러가 넘었다느니, 세계 10위권에 들었다느니 하면서...

  • HERI
  • 2014.11.12
  • 조회수 7893

[착한경제] TV 맛집이 맛이 없는 이유

등록: 2011.6.30 수정: 2014.11.12 비 내리는 저녁, 혼자 광화문에 있는 극장 ‘스폰지하우스'를 찾아갔다. 화제의 영화 <트루맛쇼>를 보기 위해서였다. 영화는 내레이션으로 시작됐다. “나는 티브이에 나오는 맛집이 왜 맛이 없는...

  • HERI
  • 2014.11.12
  • 조회수 5222

[착한경제] 카이스트의 연쇄 자살, 15년 전과 지금

등록: 2011.04.13 수정: 2014.11.12 카이스트에서 네 명의 학생이 연달아 자살한다. 세계적으로 촉망받던 교수 한 명도 자살한다. 학교 쪽은 상담과 심리치료 등의 제도 개선책을 내놓는다. 올해 이야기가 아니다. 1996년 봄 몇몇...

  • HERI
  • 2014.11.12
  • 조회수 5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