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이현숙한겨레경제연구소장.JPG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청년들이 사는 고시원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4제곱미터 남짓한 공간에, 침대 발치는 책상 밑에 들어가 있었다. 창문이 없어 공기는 탁했다. 복도에도 빛이 들어오지 않아 한낮인데도 어두컴컴했다. 이런 열악한 시설에도 월 30만원이 넘는 주거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청년들은 이중고를 호소했다.

실제 통계치도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고 있는 청년들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계청의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보면 서울 거주 청년들 3명 가운데 1명은 주거빈곤층이다. 주거빈곤율은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거나 옥탑방, 고시원 등 주택법상 주거공간이 아닌 곳에 거주하는 비율을 말한다. 10년 전과 비교해보면 서울 전체 가구의 주거빈곤율은 27%에서 22%로 계속 낮아지는 가운데 19~34살 청년세대는 32%에서 37%로 오히려 높아졌다. 청년들의 주거환경은 계속 나빠지고 있다는 뜻이다. 자녀가 없고 부양가족이 없어 공공임대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것도 원인 중 하나다. 주거빈곤 청년들은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집이 없는 민달팽이를 빗대 ‘민달팽이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청년들이 스스로 주거문제를 풀어가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청년주거 관련 단체들은 청년 주거 문제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대안을 찾기 위해 애써왔다. 특히 민달팽이유니온은 직접 주택협동조합을 만들고, 협동조합 주택 두 채를 꾸리고 있다. 조합원들의 출자금에 후원과 대출을 더해 집을 빌린 뒤 조합원들에게 임대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셰어하우스 우주’는 낡은 주택을 빌려 고친 뒤 취미 등 공통의 테마를 가진 입주자들을 받아 ‘하우스 셰어’를 할 수 있게 돕는다. 현재 19채의 거주지에 130여명의 청년들이 입주해 함께 살고 있다.

늘어나는 ‘민달팽이족’을 위해 서울시도 올해 들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연초에 청년문제를 전담하는 부서로 ‘청년정책담당관’을 만들었다. 또한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 청년기본조례’도 제정했다. 일자리 만들기에서 더 나아가 생활안정 전반으로 지원 범위를 넓힌 것이다. 당사자인 청년들이 직접 참여해 ‘2020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서울시와 함께 만들고 있다.

아울러 민간과 협력하는 ‘빈집살리기’라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심의 빈집을 고쳐 청년 등 저소득층에게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다음달 첫선을 보인다. 또한 이달 들어 민관 출자형 사회주택 공급도 시작했다. 서울시가 주택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 조직에 땅을 빌려주고, 이들이 집을 지어 싼값에 임대하는 방식이다. 100% 시 예산으로 짓는 공공임대도 아니고 건설사·조합 등 민간임대도 아닌 중간 형태인 셈이다.

청년 민달팽이들은 비단 서울만이 아니라 급속한 성장을 한 아시아 대도시에서 생겨나고 있다. 작은 집에서 여러 가족이 거주하거나 방 한 칸을 칸막이로 나눠 여러 명이 사는 주거형태는 청년들을 포함한 도시 서민들의 삶의 모습이 되었다. 아시아 곳곳에서 주거빈곤 문제를 풀어가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등이 주거빈곤층의 문제를 사회적 경제 방식으로 풀어가는 사례도 늘고 있다.


다가오는 7월2일 서울에 아시아 청년 사회혁신가들이 모인다. 한겨레신문사가 주최하는 포럼에서 이들은 청년 당사자의 주거문제를 넘어 주거빈곤과 주거공동체로 주제를 넓혀 머리를 맞댄다. 인도, 홍콩, 대만, 일본, 필리핀 등 10여명의 청년 혁신가들은 한국의 청년들과 함께 다양한 사례를 공유한다. 아시아의 민달팽이들을 위한 청년 혁신가들의 열띤 토론이 기대된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hslee@hani.co.kr

등록 :2015-06-14 20:35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95946.html
첨부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싱크탱크 시각] 우린 도대체 무얼 먹고 있는걸까

얼마 전 간장을 사러 동네슈퍼에 갔다. 식구가 적어 간장을 가끔 사다보니, 늘 처음 보는 상품들이 많다. ‘자연 그대로’ ‘무첨가’ ‘자연숙성’ 등 포장 앞면의 수식어는 엇비슷해 상품 선택에 별 도움이 안 된다. 포장...

  • admin
  • 2015.08.17
  • 조회수 5456

[싱크탱크 시각] 누가 청년을 고용절벽으로 내모는가?

언제부터인가 ‘고용 절벽’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통념상 고용 절벽은 기업의 고용 여력이 떨어지면서 일자리가 급감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소 섬뜩한 이 단어가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내년...

  • admin
  • 2015.08.03
  • 조회수 5180

[유레카] 금과 달러

국제 금값은 서구 은행들이 결정하는 ‘런던 금 가격’이 표준이다. 1트로이온스(약 31g) 가격을 달러화로 표시해, 런던 시각 기준으로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공시한다. 1919년부터 시작된 관행이다. 지난해 일부 은행의 ...

  • admin
  • 2015.07.29
  • 조회수 6607

[김공회의 경제산책] 우리의 ‘거울’이기도 한 그리스

요즘 그리스를 보며 우리 자신을 돌아보곤 한다. 단순히 과거에 우리가 그와 비슷한 처지에 있어봤기 때문이 아니다. 그리스의 현재가 한국경제의 중요한 일면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왜 그리스는 위기에 빠졌는가? 한쪽에...

  • admin
  • 2015.07.28
  • 조회수 6470

[싱크탱크 시각] 외씨버선길의 ‘느린 경제’ 실험

2007년 제주 올레길을 시작으로 전국 곳곳에 걷는 길들이 유행처럼 만들어졌다. 걷기여행길 종합안내 누리집을 보면 현재 전국에 걷는 코스는 1600여개에 이른다. 5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많은 길들이 생겨난...

  • admin
  • 2015.07.27
  • 조회수 5851

[한겨레 프리즘] 진보정치의 열린 틈새

2004년 총선에서 신생 민주노동당은 정당득표율 13.1%를 얻어 단번에 10석을 획득했다. 선거 직후 시골 폐교를 약간 손본 남원연수원에서 국회의원과 평당원이 어울려 밤새 토론하고 의원도 자기 식기는 손수 설거지를 하는 ...

  • admin
  • 2015.07.20
  • 조회수 5244

[싱크탱크 시각] 대통령이 정치를 하는 이유?

박순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부원장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 8일 원내대표 사퇴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다고 했다. 그가 정치를 하는 이유는 민주공화국...

  • admin
  • 2015.07.13
  • 조회수 5100

[유레카] 엘리엇 펀드

전세계 헤지펀드는 1만1천여개, 운용자산은 3천조원으로 추산된다. 투자금보다 많은 돈을 차입하는 게 관행이어서, 실제 굴리는 돈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 헤지펀드는 말 그대로 투자 위험을 철저히 회피(hedge·헤지)하는 ‘무위...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234

[싱크탱크 시각] ‘사회책임 조달’의 의미있는 진전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서울 서대문구의 뒷골목 청소는 사회적 기업이 맡고 있다. 청소용역 사회적 기업 ‘한누리’는 3년 전 서대문구청의 뒷골목 청소사업을 위탁받았다. 단기 공공근로 때보다 지역주민 ...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600

[싱크탱크 시각] ‘민달팽이족’을 위한 아시아 협력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청년들이 사는 고시원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4제곱미터 남짓한 공간에, 침대 발치는 책상 밑에 들어가 있었다. 창문이 없어 공기는 탁했다. 복도에도 빛이 들어오지 않아 한낮인데도 어두컴컴했다...

  • admin
  • 2015.06.15
  • 조회수 5187

[유레카] 면세점

면세점(duty-free shop)의 기원은 중세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러 나라 항구를 뱃길로 드나드는 무역상이 음식물과 술·담배를 구입할 때 해당국 세금을 면해주던 데서 출발했다. 최초의 공항면세점은 1945년 문을 연 아일랜...

  • admin
  • 2015.06.09
  • 조회수 6328

[유레카] 제론토크라시

노인들의 삶의 질은 한 나라의 경제력과 노인 비중에 비례하기 마련이다. 영국의 노인 인권단체 ‘헬프에이지 인터내셔널’(Help-Age International)의 자료(2013년 기준)를 보면, 전세계에서 노인들이 가장 살기 좋은 나라는 ...

  • admin
  • 2015.05.14
  • 조회수 7940

[싱크탱크 시각] 첫발 뗀 사회주택, 반갑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3년 전 사회적경제 연수단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비영리 임대협동조합주택을 찾았다. 번화한 도심 바로 뒤편에 102가구가 사는 ‘로어 크릴’ 협동조합주택은 2002년 공공, 비영리, 민간 영역...

  • admin
  • 2015.05.04
  • 조회수 6185

[싱크탱크 시각] 사회적경제법, 마지막 오르막길

1년 전 이맘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났다. 사회적경제언론인포럼이라는 공부모임에서였다. 매달 한 번씩 초대손님을 모셔 사회적 경제 분야 이야기를 듣고 토론하는 자리다. 그달 초대손님으로 참석한 유 대표는 사회적경...

  • admin
  • 2015.04.13
  • 조회수 5659

[유레카] 선분배 정책

총선을 2개월 앞둔 영국 노동당의 핵심 전략은 ‘선분배 정책’(Pre-distribution)이다. 이미 발생한 불평등을 조세와 복지 정책으로 사후에 보완하는 정책(2차 분배)이 아니라, 소득 분배가 이뤄지는 단계에서 불평등을 완화하...

  • admin
  • 2015.03.26
  • 조회수 5916

[싱크탱크 시각] ‘힘내라’ 대학생협

협동조합이 봄기운처럼 퍼지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지 2년 만에 6000여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기본법 시행 이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도 성장...

  • admin
  • 2015.03.23
  • 조회수 6159

[유레카] 불황과 불륜

불경기엔 이혼이 증가한다. 통계청의 연간 이혼 건수를 보면, 1990년대 이후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때는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28.0%)이다. 다음으로 높았던 게 카드대란을 겪은 2003년(15.0%)이다. 이후 줄곧 감소하던...

  • admin
  • 2015.03.04
  • 조회수 6867

[싱크탱크 시각] 최저임금 후진국 언제까지?

사람은 왜 일을 하는가? 가장 공통된 이유는 ‘인간답게 먹고살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일을 해도 생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노동자들이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의를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노동...

  • admin
  • 2015.03.02
  • 조회수 6627

[싱크탱크 시각] ‘부자들의 나라’ 필리핀, 남 얘기 아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0대들아, 대한민국의 미래는 필리핀이다.’ 5년 전 서울대생이 교내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린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제목에서 엿볼 수 있듯이 심각한 양극화가 가져올 암울한 미래 예...

  • admin
  • 2015.02.09
  • 조회수 8533

[유레카] 증세 없는 복지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오너십 사회’(ownership society)를 국정 목표로 내걸었다. 개인이 스스로 부를 늘리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의료와 교육 등 공적 영역은 급격히 축소됐다. ‘부자 국민’...

  • admin
  • 2015.02.04
  • 조회수 5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