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싱크탱크 시각] 장그래처럼 버텨라

admin 2014. 12. 30
조회수 5823

138414679068_20131111.jpg



대학 졸업 뒤 첫 직장에서 만난 20년 지기가 있다. 몇 년 전부터 진로교육에 관심을 갖고 자격증도 따며 대학원 공부도 했다. 올해 들어 관련 협회에서 만난 20여명과 사업자협동조합을 만들었다. 숫자에 밝고 발 빠른 친구라 조합 이사가 되고 이사장 자리도 맡았다. 근데 세밑 송년모임에서 만난 이 친구가 하소연을 했다. 협동조합 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협동조합 이사장은 일은 죽어라 하면서도 활동비는 못 받고, 욕만 먹다 결국에는 문 닫는 역할을 하는 자리라는 자조 섞인 우스개까지 나돈단다.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지 2년이 지났다. 전국에 6000개의 협동조합이 생길 정도로 양적으론 크게 늘었다. 물론 그 이전에 8개 특별법을 토대로 만들어진 농협, 수협, 신협, 소비자생협 등 5200여개의 ‘선배’ 협동조합이 있다. 기본법 시행으로 협동조합은 5명 이상이 모여 금융과 보험 업종을 뺀 모든 업종에서 만들 수 있게 되면서 그간 막혔던 물꼬가 트이게 된 것이다. 주요 업종은 도소매업, 농어업, 교육서비스, 제조 등이고, 유형별로는 사업자, 다중이해관계자, 직원, 소비자 등 다양하다.


그런데 아쉽게도 사업을 제대로 하는 곳은 많지 않다. 전체 설립 협동조합 가운데 등기와 사업자 등록을 마친 곳은 대략 4000곳이다. 사업을 제대로 시작한 곳은 2000곳에 미치지 못한다. 사업 아이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거나 내부갈등, 자본부족 등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어찌 보면 2년간 협동조합의 초라한 사업성적표는 예상했던 결과다. 경쟁과 효율 중심의 한국 사회에서 1인1표에 기초한 사람 중심의 결사체인 협동조합이 쉽게 뿌리내리긴 어렵다. 나와 같이 살아가고 나와 혜택을 나눠 가지면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행복을 추구하면서 더불어 사는 능력이 우리에겐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 대부분의 협동조합이 가장 힘든 점으로 ‘협동’을 꼽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럼에도 협동조합을 하면서 더불어 사는 능력을 만들어 나갈 수 있고, 우리 사회의 신뢰 자산도 쌓을 수 있다. 협동조합 틀에서 사람들은 함께 조직을 만들고 참여하는 절차를 거치며, 소통하면서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해 가는 과정을 배울 수 있다. <제로성장의 시대가 온다>에서 리처드 하인버그는 저성장 시대의 해법으로 협력과 연대의 중요성을 꼽았다. 그는 저성장 시대에는 기존의 성장 위주 방식이 작동하지 않기에 지역 공동체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는 협력의 경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인버그의 메시지처럼 저성장 시대에 협동조합은 중요한 경제주체가 될 것이다. 이미 협동조합은 세계경제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한다. 260만 협동조합에는 10억명의 조합원과 고객, 2억5000만개의 일자리가 있으며, 연매출 3조달러, 총자산은 200조달러에 이른다. 200년간의 협동조합 운동이 일궈낸 성과다.


진눈깨비가 흩날리던 그날 밤, 협동조합 이사장인 친구의 고민을 들으면서 결국 내가 한 말은 ‘버텨라’였다. 드라마 <미생>에서 오상식 차장이 회사를 떠나면서 장그래에게 한 말 역시 버텨라였다. 그리고 그는 ‘이겨내라’는 말을 덧붙였다. 나는 대신 친구에게 희망을 가지라고 말하고 싶었다.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는 지금은 미약하지만 우리의 희망이 될 수 있다. 중국 작가 루쉰의 <고향>과 미국 시인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에서처럼 길은 원래 있던 것이 아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길이 되는 것이다. 희망 역시 길처럼 만들어 가는 것이다. 협력과 연대로 희망은 생겨나고 그리고 그 희망이 또 다른 희망을 키워갈 수 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hslee@hani.co.kr



등록 : 2014.12.28 18:58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싱크탱크 시각] 우린 도대체 무얼 먹고 있는걸까

얼마 전 간장을 사러 동네슈퍼에 갔다. 식구가 적어 간장을 가끔 사다보니, 늘 처음 보는 상품들이 많다. ‘자연 그대로’ ‘무첨가’ ‘자연숙성’ 등 포장 앞면의 수식어는 엇비슷해 상품 선택에 별 도움이 안 된다. 포장...

  • admin
  • 2015.08.17
  • 조회수 5456

[싱크탱크 시각] 누가 청년을 고용절벽으로 내모는가?

언제부터인가 ‘고용 절벽’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통념상 고용 절벽은 기업의 고용 여력이 떨어지면서 일자리가 급감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소 섬뜩한 이 단어가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내년...

  • admin
  • 2015.08.03
  • 조회수 5180

[유레카] 금과 달러

국제 금값은 서구 은행들이 결정하는 ‘런던 금 가격’이 표준이다. 1트로이온스(약 31g) 가격을 달러화로 표시해, 런던 시각 기준으로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공시한다. 1919년부터 시작된 관행이다. 지난해 일부 은행의 ...

  • admin
  • 2015.07.29
  • 조회수 6607

[김공회의 경제산책] 우리의 ‘거울’이기도 한 그리스

요즘 그리스를 보며 우리 자신을 돌아보곤 한다. 단순히 과거에 우리가 그와 비슷한 처지에 있어봤기 때문이 아니다. 그리스의 현재가 한국경제의 중요한 일면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왜 그리스는 위기에 빠졌는가? 한쪽에...

  • admin
  • 2015.07.28
  • 조회수 6470

[싱크탱크 시각] 외씨버선길의 ‘느린 경제’ 실험

2007년 제주 올레길을 시작으로 전국 곳곳에 걷는 길들이 유행처럼 만들어졌다. 걷기여행길 종합안내 누리집을 보면 현재 전국에 걷는 코스는 1600여개에 이른다. 5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많은 길들이 생겨난...

  • admin
  • 2015.07.27
  • 조회수 5851

[한겨레 프리즘] 진보정치의 열린 틈새

2004년 총선에서 신생 민주노동당은 정당득표율 13.1%를 얻어 단번에 10석을 획득했다. 선거 직후 시골 폐교를 약간 손본 남원연수원에서 국회의원과 평당원이 어울려 밤새 토론하고 의원도 자기 식기는 손수 설거지를 하는 ...

  • admin
  • 2015.07.20
  • 조회수 5244

[싱크탱크 시각] 대통령이 정치를 하는 이유?

박순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부원장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 8일 원내대표 사퇴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다고 했다. 그가 정치를 하는 이유는 민주공화국...

  • admin
  • 2015.07.13
  • 조회수 5100

[유레카] 엘리엇 펀드

전세계 헤지펀드는 1만1천여개, 운용자산은 3천조원으로 추산된다. 투자금보다 많은 돈을 차입하는 게 관행이어서, 실제 굴리는 돈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 헤지펀드는 말 그대로 투자 위험을 철저히 회피(hedge·헤지)하는 ‘무위...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234

[싱크탱크 시각] ‘사회책임 조달’의 의미있는 진전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서울 서대문구의 뒷골목 청소는 사회적 기업이 맡고 있다. 청소용역 사회적 기업 ‘한누리’는 3년 전 서대문구청의 뒷골목 청소사업을 위탁받았다. 단기 공공근로 때보다 지역주민 ...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600

[싱크탱크 시각] ‘민달팽이족’을 위한 아시아 협력

얼마 전 한 방송에서 청년들이 사는 고시원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4제곱미터 남짓한 공간에, 침대 발치는 책상 밑에 들어가 있었다. 창문이 없어 공기는 탁했다. 복도에도 빛이 들어오지 않아 한낮인데도 어두컴컴했다...

  • admin
  • 2015.06.15
  • 조회수 5188

[유레카] 면세점

면세점(duty-free shop)의 기원은 중세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러 나라 항구를 뱃길로 드나드는 무역상이 음식물과 술·담배를 구입할 때 해당국 세금을 면해주던 데서 출발했다. 최초의 공항면세점은 1945년 문을 연 아일랜...

  • admin
  • 2015.06.09
  • 조회수 6328

[유레카] 제론토크라시

노인들의 삶의 질은 한 나라의 경제력과 노인 비중에 비례하기 마련이다. 영국의 노인 인권단체 ‘헬프에이지 인터내셔널’(Help-Age International)의 자료(2013년 기준)를 보면, 전세계에서 노인들이 가장 살기 좋은 나라는 ...

  • admin
  • 2015.05.14
  • 조회수 7940

[싱크탱크 시각] 첫발 뗀 사회주택, 반갑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3년 전 사회적경제 연수단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비영리 임대협동조합주택을 찾았다. 번화한 도심 바로 뒤편에 102가구가 사는 ‘로어 크릴’ 협동조합주택은 2002년 공공, 비영리, 민간 영역...

  • admin
  • 2015.05.04
  • 조회수 6185

[싱크탱크 시각] 사회적경제법, 마지막 오르막길

1년 전 이맘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만났다. 사회적경제언론인포럼이라는 공부모임에서였다. 매달 한 번씩 초대손님을 모셔 사회적 경제 분야 이야기를 듣고 토론하는 자리다. 그달 초대손님으로 참석한 유 대표는 사회적경...

  • admin
  • 2015.04.13
  • 조회수 5659

[유레카] 선분배 정책

총선을 2개월 앞둔 영국 노동당의 핵심 전략은 ‘선분배 정책’(Pre-distribution)이다. 이미 발생한 불평등을 조세와 복지 정책으로 사후에 보완하는 정책(2차 분배)이 아니라, 소득 분배가 이뤄지는 단계에서 불평등을 완화하...

  • admin
  • 2015.03.26
  • 조회수 5916

[싱크탱크 시각] ‘힘내라’ 대학생협

협동조합이 봄기운처럼 퍼지고 있다. 2012년 12월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지 2년 만에 6000여개의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 기본법 시행 이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활동하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도 성장...

  • admin
  • 2015.03.23
  • 조회수 6159

[유레카] 불황과 불륜

불경기엔 이혼이 증가한다. 통계청의 연간 이혼 건수를 보면, 1990년대 이후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던 때는 외환위기가 닥친 1998년(28.0%)이다. 다음으로 높았던 게 카드대란을 겪은 2003년(15.0%)이다. 이후 줄곧 감소하던...

  • admin
  • 2015.03.04
  • 조회수 6867

[싱크탱크 시각] 최저임금 후진국 언제까지?

사람은 왜 일을 하는가? 가장 공통된 이유는 ‘인간답게 먹고살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일을 해도 생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노동자들이 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정의를 기준으로, 한국의 저임금 노동...

  • admin
  • 2015.03.02
  • 조회수 6627

[싱크탱크 시각] ‘부자들의 나라’ 필리핀, 남 얘기 아니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장 ‘20대들아, 대한민국의 미래는 필리핀이다.’ 5년 전 서울대생이 교내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린 글이 최근 온라인에서 화제가 됐다. 제목에서 엿볼 수 있듯이 심각한 양극화가 가져올 암울한 미래 예...

  • admin
  • 2015.02.09
  • 조회수 8533

[유레카] 증세 없는 복지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오너십 사회’(ownership society)를 국정 목표로 내걸었다. 개인이 스스로 부를 늘리기 좋은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의료와 교육 등 공적 영역은 급격히 축소됐다. ‘부자 국민’...

  • admin
  • 2015.02.04
  • 조회수 5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