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한겨레 프리즘] GDP와 ‘행복’

admin 2015. 10. 26
조회수 5849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요즈음 한국과 중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경제의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연일 속보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미국·유럽연합의 경제성장률 동향에 전세계 경제정책 담당자, 기업인, 투자자는 물론 일반 가계까지 촉각을 곤두세운다. 단 석달간(7~9월)의 성장률 동향이 이처럼 이목을 집중시키는 숫자로 등장한 적이 몇번이나 있었던가? 짧은 분기 성장률에 대한 집착은 어쩌면 더 큰 경제적 충격이 올 수 있다는 두려움, 활력 잃은 경제가 깊은 ‘성장 둔화’에서 좀체 탈출하지 못할 거라는 불안감의 반증일지 모른다. “이제 위기를 회피하고 마침내 대안정을 구가할 비결을 터득했다”고 외쳐온 미국 경제학회 연례총회장의 환호를 사람들은 더 이상 믿지 않는다.

지디피는 20세기에 가장 흥행한 경제지표였다. 누군가는 “경제 성장은 한번 생각하기 시작하면 다른 주제를 떠올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디피 통계는 발전과 진보를 측정하는 기준이자 문명이 준 선물이기도 했다. 1999년 미국 상무부 장관 윌리엄 데일리는 지디피 통계 편제를 “20세기 위대한 발명품”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책자도 지디피 통계가 경제정책에 이용된 이래 큰 폭의 경기순환은 사라졌다고 설명한다. 사이먼 쿠즈네츠가 받은 1971년 노벨 경제학상은 1930년대 상무부의 의뢰로 그가 개발한 국민소득계정 실증 통계에 대한 공로로 수여됐다.

돌이켜보면 숨가쁜 성장에 익숙해지는 동안 놀랍게도 경제정책의 다른 목표에 대한 관심은 사라졌다. 사실 경제분석가들이 지디피에 기를 쓰고 매달려 왔지만 동시에 이 지표는 우리를 늘 곤경에 빠뜨리는 개념이었다. 바로 ‘행복’에 대한 얘기다. 성장 신화에 도전하는 경고음은 국민소득 통계에 노벨상이 주어진 70년대부터 이미 대두했다. 1974년 경제학자 이스털린은 ‘경제성장이 인간의 운명을 개선시키는가’라는 유명한 질문을 던졌다. 유럽연합이 1973년부터 조사해온 ‘세계 행복도 데이터베이스’를 보면, 지난 수십년간 풍요의 문턱을 넘어섰음에도 ‘실질소득’ 그래프는 오른쪽 위를 향해 줄기차게 직선으로 상승하는데도 그 아래 ‘행복도’ 그래프는 73년 수준 그대로 끈질기게 수평선을 유지하고 있다. “지디피 수치로는 행복을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는 탄식이 간헐적으로 출몰했으나, 근래엔 이런 물음 자체가 사라지고 있다.

그런데 지디피의 오만에 대한 준열한 반성이 다시 40여년 만에 노벨상으로 표현된 것일까?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앵거스 디턴에 대해 스웨덴 왕립아카데미는 “소득·소비·빈곤 연구 기여”라고 발표했지만 나는 지디피에 대한 그의 이의 제기에 주목한다. 디턴은 허리케인 샌디가 미국 북동부를 할퀴고 간 직후에 쓴 글에서 “허리케인은 더 자주 닥칠 것이다. 이때 들어가는 복구비용과 별 효과 없을 예방비용은 지디피 수치를 끌어올리겠지만 실제 우리의 복지후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그럼 지디피와 행복 간의 경제학적 화해는 어떻게 가능할까? 정교한 통계 의상을 걸친 채 우리를 열광케 하고 현혹해온 지디피에 디턴처럼 의문을 제기하면서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도대체 발전이란 무엇인가’를 묻는 두 논객이 한국에 온다. 오는 28일 제6회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에서 기조연설자로 서는 로버트 스키델스키와 자야티 고시는 “포도주 한병, 빵 반덩이, 그리고 인적 없는 장소에 앉아 있는 그대와 나, 우리에게는 술탄의 왕국보다 더 많은 부가 있다”는 고대 시인의 노래를 들려주며 건강·존중·우정·여가 등 “삶의 좋은 것들”을 설파한다. 지디피 못지않게 ‘행복’ 역시 우리 내면 깊숙이 꿈틀거리며 불을 지르는, 진지한 정치적 단어가 아닌가.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kyewan@hani.co.kr


등록: 2015-10-25 18:49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4358.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겨레 프리즘] 제3지대 신당의 가능성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2016년 새해 정가의 키워드는 단연 안철수다. 지난 주말 발표된 갤럽 조사 결과를 보면, 안철수 신당의 지지도는 21%로 새누리당(35%)에 이어 2위로 올라섰고, 더불어민주당은 19%로...

  • admin
  • 2016.01.11
  • 조회수 6107

[싱크탱크시각] 쌍용차 복직과 통상해고 지침 / 이상호

이상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박근혜 정부가 새로운 해고 방식으로 ‘통상해고’ 도입을 공식화하던 바로 그날, 해고의 고통과 상처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가를 우리 사회에 각인시켰던 쌍용자동차 정리해고 사태가 6년 만...

  • admin
  • 2016.01.04
  • 조회수 5865

[김공회의 경제산책] 경제본질 보려면 ‘중산층’보다 ‘중간계급’ 개념을

김공회 연구위원 ‘중산층을 70%로 늘리겠다.’ 지금은 가물가물해진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다. 이 때문인지, 중산층 논의가 이번 정권 들어 특히 많다. 중산층이란 누구인가? 흔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중산층을 중위소득...

  • admin
  • 2015.12.21
  • 조회수 6066

[싱크탱크시각] 독일 국민이 부러운 이유

이상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지난 12월9일 미국 <타임>은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진지한 표정을 짓고 있는 메르켈 총리의 얼굴을 전면에 내건 표지의 제목은 ‘자유세계의 총...

  • admin
  • 2015.12.14
  • 조회수 5927

[한겨레 프리즘] 이 시대 구원은 어디에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파시즘의 군홧발이 저벅저벅 다가오고 있는 것만 같다. 설마설마하던 일이 정말로 벌어지고 있다. 국가는 우리 머릿속을 국정 사상으로 채우겠다고 선언했다. 대통령은 복면을 쓰고 ...

  • admin
  • 2015.12.14
  • 조회수 5812

[싱크탱크 시각] 착한 소비에서 정의로운 소비로 / 조현경

“선은 악마저도 포용하고 받아안는 것이지요. 허나 정의는 악을 결코 용납하지 않습니다. 정의는 오로지 악을 방벌함으로써 정의롭습니다.” 에스비에스(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 어린 이방원(남다름)이 홍인방(전노민)에게 던...

  • admin
  • 2015.12.07
  • 조회수 6292

[싱크탱크 시각] ‘응팔’…골목이여 응답하라 / 조현경

88서울올림픽 당시 나는 초등학교 6학년이었다. 당시 우리집은 서울 광진구(옛 성동구) 자양동 59번 버스 종점 옆 상가 1층 ‘물망초양품점’에 딸린 작은 가겟방이었다. 그 시절 나의 골목은 버스기사 아저씨들의 담배 냄새와 ...

  • admin
  • 2015.12.07
  • 조회수 6850

[유레카] 부채의 원죄 / 박순빈

빚을 갚아야 할 의무는, 냉정한 경제이론에선 존재하지 않는다. 빚은 반드시 갚는다는 게 법칙일 경우 금융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은행이 원금과 이자를 늘 돌려받는다는 전제로 대출 영업을 한다면 어떤 일...

  • admin
  • 2015.12.02
  • 조회수 5430

[싱크탱크 시각] ‘청년수당’이 두려운 박근혜 정부 / 이상호

이상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경기 성남시의 ‘청년배당’에 이어 서울특별시의 ‘청년활동지원(청년수당) 사업’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한쪽에서는 취업 기회조차 갖지 못한 청년들을 위한 획기적인 ‘이행 노동시장 정...

  • admin
  • 2015.11.23
  • 조회수 6566

[김공회의 경제산책] 정부 눈에는 실업자도 취업자로…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지난주 기획재정부는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 전체 실업률이 전년도에 비해 0.1%포인트 준 3.1%를 기록했고, 청년층(15~29살) 실업률도 같은 기간 8.0%에서 7.4%로 크게 줄었다는 ‘희...

  • admin
  • 2015.11.17
  • 조회수 5886

[한겨레 프리즘] ‘헬조선’의 분노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지난 토요일, 많은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다. 2008년 광우병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집회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이날 정권은 위헌 결정 따위는 무시하고 다시 차벽...

  • admin
  • 2015.11.17
  • 조회수 5652

[유레카] 세계화의 역설 / 박순빈

1914년 6월28일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 페르디난트 부부가 세르비아 청년 자객 프린치프의 흉탄에 맞아 피살됐다. 흔히 이 사건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단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극적 묘사일 뿐 엄밀한 역사적 기록이라...

  • admin
  • 2015.11.11
  • 조회수 5629

[현장에서] 디턴 논란, 저주와 반성 사이에서

디턴의 원저(왼쪽)와 한경BP의 번역본 현장에서 <한겨레>는 10월30일치 토요판 커버스토리에서 <한국경제>의 자회사 한경비피(BP)가 앵거스 디턴의 〈The Great Escape〉를 왜곡 번역했으며, 정규재 한국경제 주필과 현진권 자유경...

  • admin
  • 2015.11.03
  • 조회수 6751

[싱크탱크 시각] ‘실망’만 안겨주는 청년‘희망’펀드

지난 9월15일 노동개혁안에 대한 노사정 합의가 공식화되고 난 뒤 박근혜 대통령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면서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기금 조성을 지시했다. 대통령의 뜬금없는 발상이 ‘청년희망펀드’라는 이름...

  • admin
  • 2015.11.03
  • 조회수 5114

[한겨레 프리즘] GDP와 ‘행복’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요즈음 한국과 중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경제의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연일 속보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미국·유럽연합의 경제성장률 동향에 전세계 경제정책 담당자, 기업...

  • admin
  • 2015.10.26
  • 조회수 5849

[싱크탱크 시각] 디지털 공유경제의 ‘공유’ 잠식

조현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지난 9월 핀란드 출장길에 처음으로 숙박 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를 이용해봤다. 숙소는 헬싱키 외곽의 한적한 마을에 자리잡은 가정집이었다. 가구의 모양새와 배치, 조명의 색깔...

  • admin
  • 2015.10.26
  • 조회수 6071

‘위대한 왜곡’? 앵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 번역에 관하여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12일(현지시각) 교내 알렉산더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상소감을 밝히며 양손 엄지를 치켜들고 있다. 프린스턴/AP 연합뉴스 ▶편집자 주: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

  • admin
  • 2015.10.20
  • 조회수 9481

[한겨레 프리즘] 청년담론이 감추는 것들

2002년 이후 한국 정치의 지배적인 프레임은 세대갈등론이었다. 더 많은 불안과 위기에 놓인 젊은 세대가 결집해서 사회를 바꾸자는 것이 야권이 선거 때마다 동원해왔던 전략이다. 박근혜 정부 아래에서 세대갈등론은 ‘청년착...

  • admin
  • 2015.10.19
  • 조회수 5786

[유레카] 엇갈린 불평등 담론?

경제학자들에게 불평등 문제는 늘 거북한 주제이다. 불평등의 절대 기준을 세우기 어려운데다 이론적으로는 경제 규모, 즉 총생산이 증가하면 불평등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는 생각이 주류 경제학계 안에서는 지배적이었다...

  • admin
  • 2015.10.15
  • 조회수 5206

[싱크탱크 시각] ‘청년희망펀드’, 정말 희망 주려면

지난 추석 명절 고향 가는 차 안에서 대학 졸업을 앞둔 딸과 얘기를 나눴다. 요즘 친구들이 만나면 주로 진로 문제나 이민 얘기를 많이 한단다.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적지 않단다. 이민 관련 정보를 나누고...

  • admin
  • 2015.10.05
  • 조회수 5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