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유레카] 엇갈린 불평등 담론?

admin 2015. 10. 15
조회수 5079

박순빈 부원장.JPG

경제학자들에게 불평등 문제는 늘 거북한 주제이다. 불평등의 절대 기준을 세우기 어려운데다 이론적으로는 경제 규모, 즉 총생산이 증가하면 불평등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는 생각이 주류 경제학계 안에서는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전세계 어디서나 불평등에 따른 인간의 고통이 엄연히 존재한다.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 뒤에는 경제학적 측정 지표로도 불평등이 뚜렷이 심화하고 있다.

경제학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적 실용학문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경제학자에게 불평등 담론은 이제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앵거스 스튜어트 디턴(70)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의 연구 성과가 높이 평가받는다. 디턴 교수의 핵심 업적은, 미시경제학 차원의 소비자 행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요 개발도상국의 생활수준과 빈곤을 과학적으로 측정한 것이다.

디턴 교수의 연구 성과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것은 2013년 <위대한 탈출>이 출간되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 서점가에서 돌풍을 일으키면서부터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 가운데 몇 가지 토막 이야기를 근거로, 국내 일부 언론에서는 디턴 교수의 이론과 주장이 마치 <21세기 자본>의 저자 토마 피케티 교수와 대립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불평등은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식의 보도이다.

하지만 <위대한 탈출>의 전체 구성과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렇게 볼 명확한 근거가 없다. 디턴 교수는 책에서, 긴 흐름으로 보면 경제 성장으로 인간의 삶이 개선되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불평등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세상은 너무나 불평등하며, 이에 따른 결과인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디턴과 피케티 교수 사이에 차이가 없다. 요컨대 두 사람은 실증연구 영역과 방법론이 다를 뿐 상호보완적인 성과를 일구어냈다고 봐야 옳다.

박순빈 연구기획조정실장 겸 논설위원 sbpark@hani.co.kr

등록: 2015-10-14 18:38수정: 2015-10-14 20:36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12811.html

첨부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김공회의 경제산책] 정부 눈에는 실업자도 취업자로…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지난주 기획재정부는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하면서 전체 실업률이 전년도에 비해 0.1%포인트 준 3.1%를 기록했고, 청년층(15~29살) 실업률도 같은 기간 8.0%에서 7.4%로 크게 줄었다는 ‘희...

  • admin
  • 2015.11.17
  • 조회수 5751

[한겨레 프리즘] ‘헬조선’의 분노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지난 토요일, 많은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다. 2008년 광우병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집회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은 숫자다. 이날 정권은 위헌 결정 따위는 무시하고 다시 차벽...

  • admin
  • 2015.11.17
  • 조회수 5494

[유레카] 세계화의 역설 / 박순빈

1914년 6월28일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 페르디난트 부부가 세르비아 청년 자객 프린치프의 흉탄에 맞아 피살됐다. 흔히 이 사건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단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극적 묘사일 뿐 엄밀한 역사적 기록이라...

  • admin
  • 2015.11.11
  • 조회수 5487

[현장에서] 디턴 논란, 저주와 반성 사이에서

디턴의 원저(왼쪽)와 한경BP의 번역본 현장에서 <한겨레>는 10월30일치 토요판 커버스토리에서 <한국경제>의 자회사 한경비피(BP)가 앵거스 디턴의 〈The Great Escape〉를 왜곡 번역했으며, 정규재 한국경제 주필과 현진권 자유경...

  • admin
  • 2015.11.03
  • 조회수 6591

[싱크탱크 시각] ‘실망’만 안겨주는 청년‘희망’펀드

지난 9월15일 노동개혁안에 대한 노사정 합의가 공식화되고 난 뒤 박근혜 대통령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면서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기금 조성을 지시했다. 대통령의 뜬금없는 발상이 ‘청년희망펀드’라는 이름...

  • admin
  • 2015.11.03
  • 조회수 4981

[한겨레 프리즘] GDP와 ‘행복’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요즈음 한국과 중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경제의 올 3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연일 속보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미국·유럽연합의 경제성장률 동향에 전세계 경제정책 담당자, 기업...

  • admin
  • 2015.10.26
  • 조회수 5640

[싱크탱크 시각] 디지털 공유경제의 ‘공유’ 잠식

조현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지난 9월 핀란드 출장길에 처음으로 숙박 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를 이용해봤다. 숙소는 헬싱키 외곽의 한적한 마을에 자리잡은 가정집이었다. 가구의 모양새와 배치, 조명의 색깔...

  • admin
  • 2015.10.26
  • 조회수 5883

‘위대한 왜곡’? 앵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 번역에 관하여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앵거스 디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12일(현지시각) 교내 알렉산더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상소감을 밝히며 양손 엄지를 치켜들고 있다. 프린스턴/AP 연합뉴스 ▶편집자 주: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

  • admin
  • 2015.10.20
  • 조회수 9293

[한겨레 프리즘] 청년담론이 감추는 것들

2002년 이후 한국 정치의 지배적인 프레임은 세대갈등론이었다. 더 많은 불안과 위기에 놓인 젊은 세대가 결집해서 사회를 바꾸자는 것이 야권이 선거 때마다 동원해왔던 전략이다. 박근혜 정부 아래에서 세대갈등론은 ‘청년착...

  • admin
  • 2015.10.19
  • 조회수 5639

[유레카] 엇갈린 불평등 담론?

경제학자들에게 불평등 문제는 늘 거북한 주제이다. 불평등의 절대 기준을 세우기 어려운데다 이론적으로는 경제 규모, 즉 총생산이 증가하면 불평등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는 생각이 주류 경제학계 안에서는 지배적이었다...

  • admin
  • 2015.10.15
  • 조회수 5079

[싱크탱크 시각] ‘청년희망펀드’, 정말 희망 주려면

지난 추석 명절 고향 가는 차 안에서 대학 졸업을 앞둔 딸과 얘기를 나눴다. 요즘 친구들이 만나면 주로 진로 문제나 이민 얘기를 많이 한단다.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적지 않단다. 이민 관련 정보를 나누고...

  • admin
  • 2015.10.05
  • 조회수 5381

[김공회의 경제산책] ‘진짜 저성과자’를 개혁하자!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gg@hani.co.kr 어려서부터 하도 들어 거의 외우다시피 한 말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우리민족’의 우수성에 대한 것이다. ‘은근과 끈기’로 온갖 외세의 공격에 맞섰고, 나라가 위태로...

  • admin
  • 2015.09.22
  • 조회수 5953

[한겨레 프리즘] 프로와 밥값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김성근 감독은 한국 사회에서 화제와 논란의 인물이다. 그의 감독 경력은 비주류로서 주류에 맞서온 도전의 여정으로 그려졌지만, 늘 따라다닌 혹사 논란은 그 도전의 정당성을 의문...

  • admin
  • 2015.09.21
  • 조회수 4789

[싱크탱크 시각] ‘노동 개혁’이라는 말이 부끄럽지 않은가?

이상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한 노사정위원회 합의 시한이 결국 지나버렸다. 애당초 말이 안 되는 일이었다.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한 날짜가 8월26일이다. 노사정 대표자가 몇 차례 만나...

  • admin
  • 2015.09.14
  • 조회수 5850

[싱크탱크 시각] 국회 문턱에 걸린 ‘생활임금’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생활임금을 받으니 일할 맛도 나고, 생계 걱정도 덜 하게 됐어요.” 얼마 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성북구청 환경미화원인 박용범씨가 생활임금으로 생긴 변화에 대해 한 말이다. 20...

  • admin
  • 2015.09.07
  • 조회수 5423

[김공회의 경제산책] 영국 노동당 코빈의 상식적인 경제정책

영국 노동당 대표 선거가 흥미롭다. 지난 5월 총선에서 허망하게 패배한 뒤 불과 3개월만에 이 정도의 활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게 놀랍기까지 하다. 대통령 선거에서 지고 2년 반이 흘렀지만 여전히 패배와 불신의 늪에서...

  • admin
  • 2015.08.25
  • 조회수 6118

[유레카] 최저임금 / 김회승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학계의 오랜 논쟁거리다. 셀 수 없이 많은 실증 연구가 있지만 결론은 양쪽으로 갈린다. 고전학파는 “비숙련 노동자를 내쫓게 된다”며 최저임금 제도와 인상에 부정적이다. 가격(임금)을 ...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849

[싱크탱크 시각] 고용에 대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 이상호

청년실업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최근 몇몇 재벌들이 앞다퉈 대대적인 일자리 만들기를 발표하고 있다. 정부와 경제 6단체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청년 일자리 기회 20만+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정부-경제계 협력 선언’의...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601

[한겨레 프리즘] 로비의 문을 닫지마라 / 한귀영

얼마 전 동아시안컵 축구대회에서 남자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했다. 대표선수 중 상당수가 축구팬에게도 낯선 신인들이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은 수시로 K리그 경기를 직접 관전하고, 오직 실력으로만 선수를 선발했다고 한다....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176

[싱크탱크 시각] 우린 도대체 무얼 먹고 있는걸까

얼마 전 간장을 사러 동네슈퍼에 갔다. 식구가 적어 간장을 가끔 사다보니, 늘 처음 보는 상품들이 많다. ‘자연 그대로’ ‘무첨가’ ‘자연숙성’ 등 포장 앞면의 수식어는 엇비슷해 상품 선택에 별 도움이 안 된다. 포장...

  • admin
  • 2015.08.17
  • 조회수 5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