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이현숙사회적경제센터장.JPG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생활임금을 받으니 일할 맛도 나고, 생계 걱정도 덜 하게 됐어요.”

얼마 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성북구청 환경미화원인 박용범씨가 생활임금으로 생긴 변화에 대해 한 말이다. 2009년부터 3년 동안 용역업체 직원으로 일할 때 그의 월급은 92만원이었다. 2012년 구청장의 공약 실행으로 성북구 도시관리공단이 그를 직접 채용하면서 월급이 129만원으로 올랐다. 다시 1년 뒤 성북구가 전국 처음으로 생활임금제를 시행하면서 월급은 135만원이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그와 동료들의 직장 만족도는 높아졌고, 이후 이직자는 한명도 없었단다.

생활임금은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을 말한다. 사실 국가가 법률로 정하는 최저임금도 근로자의 생활보장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은 너무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에 따르면 최저임금은 근로자 평균 임금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수준은 38%로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하위권이다. 생활임금은 근로자의 실질적인 최저생계를 보장하려는 정책적 대안으로, 최저임금 현실화를 이끌 수 있다.

최근 3년 새 생활임금제를 도입하는 지자체가 늘었다. 전국 지자체 29곳이 생활임금제를 시행하거나 시행을 준비하고 있다. 올해부터 생활임금제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시는 에스에이치공사 등 산하 공공기관에도 확산시켜가고 있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이런 움직임은 민간 부문의 변화도 이끌었다. 성북구는 최근 한성대, 성신여대 등 지역 대학들과 생활임금 적용에 대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맺었다.

생활임금제 도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지방재정 악화를 우려한다. 예산으로 따져보면 이런 지적은 설득력이 별로 없다. 성북구의 경우 생활임금제 시행에 따른 추가예산이 첫해는 1억5000만원이었고, 다음 해는 2억7000만원가량이었다. 현재 생활임금을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의 평균 추가예산은 2억8000만원 정도다. 지자체의 전체 예산 규모에 견줘 볼 때 재정을 악화시킬 정도의 큰 부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지자체에서 생활임금제가 퍼져가는 가운데 아직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행정명령이나 조례를 만들어 생활임금제를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법제처는 지난해 생활임금조례가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어긋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법제처의 이런 의견은 지자체장들이 생활임금제 도입을 거부하거나 망설이게 만들고 있다. 게다가 지자체와 조달, 용역, 위탁계약을 맺는 민간기업에 생활임금을 확산시키는 데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생활임금제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김경협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등 21명의 국회의원이 지난해 1월 최저임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법안은 최저임금법에 생활임금조항(24조)을 새로 만들자는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올해 4월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소위에서 내용이 수정됐다. 따로 조항을 만들지 않고 최저임금법의 효력조항(6조) 뒷부분에 내용을 덧붙인 것이다. 추가한 내용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근로자에게 최저임금 이상의 적정한 임금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이다. 아쉽게도 이 수정법안조차 일부 여당 의원들의 반대로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본회의 통과까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그간 앞선 지자체들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생활임금제를 어렵사리 마련했다. 이제 생활임금제는 정착과 확산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 숙제를 제대로 풀려면 무엇보다 생활임금제의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번 국회에서 생활임금제 법안이 국회의 문턱을 꼭 넘어서길 바란다.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hslee@hani.co.kr

등록: 2015-09-06 18:44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07628.html
첨부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겨레 프리즘] 청년담론이 감추는 것들

2002년 이후 한국 정치의 지배적인 프레임은 세대갈등론이었다. 더 많은 불안과 위기에 놓인 젊은 세대가 결집해서 사회를 바꾸자는 것이 야권이 선거 때마다 동원해왔던 전략이다. 박근혜 정부 아래에서 세대갈등론은 ‘청년착...

  • admin
  • 2015.10.19
  • 조회수 5523

[유레카] 엇갈린 불평등 담론?

경제학자들에게 불평등 문제는 늘 거북한 주제이다. 불평등의 절대 기준을 세우기 어려운데다 이론적으로는 경제 규모, 즉 총생산이 증가하면 불평등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는 생각이 주류 경제학계 안에서는 지배적이었다...

  • admin
  • 2015.10.15
  • 조회수 4994

[싱크탱크 시각] ‘청년희망펀드’, 정말 희망 주려면

지난 추석 명절 고향 가는 차 안에서 대학 졸업을 앞둔 딸과 얘기를 나눴다. 요즘 친구들이 만나면 주로 진로 문제나 이민 얘기를 많이 한단다.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적지 않단다. 이민 관련 정보를 나누고...

  • admin
  • 2015.10.05
  • 조회수 5236

[김공회의 경제산책] ‘진짜 저성과자’를 개혁하자!

김공회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gg@hani.co.kr 어려서부터 하도 들어 거의 외우다시피 한 말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우리민족’의 우수성에 대한 것이다. ‘은근과 끈기’로 온갖 외세의 공격에 맞섰고, 나라가 위태로...

  • admin
  • 2015.09.22
  • 조회수 5870

[한겨레 프리즘] 프로와 밥값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 김성근 감독은 한국 사회에서 화제와 논란의 인물이다. 그의 감독 경력은 비주류로서 주류에 맞서온 도전의 여정으로 그려졌지만, 늘 따라다닌 혹사 논란은 그 도전의 정당성을 의문...

  • admin
  • 2015.09.21
  • 조회수 4692

[싱크탱크 시각] ‘노동 개혁’이라는 말이 부끄럽지 않은가?

이상호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한 노사정위원회 합의 시한이 결국 지나버렸다. 애당초 말이 안 되는 일이었다.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한 날짜가 8월26일이다. 노사정 대표자가 몇 차례 만나...

  • admin
  • 2015.09.14
  • 조회수 5740

[싱크탱크 시각] 국회 문턱에 걸린 ‘생활임금’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생활임금을 받으니 일할 맛도 나고, 생계 걱정도 덜 하게 됐어요.” 얼마 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성북구청 환경미화원인 박용범씨가 생활임금으로 생긴 변화에 대해 한 말이다. 20...

  • admin
  • 2015.09.07
  • 조회수 5346

[김공회의 경제산책] 영국 노동당 코빈의 상식적인 경제정책

영국 노동당 대표 선거가 흥미롭다. 지난 5월 총선에서 허망하게 패배한 뒤 불과 3개월만에 이 정도의 활력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게 놀랍기까지 하다. 대통령 선거에서 지고 2년 반이 흘렀지만 여전히 패배와 불신의 늪에서...

  • admin
  • 2015.08.25
  • 조회수 6027

[유레카] 최저임금 / 김회승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학계의 오랜 논쟁거리다. 셀 수 없이 많은 실증 연구가 있지만 결론은 양쪽으로 갈린다. 고전학파는 “비숙련 노동자를 내쫓게 된다”며 최저임금 제도와 인상에 부정적이다. 가격(임금)을 ...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744

[싱크탱크 시각] 고용에 대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 이상호

청년실업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최근 몇몇 재벌들이 앞다퉈 대대적인 일자리 만들기를 발표하고 있다. 정부와 경제 6단체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청년 일자리 기회 20만+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정부-경제계 협력 선언’의...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509

[한겨레 프리즘] 로비의 문을 닫지마라 / 한귀영

얼마 전 동아시안컵 축구대회에서 남자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했다. 대표선수 중 상당수가 축구팬에게도 낯선 신인들이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은 수시로 K리그 경기를 직접 관전하고, 오직 실력으로만 선수를 선발했다고 한다....

  • admin
  • 2015.08.24
  • 조회수 5079

[싱크탱크 시각] 우린 도대체 무얼 먹고 있는걸까

얼마 전 간장을 사러 동네슈퍼에 갔다. 식구가 적어 간장을 가끔 사다보니, 늘 처음 보는 상품들이 많다. ‘자연 그대로’ ‘무첨가’ ‘자연숙성’ 등 포장 앞면의 수식어는 엇비슷해 상품 선택에 별 도움이 안 된다. 포장...

  • admin
  • 2015.08.17
  • 조회수 5367

[싱크탱크 시각] 누가 청년을 고용절벽으로 내모는가?

언제부터인가 ‘고용 절벽’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통념상 고용 절벽은 기업의 고용 여력이 떨어지면서 일자리가 급감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소 섬뜩한 이 단어가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내년...

  • admin
  • 2015.08.03
  • 조회수 5071

[유레카] 금과 달러

국제 금값은 서구 은행들이 결정하는 ‘런던 금 가격’이 표준이다. 1트로이온스(약 31g) 가격을 달러화로 표시해, 런던 시각 기준으로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공시한다. 1919년부터 시작된 관행이다. 지난해 일부 은행의 ...

  • admin
  • 2015.07.29
  • 조회수 6491

[김공회의 경제산책] 우리의 ‘거울’이기도 한 그리스

요즘 그리스를 보며 우리 자신을 돌아보곤 한다. 단순히 과거에 우리가 그와 비슷한 처지에 있어봤기 때문이 아니다. 그리스의 현재가 한국경제의 중요한 일면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왜 그리스는 위기에 빠졌는가? 한쪽에...

  • admin
  • 2015.07.28
  • 조회수 6353

[싱크탱크 시각] 외씨버선길의 ‘느린 경제’ 실험

2007년 제주 올레길을 시작으로 전국 곳곳에 걷는 길들이 유행처럼 만들어졌다. 걷기여행길 종합안내 누리집을 보면 현재 전국에 걷는 코스는 1600여개에 이른다. 5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많은 길들이 생겨난...

  • admin
  • 2015.07.27
  • 조회수 5739

[한겨레 프리즘] 진보정치의 열린 틈새

2004년 총선에서 신생 민주노동당은 정당득표율 13.1%를 얻어 단번에 10석을 획득했다. 선거 직후 시골 폐교를 약간 손본 남원연수원에서 국회의원과 평당원이 어울려 밤새 토론하고 의원도 자기 식기는 손수 설거지를 하는 ...

  • admin
  • 2015.07.20
  • 조회수 5143

[싱크탱크 시각] 대통령이 정치를 하는 이유?

박순빈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부원장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 8일 원내대표 사퇴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한 헌법 1조 1항의 지엄한 가치를 지키고 싶다고 했다. 그가 정치를 하는 이유는 민주공화국...

  • admin
  • 2015.07.13
  • 조회수 4982

[유레카] 엘리엇 펀드

전세계 헤지펀드는 1만1천여개, 운용자산은 3천조원으로 추산된다. 투자금보다 많은 돈을 차입하는 게 관행이어서, 실제 굴리는 돈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 헤지펀드는 말 그대로 투자 위험을 철저히 회피(hedge·헤지)하는 ‘무위...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114

[싱크탱크 시각] ‘사회책임 조달’의 의미있는 진전

이현숙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적경제센터장 서울 서대문구의 뒷골목 청소는 사회적 기업이 맡고 있다. 청소용역 사회적 기업 ‘한누리’는 3년 전 서대문구청의 뒷골목 청소사업을 위탁받았다. 단기 공공근로 때보다 지역주민 ...

  • admin
  • 2015.07.06
  • 조회수 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