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레카] 실시간 인기검색어 / 구본권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지난 5월9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3분기(7~9월)부터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와 실시간 검색어를 빼는 것을 포함한 뉴스 서비스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3분기부터 모바일 ...
|
[책과 생각] 피케티가 말하는 불평등의 정치
[책과 생각]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애프터 피케티 토마 피케티 외 25인 지음, 유엔제이 옮김/율리시즈(2017) 정치경제학자 토마 피케티(파리경제대 교수)는 18세기부터 현재까지, 20여개국의 조세 자료로 ‘부익부’의 불평등 구조를...
|
[유레카] 핀란드의 기본소득 실험 / 이창곤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설계자인 올리 캉가스는 최근 서울을 찾아 “기본소득 실험 결과는 2020년에야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캉가스 제공 핀란드가 2017년 1월부터 시행해온 기본소득 실험을 2019년 1월로 끝낸다. 이 사실을 ...
|
[한겨레 프리즘] 시간을 거스르는 지지율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취임 1주년을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83%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갤럽의 지난주 발표다. 전임 대통령 모두 취임 1주년에는 지지율 하락으로 국정 동력이 떨어진 것과 대비...
|
[유레카] 판문점 회담과 포용의 힘 / 이창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7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 넘고 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이보다 더 감동적인 평화 드라마가 있었던가? 두 손을 맞잡고 높이 5㎝의 작은 콘크리트 턱에 불과...
|
공유경제는 자본주의의 미래인가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경제 아룬 순다라라잔 지음, 이은주 옮김/교보문고(2018) 출근길, 꽉 막힌 도로에 붙잡혀 있자면 “다들 왜 ‘나 홀로’ 차에 앉아 이 고생을 하나”하는 생각에 한숨이 나온다. ...
|
[한겨레 프리즘] 문 대통령 고공지지율 지속될까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문재인 정부 출범 1년이 다가온다. 전임 두 대통령도 정권 초기에 인사 난맥으로 지지율이 하락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인사문제로 몇차례 곤욕을 치렀지만, 지지율은 여전히 70%대로 ...
|
[유레카] ‘국격에 맞지 않는 사회지표’ / 이창곤
자료: 보건복지부 한 사회 시민의 삶의 질은 사회지표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다. 빈곤율, 자살률, 출산율 등 각종 사회지표는 시민이 얼마나 안전한 삶을 누리고 건강한 환경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준다. 최근 한 정부 자료를...
|
[유레카] 복지체감도가 낮은 이유 / 이창곤
문재인 정부의 ‘범부처 사회서비스 발전방향’ 개요 자료: 보건복지부 대한민국은 경제만큼이나 복지도 압축성장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험에 이어 노인장기요양보험까지 두루 갖췄다. 제도적 틀...
|
[한겨레 프리즘] 20대에 대한 예의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달동네 꼭대기 집 꼭대기 층이었다. 우리집을 지나면 산이 시작됐다. 내 신혼도 거기서 시작됐다. 결혼 자금은 20대의 알바 저축이었다. 있는 집 자식이 아니라면 사정은 얼추 엇비슷...
|
덩케르크 뒤엔 옥쇄당한 병사 4천명이 있었다
미덕의 경영 노나카 이쿠지로 · 곤노 노보루 지음, 정선우 옮김/에버리치홀딩스(2009) 요즘 입소문이 난 영화 <다키스트 아워>를 봤다. 지난해 여름에 본 <덩케르크>의 무대를 해협 건너편으로 옮긴 듯, 제2차 세계대전 초기 영국...
|
[유레카] 비전 ‘사회보장 2040’ / 이창곤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 회의에서 보고된 비전 ‘사회보장 2040’ 구상 개념도. 자료: 사회보장위원회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윌리엄 베버리지는...
|
[한겨레 프리즘] 20대의 잘못이 아니다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평창올림픽이 개막하고 메달 레이스가 시작되었다. 승자에게 박수를 보내지만, 패자에게 더 큰 감동을 느낄 때도 있다. 규칙에 승복하는 경쟁이 주는 감동 덕분일 것이다. 불공정으로 찌...
|
협동조합은 협동조합 다워야 한다
Weconomy |이봉현의 책갈피경제 한국협동조합협의회 펴냄 (2017) 신협 등 대형 협동조합 선거마다 과열, 혼탁 협동조합 본래의 가치, 정체성, 원칙 되새겨야 지난 1월19일 오전 코트야드메리어트 서울 남대문에서 열린 전국사회연대...
|
기업들은 지금 사회적 가치 ‘열공’ 중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빅프라핏>, 신현암·이방실 지음/흐름출판(2017) 네슬레의 농학자들이 커피 묘목을 살펴보고 있다. 네슬레의 농학자들은 다수확 묘목을 얻기 위해 연구개발을 하고, 여기서 얻은 기술을 다시 농민들...
|
[유레카] 열병식, 평창 그리고 남북관계 / 이창곤
북한이 평창올림픽 개막식 하루 전날인 2월8일 건군절 열병식을 치르겠다고 발표하면서 열병식이 남북관계의 이슈로 떠올랐다. 사진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2013년 창건 81주년을 맞아 금수산태양궁전 광장에서 열린 군사...
|
[한겨레 프리즘] 세대담론의 함정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영화 <1987>을 계기로 그 시대 ‘주역’이던 86세대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들은 20대 민주항쟁을 이끌었지만 여느 세대처럼 기성의 정치와 경제 질서에 잘 적응해갔다. 20세기 이후 ...
|
[유레카] 북간도에서 다시 만난 '동주' / 이창곤
윤동주 탄생 100돌을 기려 지난 12월30일 찾은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 동산(東山)에 있는 윤동주의 묘소와 묘비. 무덤 왼편으로 이름 모를 묘소 하나를 사이에 두고 고종사촌이자 평생의 벗인 송몽규의 무덤이 있다. 1931...
|
[한겨레 프리즘] 주거 분리의 욕망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내가 사는 아파트 맞은편에 꽤 큰 행복주택단지가 들어섰다. 요란하지는 않았지만 불평의 목소리가 아파트 카페에 스멀스멀 올라오기도 했다. 집값 걱정임은 물론이다. 개구리 올챙이 적...
|
유로, 허약한 기초 위에 쌓은 화려한 성채
Weconomy | 이봉현의 책갈피 경제 경제학자 스티글리츠의 진단 유럽통합의 주춧돌이었던 유로 제도적 장치 미비한 단일통화 유로존 위기의 근본 원인 경제학자 스티글리츠는 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채 단일통화를 시도한 유로가 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