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04415일은 한국 진보정치사에서, 아니 한국 정치사에서 역사적인 날이다. 이날 한 시대가 가고 한 시대가 시작됐다. 민주노동당이 총선에서 지역구 2, 비례대표 8석을 얻어 원내에 처음 진출했다. 비례 8번으로 막차를 탄 이가 노회찬이었다. 비례대표 마지막 한 자리를 놓고 새벽까지 이어진 혈투 끝에 김종필이 탈락했다. 5·16쿠데타 주역 김종필이 퇴장한 자리에 진보정치의 상징 노회찬이 등장했다. 이후 그는 유머와 촌철살인의 화법으로 대중과 소통하며 진보정치의 매력과 가능성을 한껏 보여주었다. 그 노회찬이 떠난 지 1년이다.

 

사회운동도 어렵지만 정치도 어렵다. 이상이 아닌 현실에서 최선과 차선, 심지어 차악을 추구해야 하는 탓이다. 권력과 영광이라는 보상만큼이나 고통스러운 윤리적 도전을 감당해야 한다. 노회찬은 그 힘든 길에서 인간적 풍모, 매력을 유지하면서 나날이 전진할 수 있도록 스스로와 인생 전체를 걸었던 사람이다. 그는 진보와 정치 사이의 좁은 오솔길에서 진보의 이상과 척박한 현실 사이의 접점을 부단히 탐색했다.


그가 구현하고자 했던 진보적 가치는 노동시장 안에서는 국가가 노동자를 보호하고 노동시장 밖에서는 든든한 사회안전망이 떠받치는 사회, 즉 북유럽식 사민주의에 가까웠다. 진보정당은 이를 구현할 도구였다. “나는 여기서 멈추지만 당은 당당히 앞으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마지막 말을 남겼다.


노회찬 없는 정의당의 미래는 어떨까? 당장 내년 4월 총선이 분수령이 될 것이다. 최근 조사에서 정의당 지지도는 9% 안팎에서 안정된 3위를 유지하고 있다. 40~50대가 핵심 지지층이다. 고학력, 고소득의 중산층에서 지지도가 높고 지역적으로도 고른 지지를 얻고 있다. 반면 60대 이상과 20대에서 취약하다. 40대 이상의 정치적 선호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오랜 경험과 판단 속에서 형성된 정치적 선택인 탓이다. 지금의 지지도가 쉽게 허물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15년 전 진보정당이 처음으로 원내 진출하던 시기를 복기해보자. 2004년 민주노동당의 지지도는 12~17%를 유지했고, 강력한 양당체제에서 의미있는 대안으로 등장했다. 청년층이 핵심 지지기반이어서 30, 20대 순으로 지지가 높았다. 고질적 지역주의가 한국 정치의 가장 큰 균열축이던 시기, 지역주의에 기대지 않고 계층·의제를 중심으로 민심을 대변했다는 평가도 높았다. 당시 민주노동당 지지층에는 진보층은 물론 합리적 보수 등 양당체제에 만족하지 못하는 층도 다수 포함됐다.


이후 진보정당은 많은 부침을 겪으며 변화했다. 지지기반이 안정적인 반면 확장성 면에서는 한계가 적지 않다. 지지층은 당과 함께 나이를 먹었다. 청년을 끌어안지 못하면 진보정당의 미래는 어둡다. 서민과 노동자의 대변자를 자처하지만, 현실적 지지층은 중산층, 고소득층, 화이트칼라층이다. 대변하려는 층과 실제 지지층 간 괴리가 제법 크다.


무엇보다 공정과 평등이라는 진보정당의 핵심 가치가 청년세대에게 의심받고 있다. 지난해 평창올림픽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 과정에서 극적으로 드러났듯이 청년세대의 공정성 감각은 진보가 지켜온 감각과 다르다. 경쟁 속에서 나고 자란 청년세대에게 공정함의 요체는 경쟁 규칙의 공정함이다. 청년들도 비정규직이 만연한 불평등 세상에 분노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하지만 동일한 경쟁 절차 없는 정규직 전환은 더 불공정한 처사라고 믿는다. 경쟁 절차 자체의 계급적 폭력성을 비판해온 진보정치가 어떻게 청년세대를 설득할지가 큰 숙제다.


그래도 내년 총선은 진보정당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선거제도 개혁의 성사가 가장 큰 관건이지만, 자유한국당의 퇴행적 행보에 대한 불만과 민주당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민심 사이에서 정의당의 기회가 열릴 수 있다. 막말과 혐오를 일삼으며 정치불신을 조장하고 심지어 한-일 갈등이 격화되는 국면에서조차 문재인 정부 때리기에 골몰하는 자유한국당의 행태는 보수층에서도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다. 2016년 총선 이후 대선, 지방선거에서 연거푸 승리한 민주당이지만, 집권 후 성과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4연승을 거둘지는 불확실하다.


진보정치의 역량이 시험대에 올랐다. 노회찬 없는 진보정당을 평생의 경쟁자이자 영혼의 벗 심상정이 이끈다. 심 대표와 그의 동지들이 걸어갈 새로운 오솔길을 주목한다.


hgy4215@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03377.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촛불을 들지 못한 20대들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소위 ‘조국 사태’ 이후 20대 청년세대의 박탈감과 분노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일부 명문대생들은 공정과 정의를 내세우며 촛불을 들었다. 보수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 HERI
  • 2019.09.27
  • 조회수 4344

[유레카] ‘조국 논란’의 종착점 / 이창곤

‘조국 논란’의 끝은 어디인가? 언론 보도는 연일 차고 넘친다. 하지만 공론(公論)은 없다. 검찰 수사는 마침내 ‘자택 압수수색’으로 이어졌다. 그런데도 장관과 직접 연계된 객관적 실체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지지와 ...

  • HERI
  • 2019.09.25
  • 조회수 4310

[유레카] 절실한 정책결정의 ‘관제탑’/ 이창곤

대부분의 공항에는 컨트롤타워, 즉 관제탑이 있다. 관제탑의 허가 없이는 어떤 비행기도 뜨고 내릴 수가 없다. 관제탑은 항공기의 위치와 고도를 확인해 필요사항을 지시한다. 비행 전에는 조종사가 제출한 비행계획을 점검하고 ...

  • HERI
  • 2019.09.03
  • 조회수 4408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조국 정국’ 독해법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조국 정국’이 심상치 않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이 태풍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촛불혁명과 문재인 정부 출범 과정에서 조 후보자가 지니는 상징성이 큰 탓에 핵심...

  • HERI
  • 2019.08.23
  • 조회수 4175

[유레카] 유라시아 ‘철의 실크로드’ 시대/이창곤

실크로드, 즉 비단길은 독일의 한 지리학자가 고대 중국과 그리스·로마 문화권 사이의 교역이 주로 비단을 통해 이뤄졌다는 데 착안해 명명했다. 김호동 서울대 교수(동양사)는 이 용어는 ‘비단길들’로 복수형으로 써야 더 역...

  • HERI
  • 2019.08.19
  • 조회수 3770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노회찬 없는 진보정치의 미래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04년 4월15일은 한국 진보정치사에서, 아니 한국 정치사에서 역사적인 날이다. 이날 한 시대가 가고 한 시대가 시작됐다. 민주노동당이 총선에서 지역구 2석, 비례대표 8석을 얻어 ...

  • HERI
  • 2019.07.26
  • 조회수 3498

[유레카] ‘시민연대’로 새 한-일 관계 물꼬를/ 이창곤

일본의 경제보복은 지금 우리 사회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다. 언론엔 연일 분석과 논평이 쏟아지지만 여전히 의문투성이다. 아베 신조 총리의 진짜 속내는 무엇이며, 그는 어디까지 밀어붙이려 하는가? 정부는 왜 ...

  • HERI
  • 2019.07.18
  • 조회수 3583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다시 '문재인의 시간'이 올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지난 6개월은 ‘황교안의 시간’이었다. 2017년 탄핵사태 이후 줄곧 10%대에 묶여 있던 자유한국당 지지도가 1월 20%대로 급등한 데에는 황 대표의 역할이 컸다. 그가 등장하자 문재...

  • HERI
  • 2019.06.28
  • 조회수 3455

[유레카] 한국 ‘사회복지 역사’ 소고 / 이창곤

“정신이 없는 역사는 정신이 없는 민족을 낳을 것이며, 정신이 없는 나라를 만들 것이니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써놓고 나면 찢어버리고 싶어 못 견디는 이 역사 … 이것이 나라냐? 그렇다. 네 나라며, 네 역사며 내...

  • HERI
  • 2019.06.26
  • 조회수 8117

[유레카] ‘소리 없는 아우성’ / 이창곤

사회관계에서 어떤 문제에 부닥치면 사람들이 대응하는 방식은? 또는 어떤 조직이나 회사가 내리막길로 추락할 때 조직원들의 선택은?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의 저자인 앨버트 허시먼의 개념을 원용하면 셋으로 나눌 수 있...

  • HERI
  • 2019.06.04
  • 조회수 4247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청년을 퇴사로 밀어내는 사회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청년 퇴사는 시대적 변화를 드러내는 사회 현상이다. 무엇보다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이 1년 5.9개월에 불과하고,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도 27.7%에 이른다는 수치...

  • HERI
  • 2019.05.31
  • 조회수 4329

[유레카] 위기의 ‘사회적 대화’ 살리기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두고 말들이 많다. “입법보조기구냐” 또는 “고충처리기구 아니냐”는 비아냥은 차라리 충고에 가깝다. 사회적 대화 위기론을 넘어 무용론까지 등장하는 마당이다. 민주노총의 불참에 ...

  • HERI
  • 2019.05.13
  • 조회수 4235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길 잃은 문재인 정부, 내년 총선은 어디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여기 두개의 지표가 있다. 83%에서 44%, 12%에서 24%. 앞의 것은 1년 사이에 반토막 난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고, 뒤의 것은 같은 기간 곱절로 뛴 자유한국당 지지율이다. 갤럽의...

  • admin
  • 2019.05.03
  • 조회수 4003

[유레카] ‘부양의무제’ 폐지의 가치론 / 이창곤

1537년 로마 교황 바오로 3세는 한 칙령을 내린다. “인도인이나 흑인,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민들도 인간이다.” 이 칙령이 시사하는 바는 당시까지, 아니 그 이후에도 한동안 유럽인들에게 ‘그들’은 인간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 admin
  • 2019.04.18
  • 조회수 4054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보궐선거에서 표출된 엄중한 민심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4·3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범여권과 자유한국당의 무승부로 끝났다. 민주당은 2017년 대선 이후의 압도적 우위 체제가 끝났고, 자유한국당은 쇄신 없는 반사이익만으로는 지지층 확장에 ...

  • HERI
  • 2019.04.05
  • 조회수 3807

[유레카] ‘가짜 보수’의 몽니/ 이창곤

시사평론가 김용민은 한때 한국의 보수를 네가지로 유형화했다. 모태보수, 기회주의 보수, 무지몽매 보수 그리고 자본가 보수다. 모태 보수는 “돈과 기득권을 갖춘 집안에서 자라온 사람들”이고, 기회주의 보수는 “어떤 계기에...

  • HERI
  • 2019.03.28
  • 조회수 4303

[유레카] 금강산관광, 새 북-미 대화의 ‘킹핀’ / 이창곤

 금강산은 우리에게 이제 선녀와 나무꾼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기암괴석의 천하명승만을 뜻하지 않는다. 금강산은 남북관계에서 “민족 화해, 협력의 체험장”이었다. 남북의 노동자, 농민, 청년학생, 여성 등 각계각층이 이곳에서...

  • HERI
  • 2019.03.12
  • 조회수 3884

[한겨레 프리즘] 청년 이슈에 대한 태도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20대 남성의 보수화’를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뜨겁다. 이 현상의 핵심에 20대 남성의 ‘역차별 인식’이 있다. 최근 20~30대 청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

  • HERI
  • 2019.02.25
  • 조회수 4358

[유레카]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반응 톺아보기

지난 주말 기본소득이 반짝 회자되었다. 핀란드가 이태 동안 벌인 기본소득 실험의 ‘예비결과’(1차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압축하면 이렇다. “기본소득은 2017년 자료만 볼 때 수령자들의 고용을 불러일으키는 데는 의미있...

  • HERI
  • 2019.02.13
  • 조회수 4606

[한겨레 프리즘] 핵심 지지층이 떠나고 있다 / 한귀영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목포 원도심 차명 투기 의혹, 같은 당 서영교 의원의 재판청탁 의혹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두 사안이 다르고, 손 의원의 경우는 논쟁적 요소가 꽤 있...

  • HERI
  • 2019.01.23
  • 조회수 4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