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8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문재인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는 부동산 대책과 최저임금 인상, 부유층 증세,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방안 등 ‘민감한’ 사회·경제정책이 70% 이상의 높은 국민적 지지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는 17일 취임 100일을 맞는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 지지도 역시 이런 개혁 정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에 힘입어 취임 초와 다름없는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겨레>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1~12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취임 100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를 뼈대로 한 ‘8·2 부동산 정책’에 대한 찬성 응답은 71.8%에 이르렀다. 고소득자·대기업 증세에 대해선 85.1%가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최저임금 인상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역시 각각 74.4%, 69.2%가 찬성했다. 보수 세력을 중심으로 부자 증세나 최저임금 인상,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이 기업 경영과 국가 재정에 부담을 줄 것이라는 비판이 드세지만 국민 다수는 이런 정책에 환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흐름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이후 가장 잘한 일’을 주관식으로 물은 질문에 ‘적폐청산’(9.2%), ‘소통’(7.5%)과 함께 ‘건강보험 보장 확대’(6.5%), ‘일자리 정책’(6.4%), ‘부동산 정책’(4.5%) 등을 꼽은 것에서도 확인된다.
‘문재인 정부에서 나의 삶이 변화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좋아질 것’이라는 답이 56.6%로 나타났다. ‘별 차이 없을 것’과 ‘나빠질 것’이라는 답은 각각 31.2%, 9%로 조사됐다. 지난 5월 조사와 비교했을 때, ‘별 차이 없을 것’이라는 답은 8.1%포인트 줄고,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5.1%포인트 늘어 비관적인 전망이 다소 상승했지만 ‘삶이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이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도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답은 78.6%로 조사됐다. ‘매우 잘하고 있다’와 ‘대체로 잘하고 있다’는 답이 각각 33.1%, 45.5%로 나타났고, ‘잘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16.5%로 조사됐다. 앞서 <한겨레>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지난 5월12~13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조사 결과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77.8%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세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고르게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90.2%)와 호남(91%)에서 긍정 평가가 압도적이다. 30대와 40대에서도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답이 85.7%, 87.3%로 나타났고, 보수 성향이 강한 50대와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도 각각 73.4%, 62.1%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주요 사회·경제적 개혁 조처에 대한 기대감이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