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소상공인·자영업자 혜택은 공통점
제로페이는 QR코드 기반 결제수단
온누리·지역화폐는 상품권 정책
제로페이는 QR코드 기반 결제수단
온누리·지역화폐는 상품권 정책
온누리상품권과 제로페이는 지역화폐(상품권)와 성격은 다르지만 공통점도 많다. 헷갈려 하는 소비자도 있고, 조정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2009년 7월 정부가 시작했다. 모바일과 종이 형태로 돼 있고, 5~10% 싸게 살 수 있다는 것은 지역화폐와 비슷하다. 하지만 중앙정부(중소벤처기업부)가 주도하고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통시장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은 다르다. 지역화폐는 지방정부 주도, 지역에서만 소비, 지역경제 살리기 등의 성격을 가졌다. 온누리상품권은 지난해 판매액이 1조5천억원을 넘겼고 올해는 2조원까지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할인 혜택이 큰 만큼 일부 상인과 상품권 브로커들이 수천만원어치 상품권을 대거 매입한 뒤 은행에서 현금화하는 소위 ‘상품권 깡’을 하는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쪽에서는 “온누리와 지역화폐가 전통시장 상인들을 비롯한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라는 공통분모가 있는 만큼 상호 협력 관계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소연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