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시행규칙 없어 입법에도 공제사업 진행 못해
상호부조 정신 ‘더 적은 부담, 더 많은 혜택’
공정위, 9월 내 구체적 협의 시작 약속

8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 아이쿱신길센터에서 5대 생협연합회(아이쿱·한살림·두레·행복중심·대학생협)와 민형배, 송재호, 이정문(이상 더불어민주당), 배진교(정의당) 국회의원의 공동주최로 생협 공제 시행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 아이쿱생협연합회
8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 아이쿱신길센터에서 5대 생협연합회(아이쿱·한살림·두레·행복중심·대학생협)와 민형배, 송재호, 이정문(이상 더불어민주당), 배진교(정의당) 국회의원의 공동주최로 생협 공제 시행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 아이쿱생협연합회

입법 이후 시행규정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 공제사업의 조속한 시행을 촉구하는 자리가 열렸다. 8일 오전 서울시 영등포구 아이쿱신길센터에서 아이쿱·한살림·두레·행복중심·대학생협연합회와 민형배, 송재호, 이정문(이상 더불어민주당), 배진교(정의당) 국회의원의 공동주최로 기자회견과 ‘신뢰 기반 생협 공제의 시행과 기대’ 포럼을 개최했다.

2010년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이 개정되며 생협은 공제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련 시행규칙과 감독기준안을 마련하지 않아 지난 12년간 국내 생협들은 공제사업을 실시 할 수 없었다. 이에 생협 단체들은 2012년부터 꾸준히 공정거래위원회에 공제규정 등 개정을 요구해왔고, 국정감사에서도 여러 번 이 문제가 논의된 바 있다.


공제는 상호부조 정신에 근거한 경제적 보장제도를 의미한다. 생협은 공제를 통해 조합원들이 필요로 하는 금융상품을 만들어 조합원들의 이익과 만족을 높이고, 생활 안전망을 보다 튼튼히 하고자 한다. 국내 생협 단체들은 대기업 위주의 보험회사 중심의 보험시장에서 소비자의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크다고 보고 있다. 소비자들은 생협 공제를 통해 더 적은 부담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을 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를 맞은 이향숙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공제는 조합원의 상호부조를 기반으로 한 기본활동 중 하나이며, 민간보험과 국가 안전망 사이 빈틈을 메우는 소비자를 위한 대안 운동”이라며 생협 공제 필요성을 역설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진아 모심과 살림연구소 사무국장은 “개인 삶의 문제를 경제적 논리로만 풀려는 사회에 전환점이 필요한 때다. 생협이 지닌 신뢰와 민주적 거버넌스, 연대의 문화가 공제를 통해 새로운 삶의 가능성 보여줄 수 있다”며 공제의 폭넓은 가능성에 대해 주장했다.


한편 이날 주최측은 서울에서 기자회견 및 포럼을 진행하는 동시에 같은 시간 세종시 공정거래위원회 앞에서 공제규정 촉구 시위를 동시에 진행했다. 현장에서 송상민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국장과 면담이 이뤄졌고, 9월 말부터 생협단체와 공정위, 전문가들과 함께구체적인 협의를 시작해 연내 시행방안을 도출하자는 내용의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양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변동팀장 ey.yang@hani.co.kr


기자회견 이후 진행된 ‘신뢰 기반 생협 공제의 시행과 기대’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이날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은 기조연설에서 “140만 조합원이 30년간 쌓아온 신뢰보다 더 큰 자산은 없을 것이다. 공정거래위원장과 5대 생협회장과의 자리를 마련해보겠다”며 생협 공제 관련 시행규정 마련의 조속한 해결을 다짐했다. 사진: 아이쿱생협연합회
기자회견 이후 진행된 ‘신뢰 기반 생협 공제의 시행과 기대’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이날 민형배 의원(광주 광산구을)은 기조연설에서 “140만 조합원이 30년간 쌓아온 신뢰보다 더 큰 자산은 없을 것이다. 공정거래위원장과 5대 생협회장과의 자리를 마련해보겠다”며 생협 공제 관련 시행규정 마련의 조속한 해결을 다짐했다. 사진: 아이쿱생협연합회




onebyone.gif?action_id=6c0eb0a041c5e67bff55256eee3a8a9onebyone.gif?action_id=2f9497b09296f1692a35d28091af9ab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코로나 보상 50조 ‘윤석열 공약’ 위해 ‘국채 발행’ 할까?

윤 “코로나 보상 50조 추경” 공약 공약 지키려면 국채 발행 불가피 총리 후보자는 ‘재정건전성’ 강조 인수위도 국채 발행 부정적 시민사회단체 “국채 발행 안 하면 대선 공약 못 지켜” 윤 정부 복지공약 후퇴 우려 진보...

  • HERI
  • 2022.04.11
  • 조회수 1410

‘글로벌 게임 체인저’ ESG, 윤 당선자-경제계 ‘친기업’ 유착에 위기

[HERI 이슈] 블랙록, 삼성전자 탄소감축 지연 경고 HDC현산, 잇단 산재사고로 생사기로 ‘ESG시대’ 한국기업 리스크 잘 보여줘 경제단체들 중대재해법 완화 요청에 윤석열 당선자 화답하며 ‘친기업’ 기조 국제 흐름 외면하...

  • HERI
  • 2022.04.04
  • 조회수 987

“재정 안정·보장성 강화는 함께 갈 두 바퀴…공통분모 넓혀야”

국민연금 개혁은 더 미룰 수 없는 과제 차기 정부 최우선 국정 현안으로 떠올라 재정의 지속가능성, 노후소득보장 강화 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율에 성패 달려 “연금은 세대간 자원 배분 최적화 문제 미래불안 조장·세대 갈라치...

  • HERI
  • 2022.03.21
  • 조회수 1351

중대재해 발생한 기업 소유주 처벌 가능해졌다지만…

중대재해처벌법 1월27일 발효 인명사고에 ‘실질적’ 경영책임자 처벌 안전담당 이사 뒀어도 대표이사 책임 대검 “계열사 사장에게 업무 지시한 오너도 공범으로 처벌 가능” 현대제철, 삼표산업 첫 사례 되나 재계 “형사처벌이 ...

  • HERI
  • 2022.03.14
  • 조회수 1913

“주주자본주의 앞세운 경총의 노동이사제 반대는 시대착오적”

인터뷰│박태주 전 경사노위 상임위원 노동이사 서울시 도입 6년만에 전 공기업 확대 노동자 경영주체 인정·주주자본주의 종식 의미 ‘거수기 이사회’ 탈피…투명·민주성 개선 효과 국민 박수 받을만한 인상적 모범사례는 아직… ...

  • HERI
  • 2022.03.07
  • 조회수 1565

“짓지도 않고 아파트 파는 나라…이제 물건 보고 고를 때 됐다”

주택공급 촉진 위해 도입한 선분양제 일정기간 주택부족 해소에 기여했으나 부실시공, 허위·과장광고, 불법전매 등 40년간 각종 부작용·폐해 끊이지 않아 “짓지도 않고 파는 곳, 사실상 우리나라뿐 후분양제로 기울어진 시장 바로...

  • HERI
  • 2022.02.21
  • 조회수 1041

농산어촌, 디스토피아 탈출을 꿈꾸다

<농산어촌에서 새 삶을 일구다> ① 도시 청년과 지역의 공존 ② 귀농·귀촌과 베이비부머 ③ 농산어촌 재생 가능성과 과제 ‘한강의 기적’ 이뤘지만 삶의 질은 OECD 꼴찌 수준 공동체 소멸 위기에 내몰려 도시보다 합계출산율...

  • HERI
  • 2022.02.14
  • 조회수 1096

1700만 베이비부머, 도시를 떠나 농촌을 살린다

민주지산 속 오지 ‘영동 도마령마을’ 60대 중심 귀촌으로 9→42가구 전원생활 로망 구현 “스트레스 끝” 마을 생기 되찾고 주민 단합도 이뤄 산촌축제·마을기업 등 아이디어 분출 “베이비부머가 농촌문제 해법” 주목 도시민...

  • HERI
  • 2022.02.07
  • 조회수 1355

시골로 간 도시청년들…지역재생의 중심에 서다

‘지방소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시대다. 지금의 인구 감소 추이로 볼 때, 앞으로 30년 이내 전국 읍·면·동 10곳 중 4곳은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청년층이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농촌만큼 소멸 징후를 ...

  • HERI
  • 2022.01.17
  • 조회수 1342

에너지 요금 현실화 없인 탄소중립·에너지전환 ‘공염불’

인터뷰 / 김종갑 전 한전 사장 전기료 1분기 동결 뒤 4·10월 인상 ‘코미디’ ‘원가연계’ 취지 무시…일본식 행정개입 한계 지배구조 강조하며 공기업은 외면 ‘이중잣대’ ‘균등화 발전원가’ 빠진 ‘탈원전’ 공방 무의미 연...

  • HERI
  • 2022.01.10
  • 조회수 1194

“고용 유지 성과 있지만, 일자리 격차 줄이지 못했다”

인터뷰│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윤석열 ‘일자리 파괴 정부’ 비난은 고용통계 이해 못 해 나온 것 코로나에도 일자리 유지에 성공해 고용률·취업자수 등 지표 양호 좋은 일자리 줄고 비정규직 늘어 청년 체감 실업난 ...

  • HERI
  • 2022.01.03
  • 조회수 1298

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들…“지역 기반·특성 살린 고용 전략 필요”

교육·의료·일자리 등 수도권에 집중 지역별 격차 심화, 일자리 양극화 악순환 지역 일자리 위기, 극복할 대안 전략 필요 “지자체로의 획기적인 권한 이양과 교육·산업·복지 정책 연계 통해 지역맞춤형 일자리 정책 강화를” 지...

  • HERI
  • 2021.12.21
  • 조회수 1403

‘상생형 일자리’가 낳은 캐스퍼, 광주의 희망 될까

사전예약 첫날 최다 주문 기록 캐스퍼 흥행으로 GGM 주목받아 지역 일자리 창출 목적으로 노·사·민·정 합의해 만든 ‘상생형 일자리’ 1호 지역 살리는 일자리 지속 여부는 지역경제 주체들 의지에 달려 문재인 대통령 부부가 ...

  • HERI
  • 2021.12.13
  • 조회수 1696

코앞에 닥친 친환경차 시대…1만 부품업체 ‘대량 실업’ 피할까?

“내연기관차 부품개발 끊겨” 호소 전기·수소차로 전환 안하면 ‘고사’ 삼보·디와이 등 선제적 전환 성과 10년 전부터 R&D·인력 확보 주효 다수 부품사는 방향 못잡고 헤매 “전환 실패시 3만~4만 감원” 우려 정부·지자체...

  • HERI
  • 2021.12.06
  • 조회수 1327

깨끗한 전기가 깨끗한 철 만든다

‘탄소중립’ 발등의 불 떨어진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박차 환원제로 석탄 대신 수소 사용 스웨덴 사브의 샤프트환원로 방식과 포스코의 유동환원로 각축 철강업계 국제적 협업 모색 수소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로 탄소...

  • HERI
  • 2021.11.29
  • 조회수 1971

이근 “복지-성장-고용 선순환하는 ‘역량증진형’ 국가로”

개발·복지국가 넘어 새 발전 모델 내놔 탈탄소·디지털·GVC ‘3중전환’ 선제 대응 이근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개발국가와 복지국가를 넘어 역량증진형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 이근 국민경제...

  • HERI
  • 2021.11.15
  • 조회수 1727

“탄소중립·디지털 대전환시대 ‘사회적 대화’가 필수”

한겨레·경사노위 공동주최 국제콘퍼런스 노사정 “위기를 기회로 전환” 한목소리 노동자·지역 지원 ‘공정한 전환’도 동의 한겨레신문사와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지난 10일 공동주최한 ‘대전환시대 새로운 고용노동 패러다임 모색’...

  • HERI
  • 2021.11.15
  • 조회수 1758

‘메가시티 전략과 과제’ 대토론회

오는 25일 서울 드래곤시티호텔서 제2회 대한민국 도시포럼 개최 국가균형발전과 자치분권 위한 원칙과 전략, 이행 과제 등 모색 정부는 지난 10월14일 문재인 대통령과 17개 시·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세종시에서 ‘균형발전 성...

  • HERI
  • 2021.11.08
  • 조회수 1487

부·울·경 묶은 메가시티, ‘1시간대 생활권’ 시대 열리나

일자리·사업 여건 수도권 편중에 지역 인구 유출·경제력 쇠퇴 가속화 소멸위기 속 ‘초광역 생활권’ 모색…“1시간대” 동남권 메가시티 부상 한때 400만명을 자랑하던 부산 인구는 330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부산에서 수도...

  • HERI
  • 2021.11.08
  • 조회수 1330

‘탄소 중립’에 원전은 필요악인가

프랑스, 소형원자로 투자 계획에 이어 유럽 10개국 언론 공동 기고 “탄소중립 위해 원전 불가피” 주장…한수원도 “원전 확대” 의견 제출 2016년 11월14일 울산 울주군 고리원전 신고리 핵발전소 5, 6호기 예정지 앞에서 원전...

  • HERI
  • 2021.11.01
  • 조회수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