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살기 좋은 도시’ 특징은

멜버른, 취리히, 밴쿠버, 빈….

매년 글로벌 컨설팅 기관과 언론사들이 선정하는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단골손님들이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은 영국 시사전문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세계 140여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가장 살기 좋은 도시’ 평가에서 4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이들 도시는 안전, 의료, 문화, 환경, 교육, 도시 기반 등 평가 항목 전반에서 고루 높은 평가를 받는 곳들이다.

이들 도시 사이엔 또 다른 공통분모가 숨어 있다. 도시의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고, 그 성과를 지역 주민과 관광객,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알리고 소통하는 데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도시의 사회적 책임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건전한 재정, 고용 창출, 사회 복지와 교육, 쾌적한 환경 등을 말한다.

멜버른 ‘살기 좋은 도시’ 1위
취리히·밴쿠버 등도 상위권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공통점

서울 강동, 인천 부평, 전주시 등
국내 지방자치단체도 확산 추세
“주민 뜻·비전 담아 소통하는 도구”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살기 좋은 도시로 꼽힌 도시들은 대부분 사회적 책임 성과를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담아 보고하고 있다. 2007년부터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 멜버른은 교통을 비롯한 도시 내 접근성, 혁신성, 이해관계자 참여, 친환경, 고용 및 재정 안정성 등과 관련한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매년 같은 지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 성과의 추이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고 개선 여부를 파악하기도 쉽다.

역시 살기 좋은 도시 상위권에 포함되는 스위스 취리히는 2011년부터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경제, 생태, 사회 3개 영역에서 각각 7개씩, 21개 지표에 따라 사회적 책임 성과를 보고하고 있는데, 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에 관한 표준적인 가이드라인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 지표를 따른 것이다. 지아르아이는 기업의 경영 성과뿐 아니라 사회, 환경,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인 요소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는 글로벌 지침이다. 북미의 대표 도시인 캐나다 밴쿠버의 보고서도 지아르아이 가이드라인을 따라 경제, 환경, 사회 등 3개 영역으로 나눠 32개 성과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 영역은 실업률과 일자리, 경제 성장, 환경 영역은 녹지 공간, 온실가스, 교통, 수질, 사회 영역은 소득불평등, 범죄율, 주택, 교육, 보건 등이다. 지아르아이는 ‘사회적 책임은 기업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의 책무이자 의무’라는 원칙(ISO26000)에 따라 기업뿐 아니라 공공기관, 비영리조직, 지방자치단체 등의 사회책임 성과를 강조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의 지속가능보고서
살기 좋은 도시의 순위에 관계없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주목하는 도시들 역시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에 적극적이다. 생활임금제도를 처음 실시한 미국 볼티모어, 지역주민 간 협력적 소비가 활발한 대표적인 공유 도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은 이미 2005년 이후 9년째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 좋은기업센터 신태중 사무국장은 “살기 좋은 도시는 결국 지역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것이다. 도시의 지속가능성보고서는 지역 주민들이 요구하는 바와 기대를 담아 비전을 제시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소통 도구이기 때문에 살기 좋은 도시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오스트리아 빈(비엔나)의 지속가능보고서
국내에선 2011년 서울 강동구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보고서를 발간했고, 인천 부평구는 자체 지표를 개발해 도시의 사회적 책임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전주시가 경제, 사회복지, 교육, 생태와 환경, 자원과 에너지, 문화 등 7개 분야 30개 지표를 개발해 사회적 책임 성과를 이해관계자들과 공유하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선 2013년 충남과 인천이 나란히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처음 발간했다. 큰 틀에서는 경제, 환경, 사회라는 사회책임경영 평가 체계를 따르되, 교육과 재정, 행정서비스 등 정부 고유의 제도와 지역의 당면 과제를 반영한 게 특징이다. 예컨대 충남의 경우 지역 내 농업 비중이 큰 것을 고려해 관련 지표를 추가했고, 인천은 공항과 항만 등이 지역 경제, 사회,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보고서에 담아냈다.

서재교 한겨레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jkseo@hani.co.kr



등록 : 2014.12.21 20:11수정 : 2014.12.21 21:27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더 나은 사회] 이윤추구 ‘짧은 상품주기’로부터 독립…재사용 ‘순환경제’로의 이행

서울 노원구청과 노원되살림네트워크, 노원사회적경제활성화추진단은 중고벼룩시장 및 자원순환 행사로 매년 ‘노다지’(노원에서 다시 쓰는 지혜) 장터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6월21일 노원구청 앞에서 열린 노다지 장터. 노원사회...

  • admin
  • 2015.12.21
  • 조회수 7376

[더 나은 사회] 마을이 키우는 아이…‘사회적 경제 특구’ 들어보셨나요?

서울 관악구청과 관악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가 ‘서울시 사회적 경제 예비특구 준비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한 ‘서로돌봄허브’ 공간. ‘공동체육아’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이 기대된다. 관악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제공 지난 10월 말...

  • admin
  • 2015.12.07
  • 조회수 7095

[더 나은 사회] 해킹? ‘시빅해킹’!…정보기술이 만들어내는 도시 삶의 혁신

지난 18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5 사회혁신 콘퍼런스’에 참석한 오스카르 몬티엘 코데안도멕시코 공동대표가 멕시코의 시빅해킹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한국은 디지털 정보 인프라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국가 중...

  • admin
  • 2015.11.23
  • 조회수 6848

[더 나은 사회] ‘문화 향유권’ 돕는 사회적 기업, 공동체 성장 이끈다

모두를 위한 극장 공정영화협동조합(모극장)이 열었던 ‘랩탑영화제’ 모습. 모극장은 영화를 보기 어려운 시민들과 공동체를 찾아가 상영하는 대안적 영화 유통 및 배급 사업을 펼치고 있다.  모극장 제공 #장면1. 전남의 한 ...

  • admin
  • 2015.11.09
  • 조회수 6595

[더 나은 사회] “삶의 질이 경제적 성취보다 더 중요”…‘탈물질주의’ 경향 뚜렷

와 희망제작소가 지난 2월 경기도 안산 경기창작센터에서 연 ‘광복 100년 대한민국의 상상’ 행사에 참가한 청년들이 자신들이 꿈꾸는 미래 사회의 모습을 유리창에 적어둔 모습. 안산/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alt="와 희...

  • admin
  • 2015.08.31
  • 조회수 7255

[더 나은 사회] 아시아 사회혁신가들, ‘민달팽이족’ 위해 손잡다

홍콩 사회적 기업 ‘라이트비’는 저소득층 싱글맘들을 위한 집인 ‘라이트홈’을 운영한다. 거주자들은 거실과 주방을 함께 사용하며 서로를 돕는 동반자가 되어간다. 라이트비 제공 제2회 아시아청년사회혁신가 포럼 #1 사티안 ...

  • admin
  • 2015.08.17
  • 조회수 6354

[더 나은 사회] ‘로컬푸드 도시락’에 평창 올림픽 지속가능성 담는다

송어·감자·더덕 등 강원 특산물로 관람객 등에 공급할 도시락 6종 개발 대회 끝나도 대표 먹거리로 브랜딩 올림픽-지역경제 선순환 모델 가능성 대기업 ‘스폰서십 독점권’ 해결해야 지난달 21일 강원도 원주에서 평창동계올림픽 ...

  • admin
  • 2015.08.03
  • 조회수 7823

[더 나은 사회] 시민 2581명 쌈짓돈, 사회 혁신의 마중물 되다

사회적기업 크라우드펀딩 대회 6월 한달 동안 열린 ‘2015 사회적기업 크라우드펀딩 대회’ 에서 수상한 참가팀들이 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시상식 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제공 #1. 지능평가지수가 ...

  • admin
  • 2015.07.20
  • 조회수 6682

[더 나은 사회] “요리 성적은 1등이죠”…‘셰프의 꿈’ 키우는 아이들

‘영셰프스쿨’ 학생들이 지난해 가을 서울 영등포구 하자센터 요리실습장에서 자신들이 만든 요리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오가니제이션 요리 제공 사회적 기업 오요리 ‘영셰프 스쿨’ 학교 밖 청소년 등 2년간 요리교육 ...

  • admin
  • 2015.07.06
  • 조회수 6911

[더 나은 사회] 국민들 80% “기업 사회공헌 미흡하다”

2015년 사회책임경영(CSR) 인식조사 국민들 10명 가운데 8명은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경제연구소가 서울시민 1000명에게 ‘국내 기업 사회공헌 및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인식’을 설...

  • admin
  • 2015.06.23
  • 조회수 6949

[더 나은 사회] “함께 모싯잎 수확해 마을 지켜준 어르신께 연금 드려요”

정읍 송죽마을 마을연금 이야기 송죽마을 쑥모시영농조합법인 조합원들이 내장산 자락에서 모싯잎을 채취하고 있다. 쑥모시영농조합법인 제공 “나이 80살 이상이면서 지역 공동체에 20년 이상 머물렀거나, 20년이 채 안 됐더라도 마...

  • admin
  • 2015.06.08
  • 조회수 7161

[더 나은 사회] “뇌물·청탁, 장관한테 직접 신고하는 ‘핫라인’ 어떨까요?”

경제협력개발기구 부패방지위원장을 지낸 마르크 피트 바젤대 교수가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5 지도자 정상회의’ 반부패 세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제공 마르크 피트 OECD...

  • admin
  • 2015.05.26
  • 조회수 6220

[더 나은 사회] ‘사회적 경제’는 사회주의?…새누리당 자가당착 색깔론

새누리당이 지난해 4월 국회에서 개최한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 국회 제공 사회적경제기본법 왜 지연되나?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안의 4월 임시국회 처리가 불발되면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 admin
  • 2015.05.11
  • 조회수 7139

[더 나은 사회] 자선의 진화, 사회혁신 이끄는 ‘벤처자선'

더그 밀러 아시아벤처자선네트워크 회장이 21일 총회 환영사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벤처자선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에이브이피엔 제공 아시아벤처자선네트워크 연례 총회 가보니 사회적 성과 사업에 ‘벤처 방식’ 기부 28개국 벤...

  • admin
  • 2015.04.27
  • 조회수 7575

[더 나은 사회] 일자리 두배 늘고 매달 4천명 찾아…‘농촌 회생 모델’ 실험중

구례자연드림파크에는 매달 3000~4000명의 조합원·시민·학생들이 방문해 견학·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예비 유치원 교사들이 쿠키 만들기 체험을 하는 모습. 아이쿱생협 제공 구례자연드림파크 1년 성과는 19개 공장서 340개 품...

  • admin
  • 2015.04.13
  • 조회수 7772

[더 나은 사회] 소액 기부금 ‘포인트로 돌려받아 또 기부’ 선순환 모델

[경제의 창] 더 나은 사회 ‘임팩트 기부’ 어떻게 운영되나 아프리카 가나의 마을기업 여성바구니협동조합 조합원들이 바구니를 제작하고 있다 재료비가 부족한 이들에게 더브릿지의 임팩트 기부금은 큰 도움이 되었다. 더브릿지...

  • admin
  • 2015.03.30
  • 조회수 6616

[더 나은 사회] “이해관계자 쓴소리가 보약…잘못된 조직·관행 확 바꿨죠”

지난해 11월 서울 중구 서울시엔피오지원센터에서 진행된 지구촌나눔운동의 이해관계자 대화 참석자들. 이날 전·현직 임직원, 후원자 및 활동가, 정부기관,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이해관계자 12명이 모여 의견을 나눴다. 지구촌...

  • admin
  • 2015.03.16
  • 조회수 7388

[더 나은 사회] 공동육아어린이집, 협동조합이 운영하면 안 되나요?

지난해 10월 경기 하남 미사리 경정공원에서 공동육아 부모·교사·아동 등 3000여명이 참석해 열린 ‘제8회 공동육아 한마당’에서 아이들이 무대에 올라 합창을 하고 있다.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제공 사회적협동조합 전환 논란올해...

  • admin
  • 2015.03.02
  • 조회수 7667

[더 나은 사회]잘나가던 직장 그만두고 ‘비영리’로 간 까닭은…

민간기업에서 일하다 비영리단체 활동가로 변신한 이상진·최호진·박성호씨(왼쪽부터). 이상진씨는 민간 컨설팅업체에서 일했으며 우리금융지주에서 임직원 혁신 전략을 수립하기도 했다. 최호진씨는 외국계 회사에서 10여년 동안 페인트를...

  • admin
  • 2015.02.16
  • 조회수 6885

[더 나은 사회] “우리끼리 돕자”…전국 단위 ‘연대 금융’ 첫발 뗀다

사회혁신기금은 사회혁신기업가포럼 회원사들이 주축이 돼 지난해 5월부터 설립 논의가 진행됐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포럼이 주최한 행사에 참석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기금 설명회가 끝난 뒤 참석자들이 기념사...

  • admin
  • 2015.02.02
  • 조회수 6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