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더 나은 사회] 기획/행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②

김밥 만들기·손바느질 등
혼자서는 힘들던 ‘숙원사업’
동네의 숨은 고수 만나 함께하니
정보·친구 모두 얻는 ‘일석이조’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희망제작소가 진행하는 ‘행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상암동 월드컵 아파트 8단지 주민들이 최근 단지 안 작은 도서관에 모여 면생리대를 만들고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희망제작소가 진행하는 ‘행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상암동 월드컵 아파트 8단지 주민들이 최근 단지 안 작은 도서관에 모여 면생리대를 만들고 있다.


“김밥 재료 준비하는 게 손이 많이 가는 일이잖아요. 다 같이 모여서 김밥 만들고 팁도 공유하니까 좋네요. 누드김밥을 쌀 때 김발에 비닐을 씌우면 된다는 걸 오늘 처음 알았어요.”(변희동씨)


“멀리 안 가고 집 근처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아요. 아파트가 외진 곳에 있어서 문화생활을 하려면 차를 타고 밖으로 나가야 했거든요.”(곽지현씨)


서울의 동쪽 끝자락, 변씨와 곽씨를 포함해 신내동 우디안 아파트 2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 열댓명이 최근 단지 안 작은 도서관에 모였다. 지난달 중순 시작한 ‘혼자서는 못하겠고 같이 할 사람 있나요?’라는 프로그램에 참가한 이들이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희망제작소가 진행하는 ‘행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하나인 이 프로그램은, 혼자 하기 힘들거나 아까운 취미생활 등을 공유하는 소소한 모임을 통해 ‘동네 친구’를 사귀고, 사람 냄새 나는 아파트살이를 해보자는 시도다.


3주 전 첫 모임에서 주민들은 자신이 배우고 싶은 것과 가르쳐 줄 수 있는 것을 적어 냈다. 각자의 필요와 재능이 교집합을 이루는 모임 세 개가 만들어졌다. 주변에 김밥 잘 만들기로 소문난 주민 소진숙(38)씨는 강사가 되어 ‘밥맛을 좋게 하려면 밥 지을 때 다시마 넣기’,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김밥 써는 칼에 식초 바르기’ 같은 유용한 정보를 알려줬다. 오이, 어묵, 삼겹살 등 각자가 선호하는 김밥 재료와 양을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던 소씨의 조에서는 “여러 명의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일은 피곤하고 지치지만 그 과정이 중독성 있다”고 평했다. 천연화장품 만들기, 전래놀이 모임도 진행됐다. 천연화장품 재료는 대용량으로만 판매되는데다 유통기한이 짧아 여럿이 함께 만드는 게 여러모로 낫다. 전래놀이 전문강사를 준비 중인 조현순(39)씨는 아파트 놀이터에서 놀던 아이들을 불러 모았다. 아이들 일곱명이 나무젓가락으로 물고기, 의자, 집 등의 모양을 만들었다가 일부를 움직여 방향이나 모양을 바꾸는 산가지놀이를 하며 즐겁게 시간을 보냈다.


서울 신내동 우디안 아파트 2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각자 배우고 싶은 것과 가르칠 수 있는 것을 적었다.
서울 신내동 우디안 아파트 2단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각자 배우고 싶은 것과 가르칠 수 있는 것을 적었다.


서울 반대쪽 끝, 상암동 월드컵 아파트 8단지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다양한 바느질 소품을 만들고 싶어하던 김희진(46)씨는 면생리대 만들기 모임을 꾸렸다. 30년 넘게 바느질로 옷과 소품을 만들어온 조숙자(70)씨를 이 프로그램에서 운명처럼 만난 덕분이었다. 김씨의 바람과 조씨의 경력이 잘 들어맞은 이 모임엔 10여명이 참가했다. 한땀 한땀 바느질하면서 “깨끗이 세탁할 방법을 공유해보자”, “천연세제를 만들어보자”며 다음 모임 약속도 잡았다.


같은 단지에 사는 주민들이 2시간 넘게 얼굴을 맞대고 앉아 있다 보니, 화제는 자연스럽게 동네 이야기로 흘렀다. 동네 사정에 밝은 주민들이 단지 내 공유자동차 주차장 설치, 통신사 중계기 설치 등 최근 동대표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설명해주자 다른 주민들은 귀를 기울이거나 각자 의견을 말하기도 했다. 김정희(43)씨는 “평소에 친한 이웃들을 만나면 주로 자녀 육아나 교육 이야기만 하는데, 잘 모르던 여러 사람들을 만나니 아파트 돌아가는 소식도 알게 돼 좋다”고 했다. 프로그램을 기획한 안수정 희망제작소 연구원은 “아는 사람이 없어서 마을 활동에 참여하기를 주저했던 주민들에게 이런 작은 모임이 이웃을 만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송진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 연구원 jysong@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9147.html#csidx423741393e3302db58c34f86e99fbd9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서울 같은 대도시도 해법은 마을과 골목에서 찾아야

[더 나은 사회] 박원순-데이비드 코튼 좌담 박원순 서울시장 “전환도시 방향 확고하게 정할 시점 협동으로도 경제 살릴 수 있어 1 대 99의 사회, 마을에서 눈으로 확인” 데이비드 코튼 교수 “현재의 경제체제는 ‘자살경제’...

  • HERI
  • 2018.10.11
  • 조회수 5348

“장애인에게 여행은 세상에 나와도 된다는 메시지”

[더 나은 사회] 장애인여행 전문 기업 ‘두리함께’ 방대한 자료 ‘무장애관광지도’ 펴내 “도움만 받다 자기주장도 펴더라… 하고 싶은 게 있는 주체 된 거죠” 두리함께를 통해 제주 바닷가를 여행 중인 관광객들. 두리함...

  • HERI
  • 2018.09.27
  • 조회수 5426

공정여행의 진화…사회운동에서 ‘주민 참여형 산업’으로

[더 나은 사회] 지역경제 살릴 해법으로 새롭게 주목 ‘구름에’ ‘제주생태관광’ ‘동네봄’ 등 마을 특색 살린 프로젝트 잇달아 선봬 “정부의 관광정책 틀 다시 세워야” 지난 8일 경북 안동 성곡동에 위치한 전통리조트 ...

  • HERI
  • 2018.09.27
  • 조회수 5881

‘고용’을 넘어 ‘사회적 포용’으로…“‘청년 문제’ 바라보는 시각 바꿔야”

[더 나은 사회] 불황기에 고용 중심 청년지원 힘쓴 일본 호황에도 니트·히키코모리 등 심해져 ‘일자리 만능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주거·문화 등 사회 안전망 확충 힘써야 “교수님, 적당한 때 취직하고 결혼하고 아이 낳고, ...

  • HERI
  • 2018.09.20
  • 조회수 6488

“자영업 위기, ‘최저임금 때리기’로 해결될 일 아니다”

[더 나은 사회] 국회에서 ‘한국의 자영업’ 토론회 열려 해외소비 늘고 외국인 소비 감소 겹쳐 한계 자영업자에 임금인상 부담은 사실 ‘기-승-전-최저임금’은 구조적 원인 호도 “자영업자, 현 정부 급격히 ‘지지 철회’” ...

  • HERI
  • 2018.09.20
  • 조회수 5264

문제는 ‘전기요금 폭탄’이 아니라 ‘에너지 불평등’

관측사상 최악 폭염에 ‘전기요금 폭탄론’ 들끓자 한시적 인하 카드 꺼낸 정부 정치권 일부선 누진제 폐지 주장도 논란 소용돌이 속에 정작 폭염·에너지 대책 논의 사라져 에너지·환경 시민단체 쪽 “누구나 공급받아야 하지만...

  • HERI
  • 2018.09.20
  • 조회수 6010

‘책임 있는 자본주의법’은 묻는다…“기업, 넌 대체 누구니?”

[더 나은 사회] 민주당 대권주자 워런이 발의한 법안 ‘연방법인’ 인가제…지배구조에 칼날 재계 반대 등 당장 현실화는 힘들 듯 불평등 해결하는 ‘새로운 상상력’ 의미 엘리자베스 워런 미국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민주당)이...

  • HERI
  • 2018.08.30
  • 조회수 5531

동네가 미디어다…삶의 현장을 바꾸는 저널리즘의 새 얼굴

[더 나은 사회] 어반플레이·닷페이스 등의 ‘다른 문법’ ‘내 이야기’에 주목하는 마을미디어들 독자를 ‘해결자’로 이끌어내는 데 성공 사회혁신의 대표 사례로 자리잡는 중 도시 문화 콘텐츠 기업 어반플레이는 “(도시에도) ...

  • HERI
  • 2018.08.24
  • 조회수 5774

최저임금 효과 측정할 통계 절실…예산 들여 체계 갖춰야

[더 나은 사회] ‘가계동향조사 논란’ 해법 모색 좌담 강신욱 보사연 선임연구위원 “조사마다 방법 각기 달라 불평등 지표 다르게 나오는 건 당연 다양한 정책수요 충족시킬 안정적 데이터 확보·유지 필요 공개 범위도 넓혀...

  • HERI
  • 2018.08.10
  • 조회수 5566

“초과세수 근거로 증세 회피해선 안 돼”

감세 기조 ‘세법개정안’ 비판 봇물 고소득층·대기업에까지 세제 혜택 재정지출 늘렸지만 ‘돈 나올 곳’ 안 보여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이 지난달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8년 세법개정안’을 설명하는 자...

  • HERI
  • 2018.08.02
  • 조회수 4759

극한 치닫는 ‘을들의 다툼’…‘갑질’ 구조 개선 등 유기적 정책 필요

[더 나은 사회] 최저임금 인상·노동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성장 핵심정책들 종합적 고려 없이 추진해 ‘반발’ ‘미지근’ 종부세 개편안도 여론 지지 못 얻어 원하청 거래 개선·임대료 규제 등 영세자영업자 대책 실시하고 집값...

  • HERI
  • 2018.08.02
  • 조회수 5424

“같은 고민 나누니 농촌에서 계속 살아갈 힘 생기던데요”

[더 나은 사회] 농촌청년여성캠프 연 해원과 들 농촌 2030 여성들 살아가는 이야기 일상의 고민 나누는 느슨한 ‘연대’ “내 고민 말하니 사회로 연결되더라” 지난 14∼15일 충남 홍성 정다운농장에서 열린 제4회 농촌청년여...

  • HERI
  • 2018.07.19
  • 조회수 5659

'같이'의 가치를 찾는 청년들의 자립 실험

[더 나은 사회] 귀농·비대졸 청년 자립 돕는 활동 늘어 ‘팜프라’·‘소풍가는 고양이’ 등 대표적 다양한 계층 감싸는 지원책 아쉬운 현실 실패 부담 덜어줄 사회안전망 갖춰야 청년 농부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팜프...

  • HERI
  • 2018.07.18
  • 조회수 5839

‘삶의 질’ 초점 맞춘 ‘중장기 국가 비전’ 속속 나온다

학계와 정부기구 두루 통합적 사회정책 비전 마련 분주 정책기획위, 국가 미래비전 수립 사회정책 중장기 비전도 작업중 사회보장위, 사회보장기본계획 바탕 될 ‘사회보장 2040’ 준비 박차 복지부·기재부도 각각 경제·사회 패러...

  • HERI
  • 2018.07.06
  • 조회수 5403

"지역의 윤리적 소비자가 에너지 전환의 주역"

마르코스 로마노스 ‘클레너지’ COO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에너지 플랫폼 ‘파일론 네트워크’ 소개 “윤리적 소비자 정치력 높이는 게 목표” 지난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8 사회적 경제 ...

  • HERI
  • 2018.06.21
  • 조회수 5269

사회적기업, 새터민 앞으로 한걸음 더 가까이 가려면…

[더 나은 사회] 해주부용식품·모어댄 등 사례 주목 문화충격 흡수하는 ‘완충장치’ 역할 일자리 이동 잦고 경쟁력 낮은 건 한계 ‘취약계층 보호’ 낡은 시선 벗어나야 북한이탈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열린 한 취업지원...

  • admin
  • 2018.06.21
  • 조회수 6081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도 ‘집합적 임팩트’ 성공 ‘방정식’이

【HERI 더 나은 사회】 자동차 공장유치란 구체적 목표 세우고 이해관계자가 각자 전문성으로 시뮬레이션 대화와 소통으로 목표, 방법의 공감 넓혀 ‘‘집합적 임팩트’ 방법으로 일군 사회적 대화 윤장현 광주시장(왼쪽에서 5번...

  • HERI
  • 2018.06.08
  • 조회수 5523

“혼자서는 세상을 구할 수 없다”…‘집합적 임팩트’ 주목

【HERI 더 나은 사회】 ‘지역 균형발전과 사회공헌’ 포럼 ‘집합적 임팩트’ 협력 모델 소개 복잡한 문제에 여럿이 함께 대응 서로 배우고, 고민하고, 성장하고 지역문제 푸는 소통, 참여의 해법 기업 사회공헌 새 모델로도...

  • HERI
  • 2018.06.08
  • 조회수 6255

‘밥’으로 열린 마음이 ‘동네 걱정’ 나누는 친구로

[더 나은 사회] 기획/행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③ 낯설었던 같은 단지 주민들 둘러앉아 밥부터 같이 먹고 나니 취미 공유하고 동네일 함께하는 ‘공동체’로 발돋움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희망제작소가 진행하는 ‘행복한 아...

  • HERI
  • 2018.05.23
  • 조회수 5218

6·13 지방선거를 사회적 경제 확산의 디딤돌 삼자

[더 나은 사회] ‘제2차 사회적 경제 정책 포럼’ 열려 정치권에 사회적 경제 7대 정책 제안 전담 부서 설치, 지역기금 조성 등 “지역발전 계획 단계부터 뿌리내려야” 지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행복나래 수펙스홀에서 ‘...

  • HERI
  • 2018.05.23
  • 조회수 5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