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2012년 독일에서 설립된 플랫폼 협동조합 ‘페어몬도’는 영국 지부를 개설하는 등 지역 협동조합의 연합회 방식으로 글로벌 플랫폼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페어몬도 누리집 갈무리
2012년 독일에서 설립된 플랫폼 협동조합 ‘페어몬도’는 영국 지부를 개설하는 등 지역 협동조합의 연합회 방식으로 글로벌 플랫폼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페어몬도 누리집 갈무리


업앤고

집 청소, 아기 돌봄, 애완동물 돌봄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앱 플랫폼이다. 미국 뉴욕시의 청소노동자 협동조합 세곳이 함께 사용하려고 개발해 2017년 5월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태스크래빗 등 일반 홈서비스 플랫폼이 노동자 수입의 약 20~50%를 수수료로 떼는 데 반해, 업앤고는 5%만을 부과해 플랫폼 운영비로 쓴다. 노동자 인권을 고려해 개별적인 소비자 평가는 하지 않는다. 저임금에 시달리던 노동자들은 업앤고가 만들어진 뒤 다른 회사 노동자보다 시간당 4~5달러를 더 번다. 조합원이 요금을 결정하고 적은 수수료를 유지하는 운영의 민주성 덕택에 가능한 일이다. 노동자들은 출자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플랫폼은 마케팅에 주력하고 고객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에도 힘쓴다. 업앤고가 서비스 노동자의 플랫폼 협동조합으로 출범할 수 있었던 배경엔 지역 가난 퇴치 활동을 벌여온 로빈 후드 지역재단, 협동조합 설립 지원조직인 가족생활센터(CFL), 사회공헌기금을 내놓은 바클레이스은행 등의 체계적인 지원이 있었다.

페어몬도

아마존이나 이베이와 같은 거대 온라인 상거래 사이트의 대안으로 2012년 독일에서 설립됐다. 공정무역 상품과 친환경 상품의 구매를 장려하고, 상품의 원산지와 공정, 노동조건의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과 영국에 각각 구매자, 판매자, 직원으로 구성된 2천여명의 조합원이 있다. 베를린의 사회임팩트랩에서 태동해 협동조합으로 발전했다. 자금과 조합원을 동시에 모집하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60만유로의 자본금을 확보했다.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2014년에는 영국 지부를 개설하는 등 지역 협동조합의 연합회 방식으로 글로벌 플랫폼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1인당 최대 출자금액은 2500유로로 제한되며, 엄격한 1인 1표 원칙을 지키고 있다. 조합원에게 은행 거래 내용까지 세세히 공개하는 등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도 적극적이다. 또 최고임금과 최저임금의 배율이 7배를 넘지 못하도록 정하는 등 공정한 임금 원칙을 실천하고 있다. 이익은 4등분 해 조합원 배당, 공정무역 엔지오(NGO) 등 비영리단체 기부, 협동조합 재투자, 자원봉사하는 조합원을 위한 포인트 배당에 사용한다.


그린택시쿱

2015년 설립된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지역 최대 운전자 소유 택시 협동조합이다. 우버와 같은 차량 공유에 맞서기 위해 운전자 800여명이 2천달러씩 출자금을 내고 설립했다. 운전자 조합원 가운데는 이민자들이 많은데, 출신 국가가 37개 나라에 이른다. 자신의 차를 소유하고 회사와 풀타임 운전자 계약을 맺거나, 차가 없는 운전자는 다른 사람의 차를 빌려서 운영한다. 우버나 리프트 같은 회사와 경쟁하면서도 2016년 현재 덴버에서 3분의 1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봉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bhlee@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89526.html#csidxe72bea2b273ddd2ac855ed40ef81100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지역’과 ‘시민’,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두개의 열쇳말

[더 나은 사회] ‘2019 지속가능발전대회’ 거제에서 열려 정부, 지난해 12월 ‘K-SDGs’ 수립 “중앙은 제도적·재정적 지원에 힘쓰고 지방은 시민 참여 이끌어 실천 힘써야” 25~27일 사흘간 경상남도 거제에서 열린 ‘2019 ...

  • HERI
  • 2019.09.30
  • 조회수 4485

“화폐 민주화가 위기의 교훈”…기본소득에 새로운 지평 열릴까?

[더 나은 사회] 민간 은행에 맡긴 ‘화폐 생산’ 권력 금융위기와 불평등의 주범 꼽히기도 ‘주권화폐’ 등 화폐 개혁 주장 잇따라 세금과 공유부 맴도는 기본소득 논의 ‘혼합형’ 등 새로운 재원 가능성 제시 영국의 ‘주...

  • HERI
  • 2019.09.23
  • 조회수 3811

‘원격의료’ 넘어 ‘메디컬 홈’으로…‘미래의료’의 청사진을 그린다

[더 나은 사회] 의료지출 늘고 의료 소외층도 증가 일상의 건강관리 ‘메디컬 홈’ 주목 지역사회 중심 ‘1차 의료’ 대안 떠올라 개인정보 보호 등은 숙제로 남아 재단법인 여시재와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한겨레경제...

  • HERI
  • 2019.09.09
  • 조회수 3905

기초보장 걸림돌 ‘부양의무자 기준’ “2023년까지 폐지가 목표”

[더 나은 사회] 기초생활보장법 20주년 좌담회 문진영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 “기초법, 한국 복지국가의 바탕 장기적으로 공공부조 줄이고 사회수당·사회보험 등 강화해야” 김윤영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 “넓은 사각지대, 낮은 ...

  • HERI
  • 2019.09.02
  • 조회수 5679

도시재생은 시민 손으로…‘1유로의 기적’은 어떻게 이뤄졌나

[더 나은 사회] 네덜란드 도시재생 현장 가보니 로테르담 ‘발리스블록’ 재생 프로젝트 입주자들이 리모델링부터 운영까지 사회혁신 실험실 된 ‘드커블’ 지역 시민들의 참여와 책임이 성공 열쇠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로테르...

  • HERI
  • 2019.08.19
  • 조회수 4784

“두 나라 시민연대, 아베 체제 긴장시킬 것”

[더 나은 사회] 김응교 시인·숙명여대 교수 기고 일본 국민 다수는 정치에 극히 무관심 우릴 옥죄던 ‘내면적 식민성’ 깨져 일본은 수직적, 종속적 사회구조 근대화를 견인해온 관료조직이 혐오를 부추겨 임시정부 수립 100주...

  • HERI
  • 2019.08.13
  • 조회수 4131

“아베의 역사관, 이웃나라들과 갈등 뿌리”

[더 나은 사회] 한승동 언론인·전 <한겨레> 도쿄특파원 기고 사죄 없는 정부 간 합의·협정만으로 과거사 상처 치유·종결될 수 있을까 아베가 신봉하는 자유주의 사관, 골수 우익 사관과 다르지 않아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

  • HERI
  • 2019.08.13
  • 조회수 3494

“비핵 평화 가치를 고리로 한·일 관계 새로 써야”

[더 나은 사회] ‘한·일 갈등의 현실적 해법 찾기’ “남·북·일 중심 새로운 관계 전환 기회” 지난해 한반도 상황이 영향 미쳐 “과도한 애국주의 흐름 위험” 우려도 7일 오후 서울시 서대문구 한백교회 안병무홀에서 ‘한...

  • admin
  • 2019.08.13
  • 조회수 3388

페이스북 대 중앙은행의 결투?…‘화폐는 누구 것’ 관점에서 봐야

[더 나은 사회] ‘주권화폐’, 쟁점과 전망 스위스, 화폐제도 놓고 국민투표 경험 ‘신용화폐 창출 권력 누구냐’가 쟁점 현대자본주의 통화 체제 비판이 핵심 “개인에게 중앙은행 계좌 허용” 요구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 HERI
  • 2019.08.05
  • 조회수 4429

3000개 ‘정점’ 찍고 800개로 줄어…일본 ‘지역화폐’ 현주소

[더 나은 사회] 유행처럼 번지는 지역화폐 ② 커뮤니티 활성화 ‘특효약’ 바람 타고 급증 10개 중 7개꼴 사라져…운영 조직 취약 탓 전자 지역화폐 형태로 다시 확산 조짐 영국 ‘브리스틀파운드’, 성공사례 꼽혀 유럽연합,...

  • HERI
  • 2019.07.29
  • 조회수 5231

지역화폐·제로페이·온누리상품권…같은 점과 다른 점

소상공인·자영업자 혜택은 공통점 제로페이는 QR코드 기반 결제수단 온누리·지역화폐는 상품권 정책 온누리상품권과 제로페이는 지역화폐(상품권)와 성격은 다르지만 공통점도 많다. 헷갈려 하는 소비자도 있고, 조정이 필요한 것 아...

  • HERI
  • 2019.07.22
  • 조회수 4615

지역에 ‘다른 돈’이 돈다…1년 사이 6배 몸집 불어난 ‘지역화폐’

[더 나은 사회] 유행처럼 번지는 지역화폐 ① 할인받아 화폐 구매, 골목상권 소비 “매출 늘어”…지역경제 대안으로 부상 올해 광역·기초 177곳 2조3천억원 발행 ‘묻지마 도입’…양적 확대 치중 우려도 “지역주민 참여와 관...

  • HERI
  • 2019.07.22
  • 조회수 4144

농촌 마을에 부는 새로운 바람…‘사회적 농업’ 활짝 꽃피울까

[더 나은 사회] 농업을 통한 사회적 가치 확산 의미 정부, 법안 발의하고 추진 전략 제시 분야별 거점농장 지정 등 내용 담겨 사회통합과 치유, 교육으로 시야 넓혀야 지난 5일 대전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 경제...

  • HERI
  • 2019.07.08
  • 조회수 4454

사회적경제기업, 장애인의 일터와 친구가 되다

[더 나은 사회] 사회적 경제 방식의 사회 통합 확산 웹와치·동구밭 등 성공 사례 이어져 일자리 창출과 기회 균등 성과 뚜렷 시민 참여와 지지, 지역의 역할 중요 1일 오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9...

  • HERI
  • 2019.07.01
  • 조회수 4057

"가장 중요한 한 재정 절감 방식은 국민을 건강하게 만드는 것"

[더 나은 사회] ‘전 국민 건강보장’ 30주년 인터뷰 l 김용익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세계 유례가 없는 초고속 고령화 사회 “건강한 노인이면 문제없다” 건강과 돌봄 중심으로 사회 재편 필요 커뮤니티 케어 4차 산업혁...

  • HERI
  • 2019.06.24
  • 조회수 3579

‘자동차와 마차의 대결’을 넘어…플랫폼 혁신이 성공하려면

[더 나은 사회] 플랫폼 오디세이② ‘혁신 대 뒷다리 잡기’식 구도 강해 공유경제 모호한 개념도 혼란 부추겨 플랫폼 경제는 영리 시장의 한 형태 혁신 밀어주되, 비용 분담 틀 짜야 최근 불거진 택시업계와 실시간 차량...

  • HERI
  • 2019.06.10
  • 조회수 4369

“ILO 기본협약 비준 않는 한국, 연대의 원칙 반하는 행동”

[더 나은 사회] 인터뷰 알랭 쉬피오 콜레주드프랑스 교수 디지털 혁명이 불러올 미래의 노동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까지 지배 프랑스 정신질환 5년간 7배로 늘어 불평등·부정의 확산 세계평화 위협 “ILO, 사회정의·생태문제 적...

  • HERI
  • 2019.06.03
  • 조회수 4235

‘통화의 시대’ 가고 ‘재정의 시대’ 오나…‘MMT 논쟁’이 남긴 과제

[더 나은 사회] 저금리·저물가에 통화정책 여력 줄어 ‘재정 건전성’ 신화 허무는 MMT 눈길 기축통화국 아니면 경제 불안정 우려 ‘어디에, 어떻게’ 등 정책 틀 손봐야 현행 통화정책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문제 삼는 ‘현...

  • HERI
  • 2019.05.20
  • 조회수 5370

“우리는 배달 기계가 아니다”…21세기 플랫폼 노동자의 외침

[더 나은 사회] 제도 보완 없이 출발한 ‘플랫폼 경제’ 노동 및 복지 황무지로 노동자 내몰아 ‘노동자 여부, 누가 일 시키는지’ 모호 권리 보장과 단체교섭 새 모델 필요 노동절인 5월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 광장에...

  • HERI
  • 2019.05.16
  • 조회수 8689

“‘촛불 민심’ 방향 가를 분수령…사회경제 개혁 고삐 더 죄어야”

[더 나은 사회] ‘문재인 정부 2년’ 평가 토론회 기초연금·아동수당 등 가시적 성과 사회서비스 국가책임제도 ‘진전’ 부양의무자·소득인정액 기준 손봐야 노동 분야는 하향 평준화 우려 커져 ‘보편 증세’ 지향, 확장적 재정...

  • HERI
  • 2019.05.10
  • 조회수 4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