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주최
‘2020 대한민국 미래전망 대회’

통계개발원 ‘삶의 질 지표’ 통해
최근 10년간 국민 삶 추이 측정

26개 국책연구기관 축적 데이터 기반
11개 영역 71개 지표 개발·분석

빅데이터가 알려주는 한국사회 현주소
양적 개선에도 질적·주관적 지표 미흡

GDP 신화·성장지상주의에 중독
‘성장과 행복’ 사이 괴리 큰 대한민국

“일-성장 균형 정책 속도 내고
포용국가 비전 더 강화해야”

정세균 국무총리(앞줄 가운데)가 지난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미래전망 대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듣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정세균 국무총리(앞줄 가운데)가 지난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미래전망 대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듣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여러분은 지금 얼마나 행복하다고 느끼십니까?’ 문뜩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답변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저마다 객관적인 삶의 조건들에 편차가 있을 뿐 아니라 주관적인 만족의 정도도 다 다르기 때문이다. 삶의 행복도를 점수로 매길 수 있는 걸까? 그렇다면 우리는 과연 몇 점이나 받을 수 있을까?


지난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20 삶의 질’(How’s Life? 2020) 보고서는 각국 국민의 생활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영역별 지표를 통해 잘 보여준다. 각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이번에도 오이시디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국민 삶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의 등장은 성장과 행복의 불일치, 그 괴리 앞에 싹튼 성찰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유엔은 산하 자문기구를 통해 2012년부터 해마다 ‘세계행복보고서’를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2011년 정부 차원에서 ‘국민 삶의 질 지표’ 개발에 들어가 2014년 구축한 누리집 ‘e-나라지표’(index.go.kr)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가 세계를 휩쓴 이후 무분별한 성장주의를 돌아보면서 나온 반작용인 셈이다.


■ 빅데이터가 보여주는 한국 사회


지난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벤션센터에서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이사장 성경륭) 주최로 ‘명견만리: 빅데이터에서 대한민국의 갈 길을 찾다’ 주제의 ‘2020 대한민국 미래전망 대회’가 열렸다. 경인사연 소속 26개 국책연구기관 등이 참여해 외교·안보·보건·경제·고용·복지 등을 놓고 주제 발표와 토론을 벌였다. 이 가운데 통계청 통계개발원은 ‘국민 삶의 질 지표’를 통해 최근 10년간 연구기관들이 축적한 각종 데이터에 기반해 시민 삶의 추이를 보여줘 주목을 받았다.


추상적이고 다차원적인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통계개발원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가족·공동체, 건강, 교육, 고용·임금, 소득·소비·자산, 환경, 주관적 웰빙 등 11개 영역으로 나눴고 여기에 근로시간·고용률·삶의 만족도 등 71개 지표를 사용했다. 최바울 통계개발원 실장은 “지난 3월 기준으로 전기 대비 개선 지표는 45개, 악화 지표는 21개, 동일한 수준을 보인 지표는 5개였다”며 “최근 10년간 추이를 보면 전반적으로 양적인 개선이 이뤄지고 있으나, 질적인 부문과 주관적 지표에서 낮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요 지표별로 보면, 고용률과 가구중위소득, 고등교육 이수율,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아동 안전사고 사망률 등은 대부분 오이시디 평균치를 넘었다. 그러나 상대빈곤율과 근로시간, 자살률, 삶의 만족도,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등은 오이시디 평균에 못 미쳤다.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삶의 만족도는 2013년(5.7점) 이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만족도(6.0점)는 전년(6.1점)에 비해 약간 줄었다. 남자보다 여자가 조금 더 높게 나왔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5.8점)가 가장 낮았다. 오이시디 주요국을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2017~2019년 평균 5.87점으로 같은 기간 오이시디 평균(6.71점)보다 0.8점 정도 낮게 나왔다. 일본도 우리와 비슷했다.


세계 최장시간 노동의 오명을 쓰고 있는 근로시간은 점차 개선되고는 있으나 오이시디 주요국에는 한참 못 미쳤다. 2018년 한국의 근로시간은 1967시간으로 독일이나 네덜란드의 1400시간 미만에 비해 월등히 길다. 한국 다음으로 긴 미국의 근로시간도 1792시간에 그쳤다.


악화 추이를 보이는 지표도 적지 않다. 특히 가계부채 비율과 비만율, 독거노인 비율, 대기질 만족도 등은 해가 갈수록 더 나빠지는 추세를 보였다. 가구의 소득 대비 부채 정도를 나타내는 가계부채 비율은 2010년 147.5%에서 2018년 184.2%로 지난 9년간 계속 높아졌다. 이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부채 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지출이 많아졌음을 뜻한다. 미국(105.4%), 일본(107.0%), 프랑스(120.7%), 영국(141.2%) 등은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150%를 넘지 않았다. 생활 환경에서의 주관적 웰빙을 측정하는 대표적 지표인 대기질 만족도는 계속 낮아졌고, 만 65살 이상 노인인구 중 혼자 거주하는 노인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지디피와 성장 지상주의를 넘어


‘고용과 불균등’을 주제로 발표한 안주엽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제 수준에 비해 한국인의 행복도가 낮은 원인을 노동 측면에서 찾았다. 그는 “장시간 근로와 성별 고용률 격차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성별 고용률 격차는 2000년 23%포인트에서 2018년 19%포인트로 좁혀지긴 했으나 멕시코와 터키를 제외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안 선임연구위원은 “노동 측면에서 국민행복도를 높이려면 고용률을 높이고 열악한 일자리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며 “일-생활 균형(워라밸) 정책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대부분 연구기관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우리 사회의 불평등 구조가 더 깊어질 것을 우려했다. 실제로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노동시장 충격은 컸다. 취업자는 급감하고, 구직을 포기하거나 일할 능력이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는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의 긴급 처방에도 취약계층에선 대책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의 올해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월 소득 격차는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 상황이 저소득층에게 더 가혹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킨 것이다. 전문가들은 고용시장의 양극화 확대에 대응해 ‘한국형 뉴딜’과 같은 단기적 고용 확대 정책에 사회보험체계 구축 등 노동시장 틀을 개혁하는 장기 과제를 병행할 것을 제안했다. 조성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보다 유연한 사회보장 프로그램과 함께 상시적·보편적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포용국가의 비전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국가의 사회경제적 성공을 측정하는 척도는 국내총생산(GDP)이 아니라 웰빙(행복)이어야 한다.” 지난해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아이슬란드 총리가 한 말이다. 아이슬란드는 지난해 경제·환경·사회적 요소를 포함해 총 39개 항목으로 구성된 웰빙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올해 예산안을 짜 주목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선진국 진입 지표로 평가받는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에 들어섰지만 삶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들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일깨운다. 세계 최고의 사교육비 부담과 낮은 고용률, 삶의 만족도, 과도한 가계부채…. 성장과 지디피를 넘어 우리에게 지속가능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끊임없이 되묻게 하는 지표들이다.


홍대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연구위원 hongds@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heri_review/947324.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주인이 100명인 마을펍…‘시민자산화’로 직진

[더 나은 사회] 목포 만호동 ‘건맥1897협동조합’의 원도심 거리 활성화 프로젝트 “사람 북적이는 거리 그리워…” 주민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펍 구상 십시일반 출자금 모아 빈 건물 매입 마을펍과 게스트하우스로 리모델링 영...

  • HERI
  • 2020.06.08
  • 조회수 2900

데이터로 살펴본 삶의 만족도…“여러분은 얼마나 행복하신가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주최 ‘2020 대한민국 미래전망 대회’ 통계개발원 ‘삶의 질 지표’ 통해 최근 10년간 국민 삶 추이 측정 26개 국책연구기관 축적 데이터 기반 11개 영역 71개 지표 개발·분석 빅데이터가 알려주는 한국사...

  • HERI
  • 2020.06.02
  • 조회수 3705

한국형 실업부조 ‘국민취업지원제도’ 뿌리내리려면

고용보험 이은 마지막 고용 안전장치 20대 국회 문턱 못 넘고 계류 중 까다로운 취업 조건·낮은 수급액 짧은 수급 기간 등 한계도 뚜렷 “중위소득 100% 이하로 대상 확대하고 구직수당은 평균임금의 25~30% 돼야” 코로나발 ...

  • HERI
  • 2020.06.02
  • 조회수 2551

“문재인 정부 ‘코로나 대응’…방역 신속했지만 사회·경제 정책은 지체”

노동계·참여연대·한겨레 공동주최 ‘코로나19’ 대응 및 정책 평가 토론회 고용 안정·유지 정책 전향적이나 “위기의 규모·심각성에 견줘 취약계층 보호 대책 역부족” 특고 “현실성 결여 생계 대책 개선을” “기업 175조 대 민...

  • HERI
  • 2020.06.02
  • 조회수 2591

“기존 질서 무너져 내리는 중...공공성 강화로 대전환해야 할 때”

더나은사회 <코로나19 이후> 좌담회 전병유 “외환위기 이후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요구 해결되지 않아...유럽 복지 국가 모델 넘어서야” 신영전 ”백신과 치료제가 해결할 것이라는 신화 깨야...과학에 대한 시민사회의 견제 절실해...

  • HERI
  • 2020.04.06
  • 조회수 3840

“‘사회 주역은 청년’ 솔직히 인정해야”…‘청년 정치’ 핀란드가 주는 교훈

[더 나은 사회] 현역 최연소 지도자인 34살 마린 총리 의원 평균 나이 46살, 20대 의원도 8명 진입 장벽 낮춘 ‘개방형 권역별 비례제’ 탄탄한 청년조직, 정치경력 토대 마련 지난해 12월8일 핀란드 집권 사회민주당 연정의...

  • HERI
  • 2020.03.30
  • 조회수 3425

기후변화가 울린 경계경보…‘좌초자산’의 해일이 밀려온다

[더 나은 사회] 화석연료 기반 산업에 엄습하는 위기 금융투자자도 석탄·석유에서 손 떼 20~30년 내 좌초자산 수천조원 예상 ‘제조업 많고 에너지 다소비’ 한국 불리 기후변화가 경제 바꾼다는 인식 필요 산유국 간 ‘치킨...

  • HERI
  • 2020.03.23
  • 조회수 3956

2008년 금융위기 데자뷔?…‘팬데믹’ 세계경제 어디로 가나

[더 나은 사회] 사람·물류 등 세계경제 이음새 파괴 ‘초대형 복합 경제위기’ 우려 목소리 부채 위기 폭발 가능성은 낮지만 중국 변수에 G7·중동 얽혀 파괴력 통화정책 여력 줄고 국제협력 실종 과감한 재정으로 수요 확충 ...

  • HERI
  • 2020.03.16
  • 조회수 2609

‘세원 확충 없는 복지확대’ 언제까지 가능할까?

독립연구가 펴낸 <장제우의 세금수업> 세금 관한 잘못된 상식들 밝혀 진보 ‘증세 없는 복지국가’와 보수 ‘낙수효과론’ 모두에 일침 박근혜 정부 ‘증세 없는 복지’ 민주당 정권서도 사실상 답습 반도체·부동산 호황 지나고 ...

  • HERI
  • 2020.02.25
  • 조회수 3835

“정파적 비판은 타당한 에너지전환 정책도 좌절시킬 위험”

【더 나은 사회】 인터뷰: 김영욱 카이스트 초빙교수 김영욱 카이스트 초빙교수 코로나19에 대해 언론은 연일 비상한 관심을 갖고 보도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바로 앞에 닥친 문제에 언론이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

  • HERI
  • 2020.02.17
  • 조회수 2587

세계 주요 언론들, 기후변화 보도에 꽂혔다

【더 나은 사회】 <가디언> 화석연료기업 광고 중단 선언 세계 400여개 신문·방송 공동전선 구축 <비비시> 기후변화 회의론자 인용 거부 한국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집중 비판 현 정부 들어 언론 논조 반전, 왜곡 늘어 에너...

  • HERI
  • 2020.02.17
  • 조회수 3474

시대변화의 ‘아픈 손’ 잡아줄 청년기본법, 변화 시작될까

지난달 9일 청년기본법 국회 통과 2014년 첫 발의 뒤 8년 만에 ‘결실’ “청년문제 해결은 국가 책무” 규정 고용·창업·복지·주거·문화 포괄하는 종합적인 청년정책 마련·시행케 돼 매년 ‘청년의 삶’ 보고서 공표하고 청년정책...

  • HERI
  • 2020.02.03
  • 조회수 3502

‘청바지의 성지’, 섬유 도시를 넘어 관광 도시로

[더 나은 사회] 새해 기획 | 균형발전, 도시혁신이 답이다 - ③ ‘섬유 도시의 재탄생’ 구라시키 버선·학생복 등 섬유산업 중심지 역할 최초 ‘메이드 인 재팬 청바지’ 생산도 ‘청바지 거리’ 등 도시 혁신의 자극제 생산...

  • HERI
  • 2020.01.20
  • 조회수 3670

‘산업혁명의 도시’는 이제 ‘미래도시’로 달려간다

[더 나은 사회] 새해 기획 | 균형발전, 도시혁신이 답이다 - ② ‘산업도시의 대변신’ 맨체스터·셰필드 ‘최초의 산업도시’ 자부심 맨체스터 제조업 몰락, 한때 도시 기반 무너져 미디어시티 등 산업구조 재편 한창 북서부 거...

  • HERI
  • 2020.01.13
  • 조회수 5301

‘가라앉는 도시’에서 ‘혁신의 상징’으로…라이프치히가 선보인 ‘반전 드라마’

[더 나은 사회] 새해 기획 | 균형발전, 도시혁신이 답이다 - ① ‘동독 지역의 거점’ 라이프치히 열차로 최대 24시간 안에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은 ‘유럽의 물류 중심지’ 라이프치히의 가장 큰 지리적...

  • HERI
  • 2020.01.06
  • 조회수 3804

포용과 혁신이 선순환해 따뜻하고 역동적인 대한민국의 청사진

【더 나은 사회】 정책기획위 ‘미래비전 2045’ 내놔 광복 100년에 이르는 미래상 제시 4대 가치 기반의 혁신적 포용국가 “국민 삶에도 새로운 광복이 되길” 2045년은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지배에서 독립한 지 100년이 되는 ...

  • HERI
  • 2019.12.23
  • 조회수 3948

비영리 기관이 ‘투명한 소금’이 되려면

【더 나은 사회】 사회가치 확산을 위한 NPO의 역할 포럼 고립된 전문화 넘어 연대와 협력 필요 기존 틀 벗어나 개성 있게 가치 창출을 사회문제를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투명하게 관리되면서도 유연한 활동 조직은 없는...

  • HERI
  • 2019.12.16
  • 조회수 3557

강원 산불이 남긴 교훈…“장기적 재난복지 큰 그림 그려야”

[더나은 사회] 재해구호 제도개선 정책포럼 사회재난 국민성금의 배분 기준 모호 같은 산불이라도 위로금 크게 차이나 지원기관 역할 및 협력체계 명확히 해야 11월28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강원도 산불재난 이후 ...

  • HERI
  • 2019.12.02
  • 조회수 3373

플랫폼의 ‘맷돌’에 사회적 경제의 ‘숨구멍’을

[더 나은 사회] 빠르게 늘어나는 플랫폼 노동 열악한 종사자 처우 개선 시급 사회적 경제의 역할 기대 커져 가사 등 플랫폼 협동조합 등장 초기자금·전문인력 부족 한계 생태계 조성 및 정책지원 절실 지난 6월 ‘사회적협...

  • HERI
  • 2019.12.02
  • 조회수 3950

밀레니얼 세대가 좋아하는 뉴스의 6가지 비밀

[더 나은 사회] 언론, 밀레니얼 세대 독자 확보 숙제 뉴스 안 보는 게 아니고 다르게 볼 뿐 틀에 박히고 맥락 없는 뉴스는 ‘노잼’ 2030이 좋아하는 내용을 그들 언어로 젊은 기자에 결정권 주는 ‘혁신’ 필요 올 한...

  • HERI
  • 2019.11.26
  • 조회수 8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