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맞춤 정보’ 지금 당신의 생각을 재단중
등록 : 20110902 21:20
  • space.gif텍스트크게
  • 텍스트작게
  • 스크랩하기
  • 오류신고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MSN보내기
  • btn2_me2day.gif
  •  btn2_twitter.gif
  •  싸이월드 공감
  •  btn2_facebook.gif
개인 관심정보 알려주는 ‘필터링’
콘텐츠 편식조장 민주주의 위협


1314965983_00403241901_20110903.JPG
» 생각조종자들 엘리 프레이저 지음, 이정태ㆍ이현숙 옮김/알키ㆍ1만5000원
생각조종자들

엘리 프레이저 지음, 이정태ㆍ이현숙 옮김/알키ㆍ1만5000원

인터넷 서점에 책을 사러 들어갔을 때, 원래 사려던 책 아래에 붙어 있는 다른 책 광고에 흥미를 느껴 한두권을 더 주문한 기억이 있는가?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을 열었을 때 왜 어느 친구의 글은 ‘인기글’의 위편에 자주 올라오지만, 다른 친구가 업데이트 한 글은 한참을 내려가야 읽을 수 있을까?


이런 것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내 성향을 파악해 두고 있다 구미에 맞는 정보를 끌어다 주기 때문이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디지털 세상의 거인들은 언제부터인지 이용자의 취향, 관심사, 성격 같은 개인정보를 필사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해 맞춤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필터링 서비스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하는 우리를 편하게 해 준다. 인류가 동굴 벽화를 그리기 시작한 이래 2003년까지 기록한 내용을 모두 모으면 약 50억 기가바이트 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이만한 정보가 단 이틀 만에 만들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한곳에 오래 집중할 수 없는 ‘주의력의 붕괴’는 불가피하고, 필터링 서비스가 손을 내밀면 반가운 것이다.


하지만 엘리 프레이저가 쓴 <생각 조종자들>은 온라인상의 정보 필터링이 광범위하게 확산(이른바 ‘필터 버블’)되면서 우리도 모르는 사이 누군가가 개인의 구석구석을 관찰하고, 특정하게 틀지워진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우리 생각의 범위를 제한하기 시작했다고 경고한다. 이런경향은 사생활 침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민주주의’와 같이 인터넷에 걸었던 해방의 가능성을 전복할 정도로 심각한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개별화된 필터링은 내가 어제 식당에서 오리고기를 먹었다면 이 정보를 바탕으로 훈제오리, 오리주물럭, 오리로스 등 오리 일색의 메뉴판을 갖다주는 웨이터와 같다. 제공되는 정보는 같이 식사한 옆 동료와 완전히 다르기에 사람들은 갈수록 개별화되고 고립된다. 많은 사람들이 오리와 사이다를 같이 먹었다고 해서 사이다를 집중적으로 추천하기까지 한다. 익숙한 것들만 늘 접하니 창의성이 나올 리가 없다. 진보 성향인 이용자는 진보 콘텐츠를, 보수는 보수 콘텐츠를 편식하게 돼 있어 타인의 정치적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외골수가 된다. 이런 알고리즘 아래서는 말초적 흥미를 끄는 콘텐츠만 살아남고 지루하지만 중요한 일들은 우리의 시야에서 사라진다. 관심사가 아닌 것에도 눈길을 주는 게 참여민주주의의 기본이지만 현실은 그와 반대로 가고 있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발달이 초래하는 디스토피아를 우려한 점에서 니콜라스 카의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나 빅토어 마이어 쇤베르거의 <잊혀질 권리>, 다니엘 솔로브의 <인터넷세상과 평판의 미래>, 존 팰프리와 우르스 가서의 <그들이 위험하다> 등과 맥을 같이하는 책이다.

흥미로운 것은 지은이 엘리 프레이저가 디지털 마니아에서 비판자로 변신한 점이다. 프레이저는 미국 온라인 정치시민단체인 ‘무브온’ 창립에 깊숙이 관여했고, 이 단체는 2008년 대선에서 오바마를 지지해 힐러리 클린턴에 비해 열세였던 민주당 내 판세를 뒤엎고 그가 대통령이 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누구보다 디지털을 잘 활용해 본 전문가였기에 인터넷이 또한 얼마나 대중의 생각을 쉽게 제한할 수 있는 무기인지도 간파했을 것이다.



이봉현 한겨레경제연구소 연구위원 bhlee@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Total : 1
  • 가끔 이런 생각을 합니다. 예전에는 내 생각은 언론이 조종했었는데, 지금은 네이버와 구글과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조종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 '생각 조종자들' 저자도 그런 생각을 했군요.
    2011.09.16 06:48:12
List of Articles

EU, 항공사 탄소배출권 구입 의무화 - HERI 경제뉴스해설(12/22)

1. EU, 외국 항공사 탄소배출권 구입 의무화 EU의 최고법원인 유럽사법재판소가 EU 역내에 취항하는 외국 항공사에도 탄소 배출권을 구입하도록 의무화한 EU의 조치가 적법하다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 EU 역내를 ...

  • HERI
  • 2011.12.22
  • 조회수 23460

편의점 급증, 2만개 돌파 - HERI경제뉴스해설(12/19)

1. 편의점 급증 + 자영업 대출 100조 편의점 창업에 나서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편의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새로 출점한 편의점만 4513곳에 달한다. 이에 따라 전국 편의점은 2만650곳으로 지난해 와 비교해 22%나 늘었...

  • HERI
  • 2011.12.19
  • 조회수 23076

주요 업종 독과점 더 심해졌다 - HERI경제뉴스 해설(12/09)

1. <뉴욕증시> ECB 총재 실망감에 급락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유럽 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재정위기 국가들에 대한 국채 확대 매입 계획 부재와 독일이 유럽연합(EU) 정상회의 협의안을 거부했다는 소식 ...

  • HERI
  • 2011.12.09
  • 조회수 21145

생산가능인구 5년 뒤부터 줄어든다 - HERI경제뉴스해설(12/8)

1. 생산가능인구(만 15~64세) 5년 뒤부터 줄어든다 좀 달라진 장래인구추계가 나왔는데, 경제와 관련해 눈에 띄는 것은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세다. 15~64살의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전체 인구의 72%인 3700만명으로 정점에 이...

  • HERI
  • 2011.12.08
  • 조회수 29438

[싱크탱크 광장] “혁신적 경쟁은 돕고 파괴적 경쟁은 규제해야”

사설.칼럼 칼럼 [싱크탱크 광장] “혁신적 경쟁은 돕고 파괴적 경쟁은 규제해야” [한겨레] 등록 : 20111206 20:00 “비정규직 외에 실업 문제에도 관심 기울여야” » 한겨레경제연구소와 자유기업원이 함께 마련한 일곱번째 직...

  • HERI
  • 2011.12.07
  • 조회수 31067

내년 새 일자리 올해보다 크게 준다 - HERI경제뉴스해설(12/7)

1. <뉴욕증시> 유럽 전망 엇갈려 혼조 뉴욕증시는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면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0.43% 상승한 12,150.13에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0.11%올랐다. 나스닥지수는...

  • HERI
  • 2011.12.07
  • 조회수 22609

한국에서 일자리 잃으면 소득보전율 OECD 최저수준 - HERI 경제뉴스해설(11/12/06)

독일과 프랑스, 구속력 있는 EU재정통합안 합의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날 낮 파리 엘리제궁에서 회담을 열어 구속력 있는 재정통합을 골자로 하는 'EU 안정·성장 협약' 개정을 추진하기...

  • HERI
  • 2011.12.06
  • 조회수 17721

자동차 덜 몰고 다니면 보험료 싸진다 - HERI 경제뉴스해설(12/2)

1. 뉴욕증시 혼조세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1일 혼조세를 나타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1% 하락한 12,020.03,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는 0.19% 내린 1,244.58, 나스닥지수는 0....

  • HERI
  • 2011.12.02
  • 조회수 32519

S&P, 글로벌 금융사 신용등급 무더기 강등-HERI경제뉴스해설 (11/30)

1. S&P, 글로벌 금융사 신용등급 무더기 강등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세계적인 투자은행들의 신용등급과 등급 전망을 무더기로 하향 조정했다. 37개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을 조정했다. 골드만삭스, 씨...

  • HERI
  • 2011.11.30
  • 조회수 29631

올림푸스 회계조작 사태가 일본에 준 충격 - HERI 경제뉴스해설(11/29)

1. 일본에 계시는데, 일본 경제의 핫이슈는 무엇인가요? 일본 경제인들의 단연 최대 화제는 올림푸스 회계조작 사건이다. 디지털카메라로 유명한 이 회사는 10년 동안 1조원이 넘는 손실을 은폐했다. 버블기에 투자한 1조 5천억원...

  • HERI
  • 2011.11.29
  • 조회수 16238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업면허 취득과 같은 것 - HERI 경제뉴스해설 (11/28)

1. 일본에 가 있는데, 한중일 기업과 연구자들이 모여 중요한 컨퍼런스를 했다고 들었다. 유엔글로벌콤팩트라는 기구가 있다. 유엔이 발의해 만든 기구로, 기업 사회책임경영 원칙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전세계 기업의 협의체다. 이...

  • HERI
  • 2011.11.28
  • 조회수 10449

아무 것도 사지 않는 크리스마스 - HERI 경제뉴스해설(11/22)

1. 뉴욕증시 급락 뉴욕증시가 새로운 한 주를 큰 폭 하락으로 출발했다. 미국시각 월요일(어젯밤) 다우지수는 2.1% 하락,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1.9%가량 떨어졌다. 다우지수는 한 달만에 최저치다. -- 어떤 악재가 있었나...

  • HERI
  • 2011.11.22
  • 조회수 11460

“미 리더십 잃어…한·중·일 미래지향적 연계 필요”

경제 경제일반 “미 리더십 잃어…한·중·일 미래지향적 연계 필요” [한겨레] 황예랑 기자 아시아미래포럼 개막 한·중·일 500여명 참석 » 영국 출신의 저명한 아시아 전문가인 마틴 자크 중국 칭화대 교환교수가 15일 ‘2011 아...

  • HERI
  • 2011.11.21
  • 조회수 10153

기업 투명성 평가 ‘우수’…고용분야는 ‘개선 필요’

경제 경제일반 기업 투명성 평가 ‘우수’…고용분야는 ‘개선 필요’ [한겨레] 최현준 기자 [아시아 미래포럼] ‘동아시아30’ 살펴보니 거버넌스·사회 점수 높지만 반부패·일자리는 성과 낮아 일 20곳…한·중은 각각 5곳 기아차...

  • HERI
  • 2011.11.21
  • 조회수 10745

포럼 참가자들의 환영사·축사

경제 경제일반 포럼 참가자들의 환영사·축사 [한겨레] [아시아 미래포럼] » 손경식(상의 회장)위기극복 지혜 모으자 손경식 (상의 회장)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의 더블딥과 유럽의 재정위기로 또다시 어...

  • HERI
  • 2011.11.21
  • 조회수 10532

“선진국 의존모델 이젠 안통해 윤리 반영된 공동체 개발해야”

경제 경제일반 “선진국 의존모델 이젠 안통해 윤리 반영된 공동체 개발해야” [한겨레] [아시아 미래포럼] 종합토론1-동아시아 경제공동체 ‘동아시아 경제공동체’를 주제로 열린 종합토론은 최근 아세안+3(한·중·일)을 중심으로 전...

  • HERI
  • 2011.11.21
  • 조회수 9830

“중 기업, 지재권등 신뢰성 위기” “사회공헌, 기부 아닌 참여 필요”

“중 기업, 지재권등 신뢰성 위기” “사회공헌, 기부 아닌 참여 필요” 종합토론2-아시아가 아시아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세계 어디서나 다국적기업들이 풀어야 할 숙제다. 특히 그간 서구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모델...

  • HERI
  • 2011.11.21
  • 조회수 9948

“동아시아 공동체, 목적 뚜렷해야 EU위기 피할것”

경제 경제일반 “동아시아 공동체, 목적 뚜렷해야 EU위기 피할것” [한겨레] 황예랑 기자 최현준 기자 [아시아 미래포럼] 한겨레신문사 주최-한겨레경제연구소 주관 위기를 넘어 책임과 상생 » ‘2011 아시아미래포럼’이 열린 1...

  • HERI
  • 2011.11.21
  • 조회수 11175

중국의 시각에서 이해하고 적응하라

기조강연2/ ‘부상하는 중국’ 대비를 중국의 시각에서 이해하고 적응하라 » 마틴 자크 칭화대 교환 교수 과속·예측 불가능성 등 3대 위험성 존재하지만 역사·문화적 이해가 우선 조공체제 부활 가능성도 “한국은 중요한 정치적...

  • HERI
  • 2011.11.21
  • 조회수 9641

홍준표 “FTA 처리까지 넥타이 안매” 이정희 “넥타이 푼 게 심상치 않다”

정치 정치일반 홍준표 “FTA 처리까지 넥타이 안매” 이정희 “넥타이 푼 게 심상치 않다” [한겨레] 임인택 기자 [아시아 미래포럼] 정치인들 화제는 FTA ‘2011 아시아 미래포럼’에 참석한 국내 유력 정치인들의 화제는 ...

  • HERI
  • 2011.11.21
  • 조회수 9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