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2010-05-20
[‘착한 기업’이 경쟁력이다] 케이디운송그룹
한겨레 이정연 기자 김진수 기자기자블로그
<script></script>
» 경기, 대원고속 등 15개 운송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케이디(KD)운송그룹 소속 승무사원(운전기사)들이 18일 오후 서울 광진구 동서울터미널에 주차한 버스안에서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지난 18일 오후 3시. 평일 오후임에도 서울 광진구 동서울터미널은 분주하다. 하차장에 들어온 보라색 대원고속 소속의 고속버스가 손님을 내려놓는다. 짐칸에서 승객의 짐을 꺼내주려 재빨리 차에서 내린 운전기사의 바지에는 ‘앙드레 김’이라는 익숙한 브랜드가 적혀 있다.

케이디(KD)운송그룹 소속의 15개 고속·시내외 버스 승무사원(운전기사) 7985명은 지난 1일부터 앙드레 김이 디자인한 유니폼을 입기 시작했다. 이 회사를 세운 허명회 회장의 10년 숙원이 결실을 본 것이다.

9천여 직원 모두 정규직
한우 먹이고 명품 입히고…
복지비 늘지만 사고 줄어
보험요율 72% ‘업계 최저’

지난 1971년 버스 30대로 출발한 이 회사는 현재 5086대의 버스를 운행하며 하루 200만여명의 승객을 전국 각지로 실어나른다. 지난해 매출은 7379억원. 버스 대수 기준으로는, 민간 운송기업 가운데 아시아에서 으뜸일 것이라는 게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런 화려한 수치가 아니다.

“안전이 제일이죠. 그 가치를 위해서 안정적인 일자리와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에요.” 2세 경영인인 허상준 사장이 강조하는 대목이다. 실제로 이 회사에서 일하는 전직원 9271명은 모두 정규직이다. 회사가 정한 정년은 60살이지만, 촉탁사원 제도가 도입된 덕에 퇴직 뒤에도 1년마다 계약 갱신을 하면서 계속 일을 할 수 있다. 현재 이처럼 촉탁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직원만 100여명에 이른다. 허 사장은 67살 나이에 세차장 직원으로 일하고 있는 한 직원 얘기를 꺼냈다. “그 누구보다 애정을 갖고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이에요. 정년 보장을 해주면 일을 열심히 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은 제 경험으로는 잘못이에요.”허 사장은 “계약 갱신을 할 때마다 면접을 보는데, 67살인 직원은 ‘70살까지는 거뜬히 일할 수 있다’더라”고 덧붙인다.


» 케이디(KD) 운송그룹의 핵심경쟁력
회사의 독특한 ‘고집’은 곳곳에서 드러난다. 구내식당 53곳을 운영하는 이 회사가 한 해 한우를 구입하는데 쓰는 돈만 40억원이 넘는다. 한우 대신 수입 쇠고기를 쓰면 비용을 6분의1로 줄일 수 있지만, ‘내 자녀에게 먹이고 입히고 싶은 것, 재우고 싶은 곳을 제공하겠다’는 창업주 허 회장의 의식주 복지 철학은 흔들림이 없었다. 이 회사에서 9년째 영양사로 일하는 김애리 차장은 “영양사들이 모이면 ‘그 회사 식단가 상한선이 얼마냐’고 묻는 게 일인데, 우리 회사엔 식단가가 없다”고 자랑했다.

당장엔 만만찮은 규모의 돈이 직원 복지에 들어가지만, 회사는 그로 인해 경쟁력이라는 소중한 결실을 챙기고 있다. 무엇보다 ‘사고가 적게 나는 회사’로 유명하다. 그 덕에 보험요율은 72%까지 떨어졌다.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게 마련인 운송회사들은 통상 보험요율이 100%를 넘는다. 최고의 대우를 해주는 회사에 직원들이 최고의 열정과 서비스로 보답하는 셈이다.

직원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경영 철학이 뿌리내릴 수 있던 비결도 여기에 있다. 회사는 15년 전부터 승무사원들이 수금원을 거치지 않고 직접 입금을 하는 제도를 도입했고, 6년 전부터는 경영 실적을 낱낱이 공개한 뒤 노동조합에 임금 인상률 조정을 백지위임하기까지 했다. 승무사원들은 “믿어주는 부모님을 저버리지 않고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려는 마음, 딱 그 마음”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순이익은 100억원. 남들처럼 정규직을 계약직으로 돌렸다면 순이익은 이보다 훨씬 늘어났을 게 분명하다. “다들 미쳤다고들 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론 계약직을 채용한 회사는 점점 더 부실화하고, 우리는 성장해가고 있지요.”허 사장의 한마디엔 뿌듯함이 잔뜩 묻어나왔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오지마을 우물가엔 시원한 웃음 넘쳤다

경제 경제일반 오지마을 우물가엔 시원한 웃음 넘쳤다 [한겨레] 김재섭 기자 웅진코웨이, 캄보디아 ‘식수 해결’ 5년째 우물파기 2015년까지 1000개 목표…마을 영아사망률 감소 소문퍼져 앞다퉈 신청…개인이름 우물기증도 활발 ...

  • HERI
  • 2011.11.04
  • 조회수 48818

내가 만약 한국인이라면 우선 재생에너지 힘쓸것 원전은 최후 선택이어야

경제일반 내가 만약 한국인이라면 우선 재생에너지 힘쓸것 원전은 최후 선택이어야 [한겨레] 등록 : 20111103 20:30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ㅣ 트리 뭄푸니 2011년 막사이사이상 » 트리 뭄푸니 2011년 막사이사이상트...

  • HERI
  • 2011.11.04
  • 조회수 8938

EU 같은 경제공동체 동아시아선 비현실적 한·중·일 FTA 모색을

경제 경제일반 EU 같은 경제공동체 동아시아선 비현실적 한·중·일 FTA 모색을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⑤ » 허시유 푸단대 교수 허시유 중국 푸단대 교수(42·경제학)는 한·중·일 경제공동체 구상에 대해 균형...

  • HERI
  • 2011.11.03
  • 조회수 10112

협동조합 은행이 투자자 소유 은행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

사회 사회일반 협동조합 은행이 투자자 소유 은행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 [한겨레] 김현대 기자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④ » 존스턴 버챌 스털링대학 교수스코틀랜드 스털링대학의 존스턴 버챌(60) 교수는 세계 협동조합계...

  • HERI
  • 2011.11.02
  • 조회수 9883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재생에너지 중심 재건 실험중”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재생에너지 중심 재건 실험중”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③ 원전족, 일본 전력시장 장악 손정의 등 녹색에너지 세력 발전차액지원제 등으로 도전 » 앤드루 드윗 릿교대 교수앤드...

  • HERI
  • 2011.11.01
  • 조회수 10231

서구가 답하지 못하는 문제 아시아가 해답 들려줄수도

서구가 답하지 못하는 문제 아시아가 해답 들려줄수도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② 중국은 근대 국민국가 아닌 그들 나름의 문명국가 성장 지진해일·원전사고 충격 일본사회 변화 방향 고민 문명의 중심축이 유...

  • HERI
  • 2011.10.31
  • 조회수 8767

“댐 완공땐 마을 침수…새 집 지어준다니 꿈같아”

“댐 완공땐 마을 침수…새 집 지어준다니 꿈같아” [한겨레] 조기원 기자 소수민족 아이타족, 이사비용 턱도 없는 가난한 삶 코이카·아시아나·굿피플 새집 70채 지어 이주 계획 보건소도 세워…“자립기반 마련해주는 게 장기과...

  • HERI
  • 2011.10.28
  • 조회수 10178

유로권 재정위기는 과잉복지 탓 아닌 금융허브 몰입한 탓

경제 경제일반 유로권 재정위기는 과잉복지 탓 아닌 금융허브 몰입한 탓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빚에 억눌린 정부·기업·가계 쓸돈 없으면 불황 가속화...

  • HERI
  • 2011.10.24
  • 조회수 8961

가난한 초원에 전하는 ‘자립 노하우’

경제 경제일반 가난한 초원에 전하는 ‘자립 노하우’ [한겨레] 이재명 기자 지구촌나눔운동, 유목민에게 축산·농업기술 전수 현지인 리더십 양성 초점…“삶의 질 향상에 일조” 갓 돌이 지났을 법한 딸아이를 가슴에 안은 체랭...

  • HERI
  • 2011.10.21
  • 조회수 9496

사막에 울창한 숲을…쿠부치에 심은 ‘녹색 희망’

경제 경제일반 사막에 울창한 숲을…쿠부치에 심은 ‘녹색 희망’ [한겨레] 박영률 기자 ‘대표적 황사 발원지’ 쿠부치 사막에 ‘길이 28km·폭 8km’ 숲 조성 “황사·사막화 방지에 도움 보람”…일본도 1992년부터 녹화사업 모래...

  • HERI
  • 2011.10.14
  • 조회수 11952

‘블랙아웃’ 걱정, 2차전지에 맡겨라

경제 경제일반 ‘블랙아웃’ 걱정, 2차전지에 맡겨라 [한겨레] 최현준 기자 작고 가벼운데 용량 큰 ‘반영구적 전기창고’ 삼성SDI, 소형 2차전지서 일본 제치고 1위 중·대형 박차…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추진 지난 4일 찾은 ...

  • HERI
  • 2011.10.07
  • 조회수 9802

[싱크탱크 광장] ‘빚더미’ 대한민국·서울시 건강재정 되찾을 묘안은

사설.칼럼 칼럼 [싱크탱크 광장] ‘빚더미’ 대한민국·서울시 건강재정 되찾을 묘안은 나라살림 현황과 해법 [한겨레] 등록 : 20111004 19:45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 단일후보로 뽑혔다. 경선 막바...

  • HERI
  • 2011.10.05
  • 조회수 10553

“안철수 현상은 □ 다”

정치 정치일반 “안철수 현상은 □ 다” [한겨레] 이지은 기자 등록 : 20110929 21:28 한겨레·싱크탱크연합 토론회 »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안철수 현상’은 무엇에서 비롯됐는가?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불어닥친...

  • HERI
  • 2011.10.04
  • 조회수 10593

태양광 전지판 전세계 80개국에 펼치다

경제 경제일반 태양광 전지판 전세계 80개국에 펼치다 [한겨레] 김경락 기자 등록 : 20110929 20:30 | 수정 : 20110929 22:13 창업 9년만에 실리콘 태양광 모듈 세계 1위 지방정부 지원·과감한 R&D투자로 고속성장 최근 ...

  • HERI
  • 2011.09.30
  • 조회수 10313

[싱크탱크 시각] 위기의 본질 / 이원재

사설.칼럼 칼럼 [싱크탱크 시각] 위기의 본질 / 이원재 [한겨레] 한국 기업은 이미 위험을 관리하는 법을 배웠다 지금 위험한 것은 개인이다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 HERI
  • 2011.09.26
  • 조회수 10699

페르시아만 바닷물을 ‘사막의 생명수’로

경제 경제일반 페르시아만 바닷물을 ‘사막의 생명수’로 [한겨레] 김경욱 기자 UAE 루와이스 200만㎡거대 물공장 가동 시작 폐열·폐증기 이용한 ‘다단증발방식’ 친환경 기술 22곳에 450만톤 규모…하루 1500만명 이용 가능 무...

  • HERI
  • 2011.09.23
  • 조회수 11251

독보적 철강기술로 ‘반환경’ 용광로 허물다

경제 경제일반 독보적 철강기술로 ‘반환경’ 용광로 허물다 [한겨레] 황예랑 기자 등록 : 20110915 20:26 가루로 쇳물 만드는 ‘파이넥스 공법’으로 공정 줄여 ‘용광로 대체’ 첫 성공사례…오염물질 배출량 급감 2007년 상...

  • HERI
  • 2011.09.16
  • 조회수 12510

CO₂ 배출 0…‘절전형 도시’ 만든다

경제 경제일반 CO₂ 배출 0…‘절전형 도시’ 만든다 [한겨레] 구본권 기자 등록 : 20110908 21:01 태양광 발전·빗물 이용 ‘에코하우스’ 실용화 코앞 2018년 창업 100돌 ‘그린플랜’…에너지솔루션 주력 일본은 지난 3월 동북...

  • HERI
  • 2011.09.16
  • 조회수 10475

‘맞춤 정보’ 지금 당신의 생각을 재단중

문화 책 ‘맞춤 정보’ 지금 당신의 생각을 재단중 [한겨레] 등록 : 20110902 21:20 개인 관심정보 알려주는 ‘필터링’ 콘텐츠 편식조장 민주주의 위협 » 생각조종자들 엘리 프레이저 지음, 이정태ㆍ이현숙 옮김/알키ㆍ1만5000원...

  • HERI
  • 2011.09.05
  • 조회수 9451

“무책임 넘어 방종 드러나…상업적 미디어 환경 바꿔야할 때”

사회 미디어 “무책임 넘어 방종 드러나…상업적 미디어 환경 바꿔야할 때” [한겨레] 등록 : 20110830 21:07 | 수정 : 20110831 11:18 미디어 공룡 종편의 습격 런던시티대학 이오시피디스 교수 인터뷰 불법도청 사건은 ‘미...

  • HERI
  • 2011.09.01
  • 조회수 10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