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삶과경제] 미래의 점심

HERI 2011. 06. 27
조회수 8371
2010-04-01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지난 주말, 트위터를 통해 반가운 메시지 하나가 날아들었다. “어제 뚝섬에서 청사과분들과 함께 나눔장터 참여했어요. 수익도 냈답니다. ^^” 지난해 한겨레경제연구소가 연 ‘사회적기업가학교 청년사회혁신가과정’ 교육에 참여했던 청년이다. 스스로 ‘청사과’라고 부르며 진로를 찾던 수강생들은 이렇게 좋은 일과 자립을 동시에 추구하는 일을 고민하고 있다. 아예 대기업을 박차고 나와 사회적 기업으로 옮긴 청년도 있다. 

이 메시지를 받자마자 엉뚱하게도 지난 3월16일치 <중앙일보>에 문창극 대기자가 무상급식 정책을 비판하며 쓴 칼럼 ‘공짜 점심은 싫다’가 떠올랐다. 이 글은 “내 아이의 점심을 내가 책임지는 것은 거창하게 말하자면 그것이 바로 개인의 독립이며 자존”이라며 무상급식을 비판한다. 또 이런 식으로 국가의 역할을 늘리고 개인의 책임을 줄이면 “독립적인 개인은 사라지고 의타적인 인간만이 넘치게 된다”고 전망했다. 내가 만난 미래 세대와는 전혀 맞지 않는 전망이다. 

이 글은 한국 사회의 주류가 갖고 있는 사회 운영 원리에 대한 의식이 근본적으로 어떤 것인지를 매우 잘 보여주고 있었다. 그 열쇳말은 ‘개인의 책임’이다. 무상급식이 개인의 책임을 줄이는 방향으로 사회를 바꿀 것이므로 도입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사실 한국 사회는 이미 자기 책임만을 강조하는 사회다. 내가 공부 못하면 내 탓이다. 내가 해고 당해도 내 탓이다. 내 사업이 망하면 그것도 내 탓이다. 내 자식이 점심을 굶어도 그것은 내 탓이다. 이웃과 사회는 동정하고 조금 도와줄 수 있을지언정, 책임의식은 전혀 갖지 않는다. 

이는 미국의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과거에 내세웠던 ‘오너십 사회’와 비슷하다. 개인의 책임, 경제적 자유, 재산권 보호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각자 경쟁해서 경제력을 확보하고, 그것을 자신과 가족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미덕이라는 의식이다. 

한국의 옛 세대가 이런 생각을 가진 것은 이해할 만하다. 이들은 자식에게 세 끼 밥을 챙겨주는 것이 너무나 힘겨운 시절을 지냈다. 국가로부터의 복지가 사실상 없던 시대였다. 심지어 개인이 근면히 일하고 저축해서 국가의 부를 늘리는 데 기여하기까지 했다. 그 어려운 환경속에서 맨주먹으로 자식들의 점심을 해결했다. 그게 자부심이었다. 

그러나 이제 과거의 논리다. 개인의 자존이 내 자식만의 점심으로부터 오는 시대는 지났다. 미래 세대는 이웃의 점심까지 함께 챙겨야 자부심이 생기는 세대다. 최소한의 인권과 복지는 사회가 지켜주는, 품격 있는 국가로부터 자존을 느끼는 세대다. ‘청사과’의 청년들을 보면 안다. 그들은 안락한 대기업에서 자기 점심을 책임지는 데서 만족할 수 없었다. 그곳에서 뛰쳐나와 남들의 점심을 함께 생각하는 삶을 살겠다고 나섰다. 기업을 하더라도, 사회적 의미가 있는 사업을 벌이겠다는 뜻을 밝혔다. 

공짜 점심을 제공하면 누군가는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설교할 필요도 없다. 미래 세대는 국가가 제공하는 것이 공짜라고 생각할 만큼 순진하지 않다. 국가에 의존해 살아가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 사회에 대해 자신이 지분을 가진 이해관계자라고 생각하며 당당히 권리를 주장한다. 독립을 추구하며 동시에 이웃에 대해 기꺼이 사회적 책임을 지려 한다. 

미래 사회는 더 이상 정글이 아닐 것이다. 개인도 조직도 ‘사회적 책임’이라는 원리 아래 공동체의 일원으로 지분을 갖고 존재하는 게 미래 사회의 모습이다. 미래 세대의 자존심은 ‘사회적 책임’으로부터 나온다. ‘나만의 도시락’이 아니라 ‘함께하는 식탁’이 미래의 점심이다.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 timelast@hani.co.kr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오지마을 우물가엔 시원한 웃음 넘쳤다

경제 경제일반 오지마을 우물가엔 시원한 웃음 넘쳤다 [한겨레] 김재섭 기자 웅진코웨이, 캄보디아 ‘식수 해결’ 5년째 우물파기 2015년까지 1000개 목표…마을 영아사망률 감소 소문퍼져 앞다퉈 신청…개인이름 우물기증도 활발 ...

  • HERI
  • 2011.11.04
  • 조회수 48819

내가 만약 한국인이라면 우선 재생에너지 힘쓸것 원전은 최후 선택이어야

경제일반 내가 만약 한국인이라면 우선 재생에너지 힘쓸것 원전은 최후 선택이어야 [한겨레] 등록 : 20111103 20:30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ㅣ 트리 뭄푸니 2011년 막사이사이상 » 트리 뭄푸니 2011년 막사이사이상트...

  • HERI
  • 2011.11.04
  • 조회수 8939

EU 같은 경제공동체 동아시아선 비현실적 한·중·일 FTA 모색을

경제 경제일반 EU 같은 경제공동체 동아시아선 비현실적 한·중·일 FTA 모색을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⑤ » 허시유 푸단대 교수 허시유 중국 푸단대 교수(42·경제학)는 한·중·일 경제공동체 구상에 대해 균형...

  • HERI
  • 2011.11.03
  • 조회수 10113

협동조합 은행이 투자자 소유 은행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

사회 사회일반 협동조합 은행이 투자자 소유 은행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 [한겨레] 김현대 기자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④ » 존스턴 버챌 스털링대학 교수스코틀랜드 스털링대학의 존스턴 버챌(60) 교수는 세계 협동조합계...

  • HERI
  • 2011.11.02
  • 조회수 9887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재생에너지 중심 재건 실험중”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재생에너지 중심 재건 실험중”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③ 원전족, 일본 전력시장 장악 손정의 등 녹색에너지 세력 발전차액지원제 등으로 도전 » 앤드루 드윗 릿교대 교수앤드...

  • HERI
  • 2011.11.01
  • 조회수 10233

서구가 답하지 못하는 문제 아시아가 해답 들려줄수도

서구가 답하지 못하는 문제 아시아가 해답 들려줄수도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② 중국은 근대 국민국가 아닌 그들 나름의 문명국가 성장 지진해일·원전사고 충격 일본사회 변화 방향 고민 문명의 중심축이 유...

  • HERI
  • 2011.10.31
  • 조회수 8768

“댐 완공땐 마을 침수…새 집 지어준다니 꿈같아”

“댐 완공땐 마을 침수…새 집 지어준다니 꿈같아” [한겨레] 조기원 기자 소수민족 아이타족, 이사비용 턱도 없는 가난한 삶 코이카·아시아나·굿피플 새집 70채 지어 이주 계획 보건소도 세워…“자립기반 마련해주는 게 장기과...

  • HERI
  • 2011.10.28
  • 조회수 10182

유로권 재정위기는 과잉복지 탓 아닌 금융허브 몰입한 탓

경제 경제일반 유로권 재정위기는 과잉복지 탓 아닌 금융허브 몰입한 탓 [한겨레] [아시아미래포럼 연사에게 듣는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빚에 억눌린 정부·기업·가계 쓸돈 없으면 불황 가속화...

  • HERI
  • 2011.10.24
  • 조회수 8962

가난한 초원에 전하는 ‘자립 노하우’

경제 경제일반 가난한 초원에 전하는 ‘자립 노하우’ [한겨레] 이재명 기자 지구촌나눔운동, 유목민에게 축산·농업기술 전수 현지인 리더십 양성 초점…“삶의 질 향상에 일조” 갓 돌이 지났을 법한 딸아이를 가슴에 안은 체랭...

  • HERI
  • 2011.10.21
  • 조회수 9498

사막에 울창한 숲을…쿠부치에 심은 ‘녹색 희망’

경제 경제일반 사막에 울창한 숲을…쿠부치에 심은 ‘녹색 희망’ [한겨레] 박영률 기자 ‘대표적 황사 발원지’ 쿠부치 사막에 ‘길이 28km·폭 8km’ 숲 조성 “황사·사막화 방지에 도움 보람”…일본도 1992년부터 녹화사업 모래...

  • HERI
  • 2011.10.14
  • 조회수 11954

‘블랙아웃’ 걱정, 2차전지에 맡겨라

경제 경제일반 ‘블랙아웃’ 걱정, 2차전지에 맡겨라 [한겨레] 최현준 기자 작고 가벼운데 용량 큰 ‘반영구적 전기창고’ 삼성SDI, 소형 2차전지서 일본 제치고 1위 중·대형 박차…차세대 지능형 전력망 추진 지난 4일 찾은 ...

  • HERI
  • 2011.10.07
  • 조회수 9804

[싱크탱크 광장] ‘빚더미’ 대한민국·서울시 건강재정 되찾을 묘안은

사설.칼럼 칼럼 [싱크탱크 광장] ‘빚더미’ 대한민국·서울시 건강재정 되찾을 묘안은 나라살림 현황과 해법 [한겨레] 등록 : 20111004 19:45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 단일후보로 뽑혔다. 경선 막바...

  • HERI
  • 2011.10.05
  • 조회수 10560

“안철수 현상은 □ 다”

정치 정치일반 “안철수 현상은 □ 다” [한겨레] 이지은 기자 등록 : 20110929 21:28 한겨레·싱크탱크연합 토론회 »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안철수 현상’은 무엇에서 비롯됐는가? 내년 총선·대선을 앞두고 불어닥친...

  • HERI
  • 2011.10.04
  • 조회수 10594

태양광 전지판 전세계 80개국에 펼치다

경제 경제일반 태양광 전지판 전세계 80개국에 펼치다 [한겨레] 김경락 기자 등록 : 20110929 20:30 | 수정 : 20110929 22:13 창업 9년만에 실리콘 태양광 모듈 세계 1위 지방정부 지원·과감한 R&D투자로 고속성장 최근 ...

  • HERI
  • 2011.09.30
  • 조회수 10315

[싱크탱크 시각] 위기의 본질 / 이원재

사설.칼럼 칼럼 [싱크탱크 시각] 위기의 본질 / 이원재 [한겨레] 한국 기업은 이미 위험을 관리하는 법을 배웠다 지금 위험한 것은 개인이다 » 이원재 한겨레경제연구소 소장‘경제위기’가 다시 입에 오르내린다. 원화 환율이...

  • HERI
  • 2011.09.26
  • 조회수 10701

페르시아만 바닷물을 ‘사막의 생명수’로

경제 경제일반 페르시아만 바닷물을 ‘사막의 생명수’로 [한겨레] 김경욱 기자 UAE 루와이스 200만㎡거대 물공장 가동 시작 폐열·폐증기 이용한 ‘다단증발방식’ 친환경 기술 22곳에 450만톤 규모…하루 1500만명 이용 가능 무...

  • HERI
  • 2011.09.23
  • 조회수 11255

독보적 철강기술로 ‘반환경’ 용광로 허물다

경제 경제일반 독보적 철강기술로 ‘반환경’ 용광로 허물다 [한겨레] 황예랑 기자 등록 : 20110915 20:26 가루로 쇳물 만드는 ‘파이넥스 공법’으로 공정 줄여 ‘용광로 대체’ 첫 성공사례…오염물질 배출량 급감 2007년 상...

  • HERI
  • 2011.09.16
  • 조회수 12513

CO₂ 배출 0…‘절전형 도시’ 만든다

경제 경제일반 CO₂ 배출 0…‘절전형 도시’ 만든다 [한겨레] 구본권 기자 등록 : 20110908 21:01 태양광 발전·빗물 이용 ‘에코하우스’ 실용화 코앞 2018년 창업 100돌 ‘그린플랜’…에너지솔루션 주력 일본은 지난 3월 동북...

  • HERI
  • 2011.09.16
  • 조회수 10480

‘맞춤 정보’ 지금 당신의 생각을 재단중

문화 책 ‘맞춤 정보’ 지금 당신의 생각을 재단중 [한겨레] 등록 : 20110902 21:20 개인 관심정보 알려주는 ‘필터링’ 콘텐츠 편식조장 민주주의 위협 » 생각조종자들 엘리 프레이저 지음, 이정태ㆍ이현숙 옮김/알키ㆍ1만5000원...

  • HERI
  • 2011.09.05
  • 조회수 9455

“무책임 넘어 방종 드러나…상업적 미디어 환경 바꿔야할 때”

사회 미디어 “무책임 넘어 방종 드러나…상업적 미디어 환경 바꿔야할 때” [한겨레] 등록 : 20110830 21:07 | 수정 : 20110831 11:18 미디어 공룡 종편의 습격 런던시티대학 이오시피디스 교수 인터뷰 불법도청 사건은 ‘미...

  • HERI
  • 2011.09.01
  • 조회수 10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