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미래로 가는 길, 기술을 넘어 사람으로

HERI 2022. 06. 21
조회수 823
제1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포럼’

인공지능·플랫폼·알고리즘 기술로
일상생활·산업 전반 편의성 증대 불구
개인정보 침해·양극화 확대·고용 불안정
새로운 부작용과 숨겨진 그늘도 짙어

신기술은 신기함으로 나타나 편리함과 유익함의 이름으로 확산되지만 그 기술이 살아남느냐는 확산과정에서 만나는 골짜기를 무사히 건너는지에 달려 있다. 악용 세력의 어뷰징과 기술 확산과정에서 부딪히게 되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라는 골짜기다.


오늘날 인류의 삶을 혁신시키고 있는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도 악용과 부작용의 골짜기를 만난 상황이다. 디지털 전환은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편의와 기회를 가져왔지만 새로운 부작용과 그늘도 짙다. 개인정보 침해, 허위정보, 사이버 괴롭힘, 알고리즘 차별 및 편향성과 같은 병리적 현상도 심각하다. 양극화 확대, 고용과 직업의 불안정, 여론과 민주주의의 위기와 같은 문제는 사회 통합과 발전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디지털 기술에 따르는 부작용의 공론화와 국제적 차원의 접근도 활발해지고 있다. 공동체를 위협하는 기술과 빅테크 기업들에 대해 유럽연합에서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사회적 논의와 규제도 국제 사회 곳곳으로 확산되는 상황이다.

인공지능, 플랫폼, 알고리즘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와 편리함이 늘고 있지만, 기술혁신과 편의만을 앞세운 서비스와 기업이 외면받고 추락하는 사례도 국내외에서 잇따르고 있다. 막대한 영향력에 걸맞은 책임에 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과 플랫폼 산업, 알고리즘 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에도 더욱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효과적인 해결책이 어려운 디지털 사회의 복합적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해 주체들이 참여해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내는 게 필요하다. 디지털 사회에 적합한 효과적이고 유연한 새로운 사회적 협약과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창의성과 기술혁신 시도를 가로막지 않으면서 개인과 사회를 보호하는 길을 찾는 작업이 필요한 때다.

오는 23일 성남시 그래비티서울판교 호텔에서 열리는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에는 3명의 저명 국외 연사들이 기조연설자로 방한하고 국내의 전문가들이 식견과 통찰을 선사한다. <이코노미스트> 수석편집자이자 <노동의 미래> 저자인 라이언 아벤트가 “플랫폼 경제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사회규약”을 주제로 개막연설을 한다. 플랫폼 독점의 폐해가 커지면서 기업 책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아벤트는 혁신과 규제의 조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는 어떻게 가능한지, 디지털 자동화로 인한 사회적 부는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이어 잔드라 바흐터 옥스퍼드대 교수가 “빅테크의 알고리즘, 인간화 방안의 모색”을 주제로 두 번째 기조연설에 나설 예정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이 이용자 관심사에 맞춤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은 편향 정보에 갇히면서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바흐터 교수는 차별로 이어질 수 있는 알고리즘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윤리적 알고리즘을 위한 빅테크의 역할, 좋은 사회를 위한 인공지능의 활용방안도 다룰 예정이다.

세 번째 기조연사는 옥스퍼드대 선임연구원이자 영국 총리 정책자문관을 지낸 대니얼 서스킨드다. 대니얼 서스킨드는 “디지털시대, 부각될 인간능력과 기업경쟁력”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빅테크가 지배하는 탈노동의 시대, 일의 의미와 삶의 의미를 질문하고, 미래 교육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에 대해 강연한다. 아울러 빅테크의 영향력이 경제만이 아니라 정치 영역에서도 증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책임과 규제를 위한 방안도 펼쳐낼 예정이다.

오후 세션에서는 김초엽 작가가 “당신의 우주정거장을 상상해보세요”라는 주제의 점심특강을 진행하고, “메타버스, 인터넷의 미래인가 환상인가”를 주제로 김상균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와 위정현 중앙대 다빈치가상대학 학장이 ‘이슈 대담’을 펼친다. 특별세션에서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실리콘밸리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과 노력이 필요한지를 주제로 벤처투자업계의 박희덕 트랜스링크 인베스트먼트 대표와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손재권 <더밀크> 대표가 사례발표와 대담을 펼친다.

‘사람과디지털 포럼(www.lifeindigitalforum.org)’은 디지털과 빅테크, 플랫폼 환경에서 불거지는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을 논의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논의의 마당으로,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을 초청해 매년 6월 개최한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47800.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맛집, 너는 ‘키보드로 구글’ 검색? 나는 ‘카메라로 틱톡’ 검색!

구글 지배 글로벌검색 판도변화 “젊은세대 검색내용 완전 달라” 짧은 동영상이 검색 기능 병행 구글·네이버, ‘복합검색’ 선보여 Z세대·숏폼문화 부상과 검색문화 2022년 9월28일 열린 구글의 연례 검색컨퍼런스 ‘서치온’에서 ...

  • HERI
  • 2022.10.17
  • 조회수 567

“가사노동자 범위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례 개정해야”

서울시 ‘가사노동자 지원조례’ 시행 100일 맞아 조례 개선 및 활성화 방안 토론회 개최 “전국 45만명 추산 가사노동자 3분의1 이상 수도권 집중 상담·교육 지원하는 ‘가사노동자지원센터’ 설립 필요” 4일 서울 중구 서울시...

  • HERI
  • 2022.10.05
  • 조회수 801

“일하는 노인에게도 노동자 권리 보장해야”

한국노총 가사·돌봄 유니온 등 제32회 ‘세계 노인의 날’ 맞아 회견 “일하는 노인에 대한 실태조사 필요, 65살 이상 취업자 실업급여 적용을”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앞 광장에는 유엔이 정한 제32회 ‘세계 노인의...

  • HERI
  • 2022.10.05
  • 조회수 610

고래·돼지·박쥐 울음소리, AI가 번역한다

인공지능, 동물 소통법 연구 활용 스마트폰용 ‘고양이언어 번역기’도 AI로 데이터 패턴·상관성 분석 향유고래 대상 ‘고래언어 해독’ 연구 인간의 동물 이해·공감 바꿀 수도 인공지능은 동물의 언어와 표현방식을 해석하는 데...

  • HERI
  • 2022.10.04
  • 조회수 871

국내 최대 규모 이종협동조합 ‘인라이프케어’ 비전 선언

27일 충북 괴산서 비전선포식 열려 소비·생산·의료 협동조합 110개 참여 “친환경 생산·소비자 실천 운동 펼칠 것” 27일 충북 괴산 자연드림파크에서 국내 최대 규모 이종협동조합연합회인 ‘인(iN)라이프케어 이종협동조합연합회’...

  • HERI
  • 2022.09.28
  • 조회수 872

소셜벤처·사회적기업인 연결의 장, ‘소셜밸류커넥트’의 귀환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사회적가치 플랫폼 행사 최태원 SK회장 제안 출범…3천여명 참석 20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에서 열린 ‘소셜밸류커넥트’ 행사장에서 임팩트 투자기관과 소셜벤처 관계자들이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민간...

  • HERI
  • 2022.09.21
  • 조회수 861

“사회적경제는 정권 바뀌어도 가야할 길”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 19일 사회적경제 정책 토론회 열어 정부·서울시 등 사회적경제 담당 조직 없애고, 예산 대폭 삭감 여야 떠나 양극화·지방소멸 사회문제 해결 대안으로 다뤄야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

  • HERI
  • 2022.09.21
  • 조회수 664

대산농촌상 도덕현·손연규씨

농업경영 부문 수상자 도덕현 대표 농업공직 부문 수상자 손연규 연구관 대산농촌재단(이사장 김기영)은 15일 제31회 대산농촌상 농업경영 부문에 도덕현(62) 도덕현유기농포도원 대표를, 농업공직 부문에 손연규(56) 국립농업과학원 ...

  • HERI
  • 2022.09.19
  • 조회수 708

페북·구글·아마존 이어 트위터도 나왔다…빅테크의 내부고발자들

개인정보·행동데이터 다루는 IT서비스 외부에선 접근 어려워 내부고발자 증거 수집해 폭로땐 여론 영향 등 파장 일파만파 “수익 우선 윤리 망각” 잇단 폭로 페이스북, 규제 강화 이용자 외면 내부고발 뒤엔 캠페인·연구소 행 ...

  • HERI
  • 2022.09.19
  • 조회수 684

‘무한 스크롤’ 개발 디자이너도 나섰다…“이젠 정지신호 복원할 때”

속임수 설계와 디자인 윤리 매끄러운 사용자경험·디자인 추구 ‘무한스크롤’ 혁신기능이 중독 불러 웹 고도화는 전문가 윤리의식 요구 사용자가 원치 않는 프로그램까지 함께 설치하는 ‘바구니에 숨겨넣기’는 대표적인 다크 패턴...

  • HERI
  • 2022.09.05
  • 조회수 899

‘100세 시대’ 일하는 노인 ‘실업 안전망’이 없다

가사·돌봄 유니온, ‘노인고용 안정 위한 정책협약식’ 고용보험법, 65살 이후 신규취업 고용보험 안돼 고용보험 가입과 실업급여 적용 등 촉구 서명운동 한국노총 전국연대노조 가사·돌봄서비스 노동조합·노후희망유니온·한국가사노동...

  • HERI
  • 2022.09.02
  • 조회수 961

가격 그대로인데 ‘오늘만 핫딜’…합법과 기만 사이 ‘다크패턴’

IT기술·심리학적 연구 활용한 이용자 반응 유도 효율화 설계 자동화·AI 덕분 개인별 맞춤화 기술 무한스크롤·자동재생·가격 차등화 중독 유발하는 ‘2세대 다크패턴’ 우려 한국소비자원 보고서에서 ‘눈속임 설계’ 사례로 제시한...

  • HERI
  • 2022.08.22
  • 조회수 895

“전기·가스 통합한 독립된 에너지규제위원회 신설하자”

<한겨레>, 전력요금 정책토론회 개최 연료가격 변화 반영한 요금 정상화 필요 요금의 ‘탈정치화’ 위한 거버넌스 개선도 독점적 전력판매시장 개방 필요성 제기 “정상화에 필수”-“민영화 우려” 엇갈려 5개 화력발전 공기업의 ...

  • HERI
  • 2022.08.11
  • 조회수 1005

전력요금 정책 개선방안 찾는 토론회 11일 열린다

<한겨레> 주최로 서울 본사 청암홀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위한 대안 모색 전기위원회 독립·전문성 강화 방안 관심 중장기 전력거래시스템 개선에도 주목 정연제 박사·유승훈 교수 주제발표 맡아 학계·소비자·환경·노사·정부 ...

  • HERI
  • 2022.08.03
  • 조회수 1441

변형윤 선생 ‘학현학술상’ 확대에 “생각 못했는데 고맙다”

[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명예이사장 변형윤 명예교수 학현 변형윤 선생이 지난 22일 오후 서울 사직로 서울사회경제연구소에서 ‘학현학술상’ 확대 개편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생각지도 못...

  • HERI
  • 2022.07.28
  • 조회수 1673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AI 창작도구의 예술계 영향 ‘컴퓨터하는 이집트 동물신’ ‘쇼핑하는 기린’ 등 글쓰면 인공지능이 이미지샘플 제시 월 15달러에 460개 사용가능 삽화 등 상업적 활용도 가능 디자이너 ‘AI 활용능력’ 중요 인공지능이 문장에...

  • HERI
  • 2022.07.26
  • 조회수 1815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더 나은 내가 되는 일”

사회적 기업가이자 싱가포르 국회의원 캐리 탄 기획 국내 여성운동·사회혁신 활동가 위한 워크숍 열어 “내적 성숙이 이끄는 공동체와 사회문제 해결” 강조 지난 15일 서울 성수동 메리히어(Merry Here) 지하 2층에서 싱가포르...

  • HERI
  • 2022.07.19
  • 조회수 1364

“협동조합 연합해 유통플랫폼 ‘더쎈’ 구축하겠다”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 설명회 ‘함께하는’ 협동조합 비즈니스 생태계 모색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설명회에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신효진...

  • HERI
  • 2022.07.19
  • 조회수 1406

“팬데믹, 전쟁 등 글로벌 위기에 기부 역할 더 커졌죠”

[짬] 세계공동모금회 윌리엄스 회장 안젤라 윌리엄스(왼쪽) 세계공동모금회 회장이 12일 사랑의열매 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조흥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이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나는 인간 내면의 ...

  • HERI
  • 2022.07.14
  • 조회수 2280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0년…‘지속가능한 도약’ 가능할까

9일 ‘제4회 사회적경제 박람회’서 협동조합기본법 평가 현장선 협동조합 법제도·정책의 효과성 체감 미미 “2032년 협동조합 도약 위해 ‘지원’에서 ‘진흥’으로, 중앙 주도에서 지역 중심으로 정책 설계 필요” 지난 9일 경북...

  • HERI
  • 2022.07.12
  • 조회수 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