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 설명회
‘함께하는’ 협동조합 비즈니스 생태계 모색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설명회에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신효진 연구원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설명회에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신효진 연구원

‘연대와 협력’, ‘사회적 가치 추구’ 등 사회적경제의 기본개념은 국가와 시장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서비스 공급 주체로 사회적경제에 주목하게 한다.


지난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는 사회적경제조직이 사회서비스의 건강한 공급자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회적경제조직이 제공하는 돌봄, 생활, 교육서비스를 어디에서 어떻게 구할 수 있을지 알기 쉽지 않다. 기존의 사회적경제 온·오프라인 플랫폼은 주로 제품 중심으로 설계되거나 공공조달 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서비스를 다루는 사회적경제조직의 참여는 어려웠다. 서울 지역협동조합협의회의 조사에 의하면, 서울지역 협동조합의 72%는 서비스가 주요 사업이다. 이들 협동조합에게 판로 확보는 여전히 쉽지 않은 과제다. 그래서 협동조합 스스로 플랫폼을 구축해 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지난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는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모였다. 올해 1월부터 6개월간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와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가 준비한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The CEN, Cooperative Economic Network)’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김상현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장은 “판매자이자 소비자인 협동조합이 모여 있는 협의회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온라인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쎈은 개별 협동조합의 제품 및 서비스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쇼핑몰의 구축, 주문, 결제 등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쇼피파이(Shopify)와 유사하다. 2006년 설립한 쇼피파이는 판매자가 온라인 쇼핑몰을 직접 만들고 운영하도록 솔루션을 제공한다. 매달 일정 금액을 내면 쇼핑몰 개설부터 마케팅, 주문처리, 결제 등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업무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직매입 방식을 가져가는 아마존과 달리 판매자들과 연합하는 방식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협동조합의 성장‧생존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 판로확보를 위해 협동조합 당사자 조직들이 직접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신효진 연구원
협동조합의 성장‧생존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 판로확보를 위해 협동조합 당사자 조직들이 직접 온라인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신효진 연구원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김윤권 사무총장은 “더쎈은 여기에 더해 개별 협동조합의 제품·서비스를 협동조합은 물론 협동조합의 조합원 등 개인이 마케팅 및 홍보로 판매하고 수수료를 가져갈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평균 구매 전환율은 2%로 알려져 있다. 광고비를 투입해 쇼핑몰에 1백명이 유입될 때 평균 2명이 상품을 구입한다. 사회적경제를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해 그 안에서 판매와 소비가 이루어지는 플랫폼인 더쎈은 사회적경제를 잘 아는 당사자를 마케터로 내세워 판매를 촉진하려 한다.

김상현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장은 “더쎈의 공급 주체로 1백개의 사회적경제조직을 발굴해 1천개의 제품 및 서비스를 구성하고 10월 시범 판매를 진행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신효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 jinnytree@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51370.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AI, 아직 개 지능에도 못 미쳐…종말론 터무니없다”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지난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에서 프랭크 패스콸리 미국 브루클린대 로스쿨 교수가 ‘챗지피티시대: 알고리즘의 잠재적 혜택과 위험’을 주제로 기조연...

  • HERI
  • 2023.06.26
  • 조회수 720

“식품 안전 위해 ‘GMO 완전표시제’ 도입해야”…‘GMO 특별법’ 제정 촉구

국회서 생협단체 등 기자회견 소비자기후행동, 아이쿱생협연합회, 한살림생협연합회 등 7개 단체와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신정훈 의원과 정의당 강은미 의원 주관·주최로 2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소통관에서 ‘지엠오...

  • HERI
  • 2023.06.21
  • 조회수 911

CEO와 게임 히어로는 남성? 윤송이는 AI 너머 세상 편견과 싸운다

[인터뷰] 윤송이 엔씨소프트 사장 인터뷰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윤송이 사장이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매거진 라이브러리에서 카메라 앞에서 웃는 모습. 이정용 ...

  • HERI
  • 2023.06.19
  • 조회수 664

“온라인의 욕설·비속어 문제 해결해요”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어워드 대상에 KISO의 ‘이용자 보호 시스템’ ‘마을호텔’로 꾸민 정선 고한읍과 ‘제가버치’ ‘캐시노트’는 최우수상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 HERI
  • 2023.06.19
  • 조회수 553

AI 작곡가, 노래 한곡 뚝딱…인간 공존의 조건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인공지능 예술의 현재와 미래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 교수가 16일 서울 중구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오후 세션에서 ‘생성형 AI가 구현한 예술의 세계’ 주제...

  • HERI
  • 2023.06.19
  • 조회수 592

“예상 뛰어넘는 인공지능 기술…부작용 논의 시급”

챗GPT 시대, 인간과 AI 공존의 조건 “인간 대체 아닌 기능 강화에 쓰여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 포럼 제2회 사람과 디지털포럼 ‘챗지피티 시대, 인간과 에이아이(AI) 공존의 조건’이 16일 오전 서울 상공회의소 국...

  • HERI
  • 2023.06.19
  • 조회수 577

“챗지피티시대, ‘인간-AI 공존’ 지혜 모아야”

제2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각계 축사 허은아 의원 “AI에 대한 기대-우려 직시해야” 조승래 의원 “인류문명과 충돌 위험 극복할 것” 이종호 장관 “전문가들 고견, 정책에 적극 반영” 고진 위원장 “유능한 정부 위...

  • HERI
  • 2023.06.19
  • 조회수 581

디지털 기술 활용, 합리적 비용의 비대면 심리 상담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마인드카페 우리나라 국민 중 일생동안 정신질환을 앓는 비율은 25.4%로, 4명 중 1명 꼴이다. 경기침체, 불평등 심화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코로나 전염병까지 겹치면서 우울감, 상실감을 호소...

  • HERI
  • 2023.06.15
  • 조회수 697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전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고요한 M 고요한 모빌리티라는 뜻의 ‘고요한 엠(M)’은 청각장애인 기사가 운행하는 호출형 차량 공유 서비스다. 서비스 차량 안에는 승객들과 청각장애인 운전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태블릿이 ...

  • HERI
  • 2023.06.15
  • 조회수 453

말못하는 동물 치료위해 AI기반 X선 영상판독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SK텔레콤 엑스칼리버 ‘엑스칼리버(X Caliber)’는 에스케이텔레콤이 개발한 국내 최초의 ‘인공지능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 서비스’다. 엑스레이 영상 판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 임상수의사에게 ...

  • HERI
  • 2023.06.15
  • 조회수 414

’금지단어 묶음’ 제공 게임내 욕설·성차별 막아

HTA2023 특별부문 우수상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말뭉치DB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GSOK)의 ‘말뭉치 데이터베이스’는 게임이나 채팅 공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욕설·혐오표현 등과 같은 ‘금지단어 묶음’이다. 이용자들의 건강한 게...

  • HERI
  • 2023.06.15
  • 조회수 499

일상속 쓰레기줍기 앱 기록…선행 공유하고 환경 기여

HTA2023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이타시티 ‘이타시티’는 공유가능한 선행을 지향하는 비영리 기부 스타트업이다. 자원봉사가 개인의 ‘선한 활동’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타시티의...

  • HERI
  • 2023.06.15
  • 조회수 511

부모-시터 매칭해 아이돌봄과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 기여

HTA2023 이용자부문 우수상 맘시터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낮다.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깊어지면서 출산과 양육을 위한 돌봄노동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맘시터’는 아이 돌봄이 필요한...

  • HERI
  • 2023.06.15
  • 조회수 451

60만개 욕설DB로 혐오 차단…이용자 인권 보호

HTA2023 대상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이용자보호 시스템 네이버·카카오가 ‘금지어DB’ 제공 인터넷자율정책기구가 통합 완료 변형된 욕설도 걸러낼 수 있어 중∙소규모 기업도 활용하게 무상 공유 제8회 휴먼테크놀로지 어워...

  • HERI
  • 2023.06.15
  • 조회수 452

빈집 수리해 ‘마을호텔’로…소멸 위기 폐광지역 활기

HTA2023 특별부문 최우수상 마을호텔 18번가 “마을호텔 18번가는 야생화로 유명한 정선의 작은 산골 마을인 고한18리 주민들이 골목상점들을 하나로 모아 마치 호텔처럼 운영하는 재미난 곳입니다. 민박집은 호텔 객실이 되고, ...

  • HERI
  • 2023.06.15
  • 조회수 491

생산자-소비자 직접연결 농산물 ‘제값어치’ 찾아줘

HTA2023 특별부문 최우수상 카카오 메이커스 특별부문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카카오 메이커스’는 인간·기술·가치의 연결을 통해 카카오식 소셜임팩트를 추구하는 프로젝트다. 국내 제조업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이들의 가...

  • HERI
  • 2023.06.15
  • 조회수 379

자영업자의 현금 흐름 한 눈에 볼 수 있는 ‘국민 사장님 앱’

HTA2023 이용자부문 최우수상 캐시노트 캐시노트는 ‘국민 사장님 앱’으로 불린다. 자영업자를 위한 ‘현금출납 서비스’로 매출과 지출만 입력하면 하루 소득, 즉 자신의 노동이 얼마에 해당하는지 알려준다. 식당을 운영하는 자...

  • HERI
  • 2023.06.15
  • 조회수 364

“기술 혁신과 함께 예술도 확장...지금은 혁명적 순간”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기조연사 드루 헤먼트 에든버러대 교수 인간과 기계 창작물 뒤섞이고 인간이 AI 활용한 작품도 급증 예술 의미·경계 넓혀지고 있어 AI 데이터, 저작권 문제 딜레마 ‘무단수집’ 분명한 잘못이지만 비용...

  • HERI
  • 2023.06.15
  • 조회수 367

‘속도’로 무장한 AI…인간과 경쟁아닌 협업관계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강연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음악 이론·최신 트렌드 학습한 인공지능 ‘이봄’ 작곡 무대 시연 AI 곡, 아직 법으로 보호 못받아 도용·표절 시비등 양산 우려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공지능대...

  • HERI
  • 2023.06.15
  • 조회수 390

알고리즘에 숨겨진 차별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제2회 사람과디지털포럼 기조연사 프랭크 패스콸리 브루클린대 교수 채용·검색·금융 등 일상 파고든 ‘깜깜이 알고리즘’ 관리감독 필요 불이익 받은 사람에 재기회 줘야 프랭크 패스콸리 미국 브루클린대학 로스쿨 교수 오는 16일...

  • HERI
  • 2023.06.15
  • 조회수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