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에서 청년들이 밀려나고 있어요. 이젠 도시와 청년 문제를 연결해서 논의해야 합니다.”
박수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회장은 지난 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 사무실에서 진행한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주거비와 생활환경 등 도시 문제가 청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다. 수도권의 부동산 가격은 최근 수년 사이에도 급등했다. 자기 집이 없는 청년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접어두고, 일단 올라간 주거비부터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자리가 불안정하거나 아직 구직 중인 청년은 도시에서 내몰리기 십상이다. 박 회장은 청년 문제를 일자리나 복지 정책만으로 풀 수 없다고 주장한다. 도시라는 주거 공간의 차원에서 청년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게 그의 시각이다.
박 회장이 이끄는 유엔해비타트 한국위원회는 지난해 9월 출범한 유엔의 공식 산하기구다. 그는 “유명인들이 집 짓는 봉사활동을 하는 해비타트라는 시민단체와 혼동을 하지만, 유엔해비타트는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 등 유엔 산하의 34개 집행기구 중의 하나이고, 이 기구의 국가별 위원회가 설립된 국가는 한국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유엔해비타트는 ‘더 나은 도시의 미래’를 위해 도시가 모두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 단체이고, 20년을 단위로 이 단체가 주력하는 핵심 의제를 정한다. 2016년부터 20년간 주력하는 주제는 ‘청년’과 ‘도시’다. 박 회장은 청와대 대변인이던 2017년에 이 단체의 핵심 의제가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와 맞닿아 있다는 생각으로 편지를 보낸 것이 인연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