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유엔 태스크포스 카르펜티에 의장
카르펜티에 의장.
카르펜티에 의장.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사회연대경제 결의안’은 회원국들에 사회연대경제 지원을 위한 법제도를 마련하도록 권장한다. 결의안은 한국정부도 찬성해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유엔사회연대경제 태스크포스(UNTFSSE)의 샹탈 라인 카르펜티에 의장은 지난 16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과의 서면인터뷰에서 “2000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프랑스·이탈리아 등 20개국 이상이 사회연대경제 지원법을 채택했다”면서 “유엔 결의안으로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은 지난 4월18일(현지시각) 제77차 총회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연대경제 활성화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은 사회연대경제를 지속가능한 경제 및 사회개발의 모델로서 지원·강화하도록 장려한다. 협동조합·사회적기업 등이 중심축인 사회연대경제는 모든 경제활동 과정에서 이윤 극대화보다 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동체 구성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나타나는 불평등, 빈부격차, 고용불안, 환경파괴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는데, 코로나 위기를 계기로 국제사회의 관심이 한층 더 뜨거워졌다.

국회에 발의된 사회적경제기본법을 포함한 이른바 ‘사회적경제 3법’의 제·개정을 둘러싸고 여야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야당은 사회연대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원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정부여당은 사회적경제에 대한 ‘퍼주기법’이라며 반대한다. 유엔 결의안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한국 등 190여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가 있는 유엔무역개발회의에서 무역·환경·기후변화·지속가능발전 국장을 맡고 있는 카르펜티에 의장은 “한국의 사회연대경제는 국제사회에서 케이(K)-팝이나 케이(K)-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떠오르는 샛별과 같다. 지구촌 남반구의 사회연대경제 주체들은 한국이 글로벌 차원에서 사회연대경제를 지원하고 촉진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태스크포스가 유엔 결의안의 산파역을 했다고 들었다.

“태스크포스는 사회연대경제를 촉진하기 위해 2013년 9월 출범했다. 설립 회의에는 국제노동기구, 유엔개발계획, 유엔사회개발연구소의 주도 아래 14개 유엔 산하기관이 참여했다. 이후 사회연대경제와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관한 입장문 작성, 사회연대경제 백과사전 출간, 심포지엄 개최 등 중요한 공헌을 했다. 2021년 제3차 심포지엄에서는 유엔 결의안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대륙별로 결의문 채택을 주도할 국가를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코로나로 인해 회원국들이 대면회의를 못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스페인(유럽), 칠레(중남미), 세네갈(아프리카)의 참여를 끌어냈다.”

유엔 사회연대경제 결의안 채택 ‘산파’
지원법 마련과 금융기관 지원 장려 등
한국 등 190여 개 회원국 만장일치
2천년대 세계 20개국 지원법 마련
“유엔 결의로 법 제정 나라 늘 것”

국회 ‘사회적경제 3법’ 여야 대치 중
여 “퍼주기법” 야 “활성화에 꼭 필요”

―결의안의 주요 내용을 꼽는다면?

“유엔 회원국들에 사회연대경제를 지원하고 강화하기 위한 국가·지방·지역 차원의 전략·정책·프로그램을 장려하고 이행하도록 권장했다. 또 금융기관과 개발은행이 금융 상품 등을 통해 사회연대경제를 지원하도록 장려한다. 자금조달의 어려움은 그동안 사회연대경제의 발전과 확장을 가로막아 왔다. 유엔 사무총장에게 결의안 이행에 관해 보고서 작성도 요청했다.”

―유엔사회개발연구소와 국제협동조합연맹은 결의안에 대해 전 세계 사회연대경제에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표현했다.

“결의안은 사회연대경제에 대해 공식 정의를 하고, 지속가능개발목표의 달성 및 현지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인정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에서 사회연대경제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마련됐다. 사회연대경제는 19세기초 이래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이들은 지구 건강, 국민복지, 민주적 지배구조에 크게 기여했지만,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공식통계에서도 제외됐다. 결의안 채택으로 이런 문제가 모두 해결될 수 있는 실마리가 마련된 것은 큰 진전이다.”

지난 4월18일(현지시각) 유엔 제77차 총회에서 욜란다 디아스 페레스 스페인 노동과 사회 경제부 장관이 사회연대경제 결의안을 소개하고 있다.
지난 4월18일(현지시각) 유엔 제77차 총회에서 욜란다 디아스 페레스 스페인 노동과 사회 경제부 장관이 사회연대경제 결의안을 소개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사회연대경제 조직이 2017년 기준 280만개에 달하고, 전체 고용의 6.3%를 차지한다고 한다. 반면 한국의 사회연대경제는 그동안 괄목할 만한 양적성장을 이뤘지만 고용 비중은 아직 1%를 약간 넘는 수준이고 법제도 기반도 취약하다. 전 세계 사회연대경제의 발전 현황은?

“조직 수와 고용·생산에 대한 사회연대경제의 기여도는 그동안 과소평가됐다. 지난해 12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다자간 이해관계자 회의에서 뉴욕 주재 몽골 대사는 전 세계적으로 협동조합이 1억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 세계 다국적 기업이 제공하는 일자리보다 20%가 더 많다. 프랑스의 마를렌 시아파 사회연대경제부 장관은 이 분야의 조직과 기업이 국내총생산의 10%, 일자리의 14%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유엔 결의안은 모든 유엔 회원국, 유엔 기구, 금융기관에 사회연대경제를 촉진하고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각국의 상황과 우선순위 등을 고려해서 사회연대경제를 위한 법·제도를 개발해야 한다. 또 국가통계 작성, 재정 및 공공조달 인센티브 제공으로 사회연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교육 커리큘럼과 역량 강화, 연구 이니셔티브에서도 사회연대경제를 인정할 것을 권한다. 사회연대경제 주체들이 금융서비스 및 자금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런 정책결정 과정에 사회연대경제 주체들의 참여를 장려한다.”

―한국 국회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에 정부 조달액 중 일정부분 의무할당 등을 담은 사회적경제기본법 등의 제·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 부문의 글로벌 동향은 어떤가?

“2000년 이후 2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회연대경제 관련법을 채택했다. 여기에는 아르헨티나·벨기에·브라질·캐나다·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 등이 포함된다. 이런 노력은 유엔 결의를 계기로 더욱 늘어날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사회연대경제를 혁신적 포용성장 달성을 위한 중요한 축으로 생각한 반면 현 정부여당은 사회연대경제에 큰 관심이 없다.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도 특혜라고 반대하는데.

“이 질문에는 답하기 곤란하다. 양해해달라.”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92403.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한국 사회연대경제, K-팝처럼 국제사회 샛별이죠”

유엔 태스크포스 카르펜티에 의장 카르펜티에 의장.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사회연대경제 결의안’은 회원국들에 사회연대경제 지원을 위한 법제도를 마련하도록 권장한다. 결의안은 한국정부도 찬성해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유엔사...

  • HERI
  • 2023.05.19
  • 조회수 359

챗GPT, 업무 도와줄 만능비서일까? 직업작가 위협할 괴물일까?

MS·구글, 업무도구에 AI 적용 경쟁 IBM “향후 인사관리 분야 채용 안해” 미 온라인 교육업체 실적·주가 폭락 “작가는 AI 활용해 창작·각색 가능, AI 100% 작업결과는 작품 인정 못해” 미 작가노조 요구에 영화사 “수...

  • HERI
  • 2023.05.15
  • 조회수 532

12일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창립 30주년 기념행사

심포지엄·기념식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 강철규 이사장, 분열·대립 극복할 신뢰·통합 강조 학현학술상 시상식도…이근 서울대 교수 수상 학현 변형윤 선생 서울사회경제연구소(이사장 강철규·소장 장세진)가 오는 12일 오후 3시30...

  • HERI
  • 2023.05.11
  • 조회수 471

미 특허 실증분석 통한 ‘신흥국 추격론’으로 세계적 명성

13회 학현학술상 수상자/이근 서울대 석좌교수 ‘중진국 함정’극복에 균형-불균형 두 유형 규명 한국, IT 함께 바이오·소부장 등 신사업 육성해야 “학현학술상이 확대 개편된 뒤 첫 수상식인데, 변형윤 선생님이 직접 보지 못하...

  • HERI
  • 2023.05.04
  • 조회수 464

학현학술상 수상자로 이근 서울대 석좌교수 선정

기술혁신과 경제발전 연구에 큰 기여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학현학술상위원회(위원장 강철규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이사장)는 제13회 학현학술상 수상자로 이근(63) 서울대 경제학부 석좌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발표했다. 학현...

  • HERI
  • 2023.05.04
  • 조회수 503

“알고리즘은 깜깜이”, “알고 쓰면 차별개선에 도움”

채용 등 중요 결정 좌우하는 AI의사결정 ‘공정’ 명분 확산 의사결정과정 몰라 ‘블랙박스’ 개인 평판·채용·신용에 큰 영향 알고리즘 현명한 활용 땐 성별 임금 격차, 인종차별 개선 ‘투명하고 알기 쉬운 사회’는 기술을 ...

  • HERI
  • 2023.05.02
  • 조회수 585

“가사노동자의 도우미”…가사서비스종합지원센터 2곳 열려

26일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열린 가사서비스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여한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2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가사서비스종합지원센터(이하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이 열...

  • HERI
  • 2023.04.26
  • 조회수 530

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출범…“윤 정부, 사회적경제 이해 부족”

25일 국회서 이재명 대표 등 200여명 참석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출범식이 열렸다. 진선미 의원실 제공.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회(...

  • HERI
  • 2023.04.26
  • 조회수 562

“정부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 직접 짓는 것보다 2억 비싸”

인터뷰ㅣ경실련 김성달 사무총장 김성달 경실련 사무총장. 홍대선 어젠다센터장 hongds@hani.co.kr 시민단체들은 주택건설 공기업들이 비싼 가격에 주택을 매입해 건설사와 민간업자들의 이익을 챙겨주고 집값 거품을 떠받치는 역할을...

  • HERI
  • 2023.04.24
  • 조회수 489

국회가 허용한 생협 공제, 14년간 표류 왜?

윤영덕 의원 생협법 공제 개정안 대표발의 공정위 우려 수용, 투명성 높이고 조합원 보호할 방안 담겨 더불어민주당 윤영덕 의원(가운데)은 두레·아이쿱·한국대학·한살림·행복중심 등 5대 생협연합회 생협법 개정추진위와 함께 20일...

  • HERI
  • 2023.04.21
  • 조회수 430

챗지피티 충격 각계 확산…“AI 읽어낼 비판적 사고력 길러야”

“안전 규약 위해 R&D 중단”호소 AI 석학들도 찬반 의견 엇갈려 “식품·차량처럼 안전보증 필요” 각국 정부, 법률규제 도입 고려 AI로 인한 사기·피싱 막으려면 인공지능 특성 시민교육 나서야 핀란드 헬싱키대학이 스타...

  • HERI
  • 2023.04.17
  • 조회수 677

지역 협동조합 없이 돌봄·복지 어떻게?…지원 축소·폐지 역주행 정부

‘제4차 협동조합 기본계획’ 토론회 기재부 협동조합과 통폐합 뒤 정부 정책 축소 우려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협동조합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방향과 기재부 역할’ 토론회가 열렸다. 박은경 ...

  • HERI
  • 2023.04.17
  • 조회수 476

‘협동조합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방향’ 토론회

12일 국회서…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후원 조합 활성화를 위한 기재부 역할 등 논의 ‘협동조합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방향과 기재부 역할'을 주제로 한 국회토론회가 오는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

  • HERI
  • 2023.04.11
  • 조회수 549

챗GPT는 안전한가…극단주의 양산 ‘소셜 딜레마’ 반복될라

“6개월간 개발중단을” 유명인사들 호소 소셜 미디어의 폐해를 비판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의 포스터. 인공지능에 대한 통제가 초기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소셜(미디어) 딜레마’처럼 ‘인공지능 딜레마’가 재현...

  • HERI
  • 2023.04.03
  • 조회수 662

“RE100 이행 위해 재생에너지 경매제·정부 주도 입지개발 필요”

한겨레경사연 주관 제3회 에너지 정의 포럼 ‘재생에너지 확대 및 RE100 활성화’ 토론회 전문가·학계·경제계 한목소리로 제안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주관으로 열린 ‘재생에...

  • HERI
  • 2023.04.03
  • 조회수 599

중앙사회서비스원 1주년…복지 안전망의 빈틈 채울까

23일 중앙사회서비스원 1주년 기념식 “사회서비스 혁신과 고도화로 공적 책임 강화하겠다” 보편돌봄 제공·복지 사각지대 해소 위해 ‘연결·협력’ 복지혼합 23일 오후2시 서울 중구 신라호텔 루비홀에서 ‘중앙사회서비스원 개원 ...

  • HERI
  • 2023.03.27
  • 조회수 772

재생에너지 확대와 RE100 활성화 위한 토론회 30일 개최

<한겨레> 주최 ‘제3회 에너지 정의 포럼’ 조상민 연구위원·이상준 교수 주제발표 학계·시민환경·경제·공공기관 대표 토론 <한겨레>가 오는 30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3층 청암홀에서 ‘재생에너지의 효율...

  • HERI
  • 2023.03.27
  • 조회수 644

이기고도 이긴 줄 몰랐던 알파고, 승리의 기쁨 깨닫게 될까?

사람은 시각·청각·촉각·추론 활용 대상에 대한 종합적인 인지와 이해 한가지 기능만 뛰어난 도구 AI 통합인지 갖추면 지능폭발 가능 “멀티모달은 인공지능 개발의 성배” 오픈AI, 악용가능성 우려 공개안해 GPT4 ‘멀티모달’ ...

  • HERI
  • 2023.03.20
  • 조회수 729

노동·시민사회 연대 포럼 ‘솔라시’ 떴다

7일 노사기금재단·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공동 주최 노동과 시민사회 연대의 장 모색…9월 본행사 개최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숭동 공공그라운드 001스테이지에서 노사기금재단(공공상생연대기금·금융산업공익재단·사무금융우분투재단·전태...

  • HERI
  • 2023.03.10
  • 조회수 775

세종대왕이 맥북을 던져?…챗GPT의 ‘환각’에 속지 않으려면

[챗지피티와 AI 윤리 과제] 감쪽같은 거짓말 쏟아내는 챗봇 ‘환각’ 현상 AI 분야 최대 과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는 챗지피티에 대해 “과거 인터넷 발명만큼 중대한 발명이 될 수 있으며, 우리의 세상을...

  • HERI
  • 2023.03.06
  • 조회수 1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