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한겨레> 주최로 서울 본사 청암홀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위한 대안 모색

전기위원회 독립·전문성 강화 방안 관심
중장기 전력거래시스템 개선에도 주목

정연제 박사·유승훈 교수 주제발표 맡아
학계·소비자·환경·노사·정부 대표들 토론
20220802502111.jpg

<한겨레>가 오는 11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3층 청암홀에서 현행 전력요금 정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주도하는 ‘사회적 합의를 위한 에너지 정의 포럼’의 첫번째 행사로 열린다.

시대적 과제인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에 성공하려면 현행 전력요금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탄소비용은커녕 발전연료비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현행 방식으로는 에너지 절약은 물론 탄소중립 달성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윤석열 정부도 전기요금을 결정하는 전기위원회의 독립성과 전문성 강화를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중장기적으로 전력거래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반면 민영화로 나갈 가능성과 그로 인한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국민의 생활과 국가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력요금 정책의 변화는 사회적 합의가 필수 조건이다. 이번 토론회에는 국민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대를 모은다.

정연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팀장이 ‘전력요금의 문제점과 상황 진단’,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의융합대학 학장이 ‘에너지 규제 거버넌스 개선방향’에 대해 각각 주제발표를 한다.

종합토론에는 조영탁 한밭대 교수(전 전력거래소 이사장)를 좌장으로 조홍종 단국대 교수, 임원혁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정세은 충남대 교수, 홍혜란 에너지시민연대 사무총장,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 강경택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시장과장이 참석한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은 앞으로도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올바른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위한 에너지 정의 포럼’을 중심으로 윤석열 정부의 원전정책, 새로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방안, 사용후핵연료 처리방안 등 핵심 쟁점들에 관해 토론회, 대담, 좌담 등을 개최할 계획이다.

▶토론회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yBgBGC6Zty6BptfQ7

곽정수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53221.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가격 그대로인데 ‘오늘만 핫딜’…합법과 기만 사이 ‘다크패턴’

IT기술·심리학적 연구 활용한 이용자 반응 유도 효율화 설계 자동화·AI 덕분 개인별 맞춤화 기술 무한스크롤·자동재생·가격 차등화 중독 유발하는 ‘2세대 다크패턴’ 우려 한국소비자원 보고서에서 ‘눈속임 설계’ 사례로 제시한...

  • HERI
  • 2022.08.22
  • 조회수 1471

“전기·가스 통합한 독립된 에너지규제위원회 신설하자”

<한겨레>, 전력요금 정책토론회 개최 연료가격 변화 반영한 요금 정상화 필요 요금의 ‘탈정치화’ 위한 거버넌스 개선도 독점적 전력판매시장 개방 필요성 제기 “정상화에 필수”-“민영화 우려” 엇갈려 5개 화력발전 공기업의 ...

  • HERI
  • 2022.08.11
  • 조회수 1586

전력요금 정책 개선방안 찾는 토론회 11일 열린다

<한겨레> 주최로 서울 본사 청암홀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위한 대안 모색 전기위원회 독립·전문성 강화 방안 관심 중장기 전력거래시스템 개선에도 주목 정연제 박사·유승훈 교수 주제발표 맡아 학계·소비자·환경·노사·정부 ...

  • HERI
  • 2022.08.03
  • 조회수 2075

변형윤 선생 ‘학현학술상’ 확대에 “생각 못했는데 고맙다”

[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명예이사장 변형윤 명예교수 학현 변형윤 선생이 지난 22일 오후 서울 사직로 서울사회경제연구소에서 ‘학현학술상’ 확대 개편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생각지도 못...

  • HERI
  • 2022.07.28
  • 조회수 2277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AI 창작도구의 예술계 영향 ‘컴퓨터하는 이집트 동물신’ ‘쇼핑하는 기린’ 등 글쓰면 인공지능이 이미지샘플 제시 월 15달러에 460개 사용가능 삽화 등 상업적 활용도 가능 디자이너 ‘AI 활용능력’ 중요 인공지능이 문장에...

  • HERI
  • 2022.07.26
  • 조회수 2401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더 나은 내가 되는 일”

사회적 기업가이자 싱가포르 국회의원 캐리 탄 기획 국내 여성운동·사회혁신 활동가 위한 워크숍 열어 “내적 성숙이 이끄는 공동체와 사회문제 해결” 강조 지난 15일 서울 성수동 메리히어(Merry Here) 지하 2층에서 싱가포르...

  • HERI
  • 2022.07.19
  • 조회수 2084

“협동조합 연합해 유통플랫폼 ‘더쎈’ 구축하겠다”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 설명회 ‘함께하는’ 협동조합 비즈니스 생태계 모색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설명회에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신효진...

  • HERI
  • 2022.07.19
  • 조회수 1986

“팬데믹, 전쟁 등 글로벌 위기에 기부 역할 더 커졌죠”

[짬] 세계공동모금회 윌리엄스 회장 안젤라 윌리엄스(왼쪽) 세계공동모금회 회장이 12일 사랑의열매 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조흥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이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나는 인간 내면의 ...

  • HERI
  • 2022.07.14
  • 조회수 2793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0년…‘지속가능한 도약’ 가능할까

9일 ‘제4회 사회적경제 박람회’서 협동조합기본법 평가 현장선 협동조합 법제도·정책의 효과성 체감 미미 “2032년 협동조합 도약 위해 ‘지원’에서 ‘진흥’으로, 중앙 주도에서 지역 중심으로 정책 설계 필요” 지난 9일 경북...

  • HERI
  • 2022.07.12
  • 조회수 1947

전통 리조트로 되살아난 고택…지역 중심 사회적경제가 ‘지방시대’ 이끈다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박람회’ 사회적경제 기반, 다양한 지역발전 사례 쏟아져 정책포럼·광역지원센터협의회 발족 등 눈길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

  • HERI
  • 2022.07.12
  • 조회수 2038

'경주 최부자집’ 나눔 정신과 만난 사회적경제

8~10일 경주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박람회 열려 연대와 혁신 추구…시민 등 3만여명 한 자리에 기재부, 새 정부 사회적경제 4대 정책방향 발표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주화백컨벤션센터 3층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

  • HERI
  • 2022.07.12
  • 조회수 1984

“사회적경제, 진보-보수 경계 없이 사회서비스 혁신 견인해야”

‘제18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개최 사회서비스 건강한 공급 주체로 사회적경제 호명 공공성과 혁신성 도전 지원하는 정책 제안 쏟아져 지난 1일 서울 마포구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

  • HERI
  • 2022.07.05
  • 조회수 1878

“죽음 두려워요”…감정 AI 논쟁에 숨어든 빅테크의 속임수

인공지능 람다와 대화 공개한 구글 개발자 징계, 정직 처분 사람 고유의 특성으로 여겨온 ‘지각하는 존재 생각하는 동물’ 언어모델 발달로 인공지능도 모방 지난 11일 구글의 수석엔지니어 르모인은 대화형 인공지능 ‘람다’가...

  • HERI
  • 2022.06.27
  • 조회수 1784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 뒷받침 없는 메타버스는 ‘거품’에 불과”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특별대담 메타버스, 인터넷의 미래인가 환상인가 23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그래비티서울판교호텔에서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이 열려, 패널들이 '메타버스, 인터넷의 미래인가?환상인...

  • HERI
  • 2022.06.24
  • 조회수 2008

김초엽 작가 “기술 발전이 가져올 변화…휩쓸리기만 해선 안 돼”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특강 김초엽 작가가 `당신의 우주정거장을 상상해보세요’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아무리 첨단 기술이라도 방향성을 고민하지 않는다면 결국 누군가를 배제할 수밖...

  • HERI
  • 2022.06.24
  • 조회수 1863

“빅테크 은밀한 차별 규제해야” vs “규제 둑은 생태계 파괴 우려”

제 1회 사람과 디지털 포럼 원탁회의 빅테크 전문가·기업인, 규제 두고 논쟁 “디지털 시대 노동 변화·실업 대비해야” 23일 경기 성남시 판교 그래비티 호텔에서 열린 제1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 포럼에서 국내외 패널들이 ‘...

  • HERI
  • 2022.06.24
  • 조회수 1650

“빅테크 알고리즘이 인종·성별 ‘은밀한 차별’ 부른다”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함께 가는 디지털의 혁신과 책임’ 23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그래비티호텔에서 열린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개회식 참석자들이 단상에 올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ot...

  • HERI
  • 2022.06.24
  • 조회수 1559

[포토] 모두를 위한 ‘디지털 권력’ 될 수 있나

제1회 사람과디지털포럼 현장 23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그래비티서울판교호텔에서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이 열려 패널들이 ‘거대한 디지털 권력, 모두를 위한 도구의 조건’을 주제로 원탁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

  • HERI
  • 2022.06.24
  • 조회수 1790

제7회 ‘김기원 학술상’ 후보자 공모

통일경제·재벌·노동 등 한국경제 연구 분야 신진 연구자 대상…10월14일까지 접수 고 김기원 한국방송통신대 교수.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대표적인 진보경제학자였던 고 김기원 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의 유지를 잇기 ...

  • HERI
  • 2022.06.22
  • 조회수 1916

촉각 디스플레이, 시각장애인에게 새로운 세상을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 2022 특별 부문 최우수상 | 소셜벤처 닷 소셜벤처 ‘닷’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시각장애인은 촉각과 소리로 세상을 인식하는데, 닷은 촉각디스플레이 등 베리어프리(무...

  • HERI
  • 2022.06.21
  • 조회수 2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