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뉴스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박람회’
사회적경제 기반, 다양한 지역발전 사례 쏟아져
정책포럼·광역지원센터협의회 발족 등 눈길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에서 지역발전에서 사회적경제의 역할 관련 국제동향과 사례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론이 벌어졌다. 왼쪽부터 이민주 주식회사 명주정원 대표, 구승희 온누리국악예술인협동조합 대표, 전인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최동일 국제노동기구(ILO) 스페셜리스트, 강대성 사단법인 굿피플인터내셔널 상임이사, 서종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 박철훈 소셜캠퍼스 온 경북 센터장.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에서 지역발전에서 사회적경제의 역할 관련 국제동향과 사례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론이 벌어졌다. 왼쪽부터 이민주 주식회사 명주정원 대표, 구승희 온누리국악예술인협동조합 대표, 전인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최동일 국제노동기구(ILO) 스페셜리스트, 강대성 사단법인 굿피플인터내셔널 상임이사, 서종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 박철훈 소셜캠퍼스 온 경북 센터장.

#사례1.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엔 낮은 언덕을 등지고 고택 여러 채가 모여 마을처럼 군락을 이루고 있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했던 고택들이 옮겨져 옛 서화의 한 폭처럼 자리잡았지만, 사람들이 떠나면서 관리하지 않아 흉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고심 끝에 경상북도와 안동시의 제안으로 에스케이(SK)행복나눔재단이 호응해 ‘고택을 다시 집으로 되살리는 숙박사업'에 의견을 모아 지역의 청년들이 주체가 된 사회적기업 행복전통마을을 통해 전통 리조트 ‘구름에'로 재탄생시켰다. 고택에서 숙박도 하고, 음악회와 문화공연도 연다. 지역자원인 전통고택을 활용해 지역청년 17명의 일자리도 창출하고,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켜 지역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실현하는 모델이다.

#사례2. 경북 예천군 지보면 대죽리. 마을 입구에 자리잡은 농업회사법인이자 사회적기업인 한국에코팜(대표 김영균)의 트랙터는 4계절 내내 쉴 틈이 없다. 경북에서 ‘용감한 형제들’로 통하는 김영균·상균 형제는 채종단지를 운영해 종자콩의 품종을 테스트하고, 콩·벼·녹두팥 등 국내산 농산물의 종자를 농민들에게 나눠준 뒤 품질 좋은 농작물을 생산해 대기업에 납품한다. 고령화로 농사를 짓기 어려워 비닐하우스에서 품팔이를 해오던 대죽리 30여 농가의 어르신들이 종자 생산으로 안정된 일거리를 찾았다. 명맥이 끊길 뻔한 한국의 종자산업을 대기업인 씨제이(CJ)와 함께 살려내며 소멸위기의 경북 농촌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낸 것이다.

8일, 경북 경주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 105호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에 참여한 발제자, 토론자, 참가자들이 함께 ‘청년을 부르고 지역을 살리는 착한 기업·일자리 만드는 사회적경제·SAVE THE PLANET’ 팻말을 나눠들고 응원구호를 외치고 있다.
8일, 경북 경주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 105호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에 참여한 발제자, 토론자, 참가자들이 함께 ‘청년을 부르고 지역을 살리는 착한 기업·일자리 만드는 사회적경제·SAVE THE PLANET’ 팻말을 나눠들고 응원구호를 외치고 있다.

생산과 소비, 유통과 투자 과정에 협동과 연대, 상생의 가치를 담아내려는 사회적경제의 바람이 지역발전의 풍경을 조금씩 바꿔가고 있다. 지역의 다양한 사회·경제·문화·환경적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주민 기반의 사회적경제가 대안적 지역발전의 주체로 소환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8일 개막한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에선 지역고유의 특성을 살린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하는 정책포럼과 행사가 이어졌다. 8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지역과소셜비즈가 주관한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사회적경제 지역을 살리는 최선의 처방’ 심포지엄과 이튿날인 9일 (사)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와 전국광역사회적경제센터협의회(준)이 주관한 ‘사회적경제 지역정책 활성화를 위한 광역지원센터 공동 과제 모색: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발족식 및 정책 토론회’가 대표적이다.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은 ‘지역경제와 고용창출 국제 동향’과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로 살아난 마을, 공동체 그리고 일자리’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서종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정책연구본부장은 발제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역의 고용과 경제를 어떤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가를 두고 LEED(Local, Employment, Economic, Development) 프로그램을 40년간 운영해왔다. 40주년을 맞이해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의 고용과 경제에 대해 고민하면서 오이시디가 유일하게 채택한 것이 바로 ‘지역고용개발과 사회연대경제 권고안’이라는 점에서 함의가 크다”고 말했다.

박철훈 소셜캠퍼스 온 경북 센터장은 “사회적경제가 지역을 살리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최선의 처방은 맞을 것”이라며, 경북 지역에서 사회적경제 주도로 마을과 공동체, 일자리가 어떻게 살아나고 있는지 현황과 구름에 리조트(#사례1), 한국에코팜(#사례2) 등의 사례를 소개했다.

경상북도 (예비·인증)사회적기업 중심의 사회적경제 현황.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대행사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 자료집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예비·인증)사회적기업 중심의 사회적경제 현황.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부대행사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 자료집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박철훈 센터장은 현황 데이터를 근거로 사회적기업 100개가 더 생길 경우 어떤 일이 발생할지를 통계적으로 추산해 소개하며,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경북에 사회적기업 100개가 더 생기면, 그 중 20개 기업의 대표는 2030 청년세대, 34개 기업은 여성이 대표자다. 100개 중 51개는 읍·면 지역을 근거를 두고 매출액 1820억원이 발생해 3억6440만원을 법인세로 납부하고, 소득세와 주민세로 30억원 이상을 납부하게 된다. 고용인원 중 50%는 취업 취약계층이며, 매년 9130명이 사회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4월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에서 △진정한 지역주도 균형발전 시대 △혁신성장 기반 강화를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지역 고유 특성 극대화 도모의 3대 균형발전 국정과제 기조를 발표했다. 정현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은 인사말에서 “균형발전 기조의 하나인 ‘지역 고유 특성 극대화 도모’와 매칭할 수 있는 고용노동부의 지역특성화사업 등에서 사회적경제기업이 수행 주체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9일, 경북 경주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발족식 및 정책 토론회’에서 전국의 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 관계자들과 참가자들이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발족을 축하하며 기념포즈를 취하고 있다.
9일, 경북 경주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발족식 및 정책 토론회’에서 전국의 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 관계자들과 참가자들이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발족을 축하하며 기념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지역정책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다지는 자리도 마련됐다. (사)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와 전국광역사회적경제센터협의회(준)가 공동으로 주관한 토론회 및 발족식은 전국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이하 협의회)의 공동과제를 모색하고, 공동대표를 선출해 협의회 발족을 축하하고 연대를 다지는 자리였다.

‘광역시·도 사회적경제 정책 이슈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주제로 발제한 문보경 사회투자지원재단 사회적경제연구소 부소장은 협의회의 향후 사업 방향을 제안하며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 어떤 리더십을 행사할 수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성과관리를 통해 증명해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인재양성·제도개선·성과관리 등 협의회가 제한된 자원을 가성비 높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공동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족식에서는 협의회를 이끌어 갈 공동대표 선출이 진행됐다. 공동대표는 사전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강익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강윤정 충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최유진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 등 3명이 지명됐다.

경주/글·사진 조현경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수석연구원 gobogi@hani.co.kr

광역사회적경제지원센터협의회 참여기관 현황(2022년 7월9일 기준)

○ 참여기관: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경기도사회적경제센터, 인천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대구사회적경제지원센터, 경북사회적경제지원센터, 경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 충남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세종사회적경제공동체지원센터, 전북사회적경제지원센터,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참관기관: 부산사회적경제지원센터

※ 대전, 충북, 울산지역 광역센터 미운영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50515.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무한 스크롤’ 개발 디자이너도 나섰다…“이젠 정지신호 복원할 때”

속임수 설계와 디자인 윤리 매끄러운 사용자경험·디자인 추구 ‘무한스크롤’ 혁신기능이 중독 불러 웹 고도화는 전문가 윤리의식 요구 사용자가 원치 않는 프로그램까지 함께 설치하는 ‘바구니에 숨겨넣기’는 대표적인 다크 패턴...

  • HERI
  • 2022.09.05
  • 조회수 1497

‘100세 시대’ 일하는 노인 ‘실업 안전망’이 없다

가사·돌봄 유니온, ‘노인고용 안정 위한 정책협약식’ 고용보험법, 65살 이후 신규취업 고용보험 안돼 고용보험 가입과 실업급여 적용 등 촉구 서명운동 한국노총 전국연대노조 가사·돌봄서비스 노동조합·노후희망유니온·한국가사노동...

  • HERI
  • 2022.09.02
  • 조회수 1537

가격 그대로인데 ‘오늘만 핫딜’…합법과 기만 사이 ‘다크패턴’

IT기술·심리학적 연구 활용한 이용자 반응 유도 효율화 설계 자동화·AI 덕분 개인별 맞춤화 기술 무한스크롤·자동재생·가격 차등화 중독 유발하는 ‘2세대 다크패턴’ 우려 한국소비자원 보고서에서 ‘눈속임 설계’ 사례로 제시한...

  • HERI
  • 2022.08.22
  • 조회수 1493

“전기·가스 통합한 독립된 에너지규제위원회 신설하자”

<한겨레>, 전력요금 정책토론회 개최 연료가격 변화 반영한 요금 정상화 필요 요금의 ‘탈정치화’ 위한 거버넌스 개선도 독점적 전력판매시장 개방 필요성 제기 “정상화에 필수”-“민영화 우려” 엇갈려 5개 화력발전 공기업의 ...

  • HERI
  • 2022.08.11
  • 조회수 1610

전력요금 정책 개선방안 찾는 토론회 11일 열린다

<한겨레> 주최로 서울 본사 청암홀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위한 대안 모색 전기위원회 독립·전문성 강화 방안 관심 중장기 전력거래시스템 개선에도 주목 정연제 박사·유승훈 교수 주제발표 맡아 학계·소비자·환경·노사·정부 ...

  • HERI
  • 2022.08.03
  • 조회수 2090

변형윤 선생 ‘학현학술상’ 확대에 “생각 못했는데 고맙다”

[짬] 서울사회경제연구소 명예이사장 변형윤 명예교수 학현 변형윤 선생이 지난 22일 오후 서울 사직로 서울사회경제연구소에서 ‘학현학술상’ 확대 개편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생각지도 못...

  • HERI
  • 2022.07.28
  • 조회수 2296

“스케치 못해도 예술 가능”… 창작환경 지각변동 오나

AI 창작도구의 예술계 영향 ‘컴퓨터하는 이집트 동물신’ ‘쇼핑하는 기린’ 등 글쓰면 인공지능이 이미지샘플 제시 월 15달러에 460개 사용가능 삽화 등 상업적 활용도 가능 디자이너 ‘AI 활용능력’ 중요 인공지능이 문장에...

  • HERI
  • 2022.07.26
  • 조회수 2412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더 나은 내가 되는 일”

사회적 기업가이자 싱가포르 국회의원 캐리 탄 기획 국내 여성운동·사회혁신 활동가 위한 워크숍 열어 “내적 성숙이 이끄는 공동체와 사회문제 해결” 강조 지난 15일 서울 성수동 메리히어(Merry Here) 지하 2층에서 싱가포르...

  • HERI
  • 2022.07.19
  • 조회수 2102

“협동조합 연합해 유통플랫폼 ‘더쎈’ 구축하겠다”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더쎈’ 설명회 ‘함께하는’ 협동조합 비즈니스 생태계 모색 15일 서울시 마포구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상호거래 플랫폼 설명회에 160여명의 협동조합 관계자가 참석했다. 신효진...

  • HERI
  • 2022.07.19
  • 조회수 1998

“팬데믹, 전쟁 등 글로벌 위기에 기부 역할 더 커졌죠”

[짬] 세계공동모금회 윌리엄스 회장 안젤라 윌리엄스(왼쪽) 세계공동모금회 회장이 12일 사랑의열매 회관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조흥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이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나는 인간 내면의 ...

  • HERI
  • 2022.07.14
  • 조회수 2813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10년…‘지속가능한 도약’ 가능할까

9일 ‘제4회 사회적경제 박람회’서 협동조합기본법 평가 현장선 협동조합 법제도·정책의 효과성 체감 미미 “2032년 협동조합 도약 위해 ‘지원’에서 ‘진흥’으로, 중앙 주도에서 지역 중심으로 정책 설계 필요” 지난 9일 경북...

  • HERI
  • 2022.07.12
  • 조회수 1966

전통 리조트로 되살아난 고택…지역 중심 사회적경제가 ‘지방시대’ 이끈다

‘제4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박람회’ 사회적경제 기반, 다양한 지역발전 사례 쏟아져 정책포럼·광역지원센터협의회 발족 등 눈길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북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발전과 사회적경제’ 심포지엄...

  • HERI
  • 2022.07.12
  • 조회수 2057

'경주 최부자집’ 나눔 정신과 만난 사회적경제

8~10일 경주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박람회 열려 연대와 혁신 추구…시민 등 3만여명 한 자리에 기재부, 새 정부 사회적경제 4대 정책방향 발표 지난 8일 오후 경북 경주시 보문로 경주화백컨벤션센터 3층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

  • HERI
  • 2022.07.12
  • 조회수 2006

“사회적경제, 진보-보수 경계 없이 사회서비스 혁신 견인해야”

‘제18회 사회적경제 정책포럼’ 개최 사회서비스 건강한 공급 주체로 사회적경제 호명 공공성과 혁신성 도전 지원하는 정책 제안 쏟아져 지난 1일 서울 마포구 한겨레신문사 청암홀에서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

  • HERI
  • 2022.07.05
  • 조회수 1896

“죽음 두려워요”…감정 AI 논쟁에 숨어든 빅테크의 속임수

인공지능 람다와 대화 공개한 구글 개발자 징계, 정직 처분 사람 고유의 특성으로 여겨온 ‘지각하는 존재 생각하는 동물’ 언어모델 발달로 인공지능도 모방 지난 11일 구글의 수석엔지니어 르모인은 대화형 인공지능 ‘람다’가...

  • HERI
  • 2022.06.27
  • 조회수 1801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 뒷받침 없는 메타버스는 ‘거품’에 불과”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특별대담 메타버스, 인터넷의 미래인가 환상인가 23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그래비티서울판교호텔에서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이 열려, 패널들이 '메타버스, 인터넷의 미래인가?환상인...

  • HERI
  • 2022.06.24
  • 조회수 2023

김초엽 작가 “기술 발전이 가져올 변화…휩쓸리기만 해선 안 돼”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특강 김초엽 작가가 `당신의 우주정거장을 상상해보세요’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아무리 첨단 기술이라도 방향성을 고민하지 않는다면 결국 누군가를 배제할 수밖...

  • HERI
  • 2022.06.24
  • 조회수 1882

“빅테크 은밀한 차별 규제해야” vs “규제 둑은 생태계 파괴 우려”

제 1회 사람과 디지털 포럼 원탁회의 빅테크 전문가·기업인, 규제 두고 논쟁 “디지털 시대 노동 변화·실업 대비해야” 23일 경기 성남시 판교 그래비티 호텔에서 열린 제1회 한겨레 사람과 디지털 포럼에서 국내외 패널들이 ‘...

  • HERI
  • 2022.06.24
  • 조회수 1664

“빅테크 알고리즘이 인종·성별 ‘은밀한 차별’ 부른다”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 포럼 ‘함께 가는 디지털의 혁신과 책임’ 23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그래비티호텔에서 열린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 개회식 참석자들이 단상에 올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ot...

  • HERI
  • 2022.06.24
  • 조회수 1574

[포토] 모두를 위한 ‘디지털 권력’ 될 수 있나

제1회 사람과디지털포럼 현장 23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그래비티서울판교호텔에서 제1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포럼’이 열려 패널들이 ‘거대한 디지털 권력, 모두를 위한 도구의 조건’을 주제로 원탁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

  • HERI
  • 2022.06.24
  • 조회수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