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회
유럽은 대부분 공유지에 텃밭정원 설치
아바나 중심의 쿠바, 식량 공급에 초점
일본은 체류형 시민농원으로 발전시켜
시골로 가야만 전원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도시농업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언스플래시
시골로 가야만 전원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도시농업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언스플래시

도시농업은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왔다. 독일의 클라인가르텐이나 영국의 얼로트먼트 가든처럼 유럽에서는 도시 구획 안에 작은 정원이나 텃밭 형태로 자리 잡았다. 대부분은 공유지에 설치돼 있고, 공동체 가치를 중시하는 지역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다. 생태도시 아바나로 유명한 쿠바는 식량 공급에 초점을 두었고, 일본은 외국의 선례를 바탕으로 체류형 시민농원을 선보였다. 우리나라도 도시 주변 텃밭과 주말농장을 중심으로 도시농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다.

일본은 20세기 초 영국의 얼로트먼트 가든이 도쿄에 소개되면서 도시농업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1974년 제정된 녹지법이 시가지의 농지를 보전하는 데 뒷받침이 됐다. 현재 일본의 시민농원은 새로운 형태의 생태관광으로 발전해가는 중이다. 빌딩의 옥상 텃밭은 물론, 지하철(전철) 선로 위에도 시민농원을 조성하는가 하면 건물 지하에서 채소나 벼를 재배하기도 한다.

쿠바의 수도 아바나도 도시농업이 발전한 곳이다. 소련 붕괴 이후 쿠바에서 비료와 살충제 등을 구할 수 없게 되자 유기농업과 병충해 방지 기술이 발달했고 여기에 운송 비용 절감과 생계를 위한 노력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도시농업을 촉진시켰다. 아바나에서 소비되는 농작물의 80~90%는 도시 전역에 소규모로 흩어져 이뤄지는 텃밭 또는 농장에서 생산한 것이다.

러시아인들의 주말농장 ‘다차’는 도시민 절반이 이용할 정도다. 다차는 통나무로 지은 오두막집과 텃밭이 딸린 작은 농장을 뜻하는데, 주말을 이용해 머무르며 농사와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한다. 정부가 1970년대 말부터 80년대 초에 걸쳐 땅을 무상분배하면서 다차는 러시아인들에게 삶의 중요한 일부가 됐다. 다차 역시 경제난 때에는 식량을 자급자족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홍대선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어젠다센터장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61071.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내집에선 장애없는 삶…‘우리동네 장집사’가 달려옵니다

나눔이 희망이다 _ ① 장집사와 따뜻한동행 ‘장집사’ 회원 김동혁씨가 12월5일 서울 방화동의 한 아파트 주택에서 시각장애인 집주인의 요청에 따라 주방 환풍기 교체작업을 하고 있다.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이리 와...

  • HERI
  • 2022.12.12
  • 조회수 733

독일 금속노조 ‘전환네트워크’… 자동차 산업의 정의로운 전환은?

한독경상학회·독일 에버트재단 주최 ‘자동차산업 정의로운 전환’ 심포지엄 독일 금속노조 주도…정치적 영향력 행사 2020년 연방정부 10억유로 ‘전환펀드’ 조성 지난 2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독경상학회(KDGW)와 독일 프리...

  • HERI
  • 2022.12.05
  • 조회수 923

‘부자감세’와 ‘약자복지 확대’…두 마리 토끼 다 잡았다고?

2023년도 정부 예산안 논란 윤 대통령 ‘약자복지’ 강조…자연증가분 뺀 복지 감소 분석도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월25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검찰의 당사 압수수색에 항의해 보이콧한 가운데 2023년도...

  • HERI
  • 2022.11.21
  • 조회수 777

“한우 온실가스 배출량 0.9%뿐…학교급식 채식 강요는 잘못”

정승헌 한우정책연구소장 인터뷰 정승헌 한우정책연구소장이 10월27일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nai.co.kr “한우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내 전체(7억톤)의 0.9%에 불과하다. 한우를 먹는 것을...

  • HERI
  • 2022.11.14
  • 조회수 736

온난화에 치명적인 메탄 방출 늘어…육식 줄여야 할까

가축이 내뿜는 메탄 농도 역대 최대 분뇨에서 나오는 아산화질소도 증가 메탄 등은 CO2보다 온난화 효과 커 올여름 아프리카에 닥친 극심한 가뭄으로 사료를 제대로 먹지 못한 소들이 11월8일 케냐의 한 마을 우물가에서 물을...

  • HERI
  • 2022.11.14
  • 조회수 853

‘학원 압박’ 벗어던진 도시 아이들…“농촌으로 유학왔어요”

⑧‘관계인구’로 활력 찾은 한드미마을 충북 단양 소재 농·산촌 체험 마을 농촌유학 사업 통해 폐교 되살리고 지속 교류로 젊은층 유입·관계인구 늘려 지난달 15일 한드미마을에서 3년 만에 열린 가을한마당 축제에 참석한 학부...

  • HERI
  • 2022.11.07
  • 조회수 806

농촌·도시·디지털 하나로…프랑스, ‘지역결속국가청’서 정책 결정

농산어촌이 미래다 ⑦송미령 농촌경제연 단장 방불기 송미령 농촌경제연구원 균형발전연구단장이 지난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에서 프랑스 ‘지역결속국가청’ 방문 성과에 관해 인터뷰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

  • HERI
  • 2022.10.24
  • 조회수 1360

조선업 미래, ‘하청노동·지역소멸·탄소중립’에 달렸다

14일 ‘조선산업 전환’ 토론회 열려 산업·노동·지역 포괄한 방안 논의 “하청노동 문제 해결 못하면 수주 늘어도 인력난 해소 못해” “조선소 지역소멸 막기 위한 지역 노사정 대화 필요” 탄소중립은 위기이자 기회 신규고용...

  • HERI
  • 2022.10.17
  • 조회수 1062

식량 공급 그 이상…진화 중인 세계의 도시농업

유럽은 대부분 공유지에 텃밭정원 설치 아바나 중심의 쿠바, 식량 공급에 초점 일본은 체류형 시민농원으로 발전시켜 시골로 가야만 전원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의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도시농업은 하나의 대안이...

  • HERI
  • 2022.10.04
  • 조회수 872

삭막한 도시에서 걸어서 5분…‘나만의 정원’이 나온다면

⑥ ‘도심 텃밭정원’ 독일 클라인가르텐 채소 키우며 아이들 뒹굴고 어른 휴식처 집 근처 조성, 자연 그대로 소박함 즐겨 공공용지 평균 300㎡·전국 150만개 임대 사회적 약자 우선 배려…개방형으로 진화 코로나 팬데믹에 수...

  • HERI
  • 2022.10.04
  • 조회수 1070

일본 작은 농촌마을 가와바, 200만 관광객 몰리는 까닭은?

농산어촌이 미래다 ⑤ ‘농촌소멸’ 극복한 모범마을 가다 도쿄 세타가야와 41년째 도농 교류 매년 7만명 방문…마을 살리기 토대 ‘농업+관광’ 융합, 관광 명소로 변신 일본 군마현의 작은 전원마을인 가와바가 연간 200만명의 ...

  • HERI
  • 2022.09.19
  • 조회수 2174

올겨울은 괜찮다지만…러시아발 ‘가스대란’ 장기화 대비해야

유럽 가스대란 “혹독한 겨울” 예고 ‘샤워 5분 안에 끝내기’ ‘신호등 소등’ 에너지 소비 줄이기 안간힘 독일 내년 전기료 10배 인상 예정 프랑스는 에너지 배급제 검토 유럽, 러시아 가스 대체재 확보 나서 한국과 LNG...

  • HERI
  • 2022.09.05
  • 조회수 982

“출산율 0.5까지 떨어질 것…앞으로 5년, 마지막 골든타임”

인터뷰 전영수 한양대 교수 “인구문제의 심각성 오래전 경고됐지만 지표와 현실 체감의 괴리 굉장히 커 도농 격차 심화와 수도권 자원 독점 속 비교 열위의 청년들은 밀려날 수밖에” “인구 대응 골든타임, 앞으로 5년이 마지...

  • HERI
  • 2022.08.29
  • 조회수 1269

“전기요금 ‘탈정치화’ 위한 독립된 에너지 규제기관 필요”

제1회 사회적 합의 위한 에너지 정의 포럼 ‘탄소중립 위한 전력정책’ 토론회 개최 “에너지 규제 거버넌스 개선” 공감대 유승훈 “물가 우선하며 늘 정치 개입” 조홍종 “금통위 준하는 인력·예산 독립” 임원혁 “준칙 확...

  • HERI
  • 2022.08.16
  • 조회수 1233

‘6개월 살기’로 시작한 귀촌 실험…“2030, 재미가 중심돼야”

④ 2030이 귀촌하는 일본 산골마을 ‘마을 살리기’ 실무총괄 다케우치 국장 다케우치 가즈히로 ‘그린밸리’ 사무국장이 7월29일 화상 인터뷰를 하고 있다. “결과에만 주목하지 말고, 가미야마 마을이 그동안 지역재생을 위해 어...

  • HERI
  • 2022.08.08
  • 조회수 1270

소멸 문턱 섰던 일 산골마을, 2030 귀촌 행렬 맞이한 비결

④ 2030이 귀촌하는 일본 산골마을 ‘소멸마을’로 분류 일 가미야마…원격근무 IT기업 대거 유치 마을육아·보육 지원…지역연계·국제교류 수업에 고교도 인기 지역농산물 식재료 레스토랑 등 주민-이주자 ‘윈윈’ 순환경제 지난 7...

  • HERI
  • 2022.08.08
  • 조회수 1606

더 가팔라진 ‘인구절벽’…“10년 내 반전의 기회 찾아야”

0점대 합계출산율…4년 연속 1명 밑돌아 급기야 총인구도 정부수립 이후 첫 감소 소비·노동 감소, 잠재성장률 하락 경고등 인구감소 원인 복잡, 생애전반 정책 필요 저출산 대응 넘어 적응 정책 병행 주장도 “인구구성 변화는...

  • HERI
  • 2022.08.01
  • 조회수 1311

정운찬 전 총리 “윤 정부 인사 ‘동반성장’에 경제 망했다고 말해”

동반성장연구소 10주년 인터뷰 양극화 방치하면 경제·사회 모두 파탄 경제 키우되, 부자가 가난한 사람 배려를 일부 신자유주의자만 동반성장을 부정 정부에 동반성장 의지 있는 사람 안보여 검사 중심 인사편중, 다양성 잃어 위...

  • HERI
  • 2022.07.19
  • 조회수 1323

대법관·헌법재판관 대거 교체…윤 정부 ‘사법권력’ 재편 어디로

윤석열 정권 임기 5년 안에 헌법재판관 9명 전원 교체 대법관도 14명 중 12명 바뀌어 ‘서오남’ 인사 부활시킨 윤 대통령 대법원·헌재 보수 우위 구도 만들 듯 정당해산 같은 역주행 판결 나올까 2018년 6월28일 양심적 병...

  • HERI
  • 2022.07.11
  • 조회수 1059

“고스란히 1억원 날렸어요…이렇게 귀농하면 안됩니다”

③ 귀농·귀촌, 이상과 현실 사이 강원 횡성 정착 강성원·배윤정 부부 도시의 팍팍한 삶에 지쳐 귀촌 실행 무작정 농가주택부터 짓다 사기당해 “사전준비·교육 중요성 뼈저린 체험” 한해 귀농·귀촌 인구 50만명 시대 땅값 오르...

  • HERI
  • 2022.07.04
  • 조회수 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