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과 비정규직 그리고 선택
제목 : 실적과 비정규직 그리고 선택
[ 개요 ]
{ 여는글 } 다음의 글은 논문식,기고식,수필식등 다채롭게 구현되고 있습니다.특히,안전망편 성공원(봉사성 공익 공무원제)과 임금규칙의 내용을 요점화하여 함축한 글이라 할 수...
|
먹거리 내수안정과 농어촌 특성화
제목 : 먹거리 내수안정과 농어촌 특성화
[ 개요 ]
{ 여는글 } 다음의 글은 논문식,기고식,수필식등 다채롭게 구현되고 있습니다.특히,농사천하지대본편의 내용을 요점화하여 함축한 글이라 할 수 있습니다.또한,예술건축관광...
|
거액 의료교육과 멀어지는 서민층
제목 : 거액 의료교육과 멀어지는 서민층
[ 개요 ]
{ 여는글 } 다음의 글은 논문식,기고식,수필식등 다채롭게 구현되고 있습니다.또한,예술건축관광특구,농사천하지대본,안전망,정도와 과제 및 기타의 글들과 연계되는 글이며 ...
|
선지급 등록금 제도와 후과정의 길
제 목 : 선지급 등록금 제도와 후과정의 길
[ 개요 ]
{ 여는글 } 다음의 글은 논문식,기고식,수필식등 다채롭게 구현되고 있습니다.또한,예술건축관광특구,농사천하지대본,안전망,정도와 과제 및 기타의 글들과 연계되는 글이며...
|
[싱크탱크 광장] “생태·에너지·농업 통합한 지속발전정책 모색할 때”
칼럼[싱크탱크 광장] “생태·에너지·농업 통합한 지속발전정책 모색할 때” 등록 : 2012.04.03 19:49 이숙진 젠더사회연구소 소장(왼쪽)과 김은경 지속가능발전센터 ‘지우’ 대표가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경제...
|
[싱크탱크 광장] 케인지언 사민주의·오큐파이 운동 등 ‘시장 치료’ 모색
칼럼[싱크탱크 광장] 케인지언 사민주의·오큐파이 운동 등 ‘시장 치료’ 모색 등록 : 2012.03.06 19:46 자본주의 위기 해법 논의 어디쯤 왔나?지난해 말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가 세계로 번지면서 망가진 자본주의를 어떻게 ...
|
[싱크탱크 광장] 일자리·고령화도 SNS 통한 ‘큰 사회’ 만들어 해결한다
칼럼[싱크탱크 광장] 일자리·고령화도 SNS 통한 ‘큰 사회’ 만들어 해결한다 등록 : 2012.01.31 19:55 2010년 6월 ‘소셜이노베이션 캠프 36’에 참여한 소셜인 팀이 시민들의 정책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개발...
|
[싱크탱크 광장]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넘어선 근로빈곤의 해결”
칼럼[싱크탱크 광장]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 넘어선 근로빈곤의 해결” 등록 : 2012.01.03 19:33스크랩 이메일 프린트 facebook263 김진방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 ‘선택 2012’- ① 경제 민주화 김진방 교수 인터뷰2012년은 한국...
|
[SEN] 2011 SVCA(아시아 소시얼 벤처대회)기본아이디어 접수
|
사이트 개편을 축하합니다.
앞으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사이트가 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HERI 화이팅!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⑥ 국민연금의 의결권 강화, 내년 봄 주총은 격렬할 것인가?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⑥ 국민연금의 의결권 강화, 내년 봄 주총은 격렬할 것인가? » 전삼현 기업법률포럼 대표(숭실대 교수)와 김정호 자유기업원 원장, 신경민 <문화방송> 전 앵커, 오건...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⑤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어떻게 볼 것인가?
“많은 매출·이익 올리는 것만이 전부가 아냐”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⑤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어떻게 볼 것인가?
» 다섯번째 직선토론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어떻게 볼 것...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④ 공정사회 만들기인가, 대기업 때리기인가
“동반성장, 거래조건 공정성 확보하는 것” “기업보다는 경쟁 보호가 소비자 위한 일”
»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자유기업원에서 열린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에서 참석자들이 대·중소기업 상생정책을 주제로 열띤 공방을...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③ 반값등록금 논란- 대학교육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싱크탱크 광장]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③ 반값등록금 논란- 대학교육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 ‘직선토론’ 토론자들이 지난 8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스튜디오에서...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② 스웨덴 보편복지, 우리의 미래인가?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②-스웨덴 보편복지, 우리의 미래인가?
» 제2회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의 사회를 맡은 신경민 문화방송 전 앵커(가운데)와 토론자들이 지난 10일 한겨레신문사에...
|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① 한국사회의 자유와 책임을 말한다
한겨레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 공동기획
김정호 “갑의 횡포도 있지만 재벌들 상당히 민주화돼” 이원재 “재벌 상속보면 시장친화적이라 보기 힘들어”
» 한겨레경제연구소와 자유기업원이 공동기획한 ‘직선토론: 자유와 책임’...
|
한겨레경제연-자유기업원 ‘직선토론’
» 한겨레경제연-자유기업원 ‘직선토론’ . 김태형 기자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자유기업원과 함께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를 정례적으로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5월부터 약 1년간 매달 한차례씩 열리고 있는 이 토론회는 이름을 ...
|
좌담/정책, 공약 그리고 한국정치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과 이용섭 민주당 의원의 좌담은 ‘정책, 공약, 그리고 한국 정치’를 주제로 3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가량 국회 의원회관 이한구 의원실에서 진행됐다. 사회는 홍일표 한겨레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 맡았다. ...
|
[HERI의 눈] ‘녹색지구 지키기’는 우리 모두의 일
유난히 추웠던 겨울을 건너 봄이 왔다. 불청객 황사도 따라올 것이다. 생각해보면 20년 전만 해도 황사가 이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황사뿐 아니라 큰눈과 큰비가 잦아지고, 봄가을은 짧아지는 등 우리는 기후와 환경, 생태계가 ...
|
[싱크탱크맞대면] 환경문제 시장에 못맡겨…강력규제로 방향 틀어야
온실가스 합리화하는 ‘거래제’ 기업 이익보장 성격으로 변질 ‘한국형 탄소세’도 고려해 볼만
» 이정필 이명박 정부가 내세운 ‘세계 7대 녹색강국’보다 세계 7대 온실가스 배출강국을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 ‘배출 권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