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칼럼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의 특별 사면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의 특별 사면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20220721503319.jpg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요즘 세종시의 관가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듯하다. 각 부처 관료들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한 전직 고위관료는 “후배들을 만나면 각 부처가 주도적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전혀 아니라고 한다”고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회에서 장관들에게 “스타장관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중략) 자신감을 갖고 언론에 자주 등장해서 국민에게 정책에 대해 설명하라”고 당부했다. 30%대 초반까지 급락한 지지율을 반등시키기 위해 소통 강화를 주문했다고 하지만, 각 부처가 적극적으로 뛰지 않고 있음을 대통령도 인정한 셈이다.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가 파업에 돌입한 것은 6월2일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파업 현장을 찾은 것은 지난 19일로, 사태 발발 48일째 시점이었다. 그나마 대통령의 공권력 투입 시사 발언 이후 부랴부랴 움직였다고 봐야 한다. 문재인 정부 출신 인사는 “이전 정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혀를 찼다.

지지율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 민생경제 대책 미흡도 같은 맥락이다. 서민들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이라는 ‘3각 퍼펙트 스톰’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절박감이나 위기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문재인 정부가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2020년 코로나 위기 때 매일 같이 비상대책회의를 연 것과 대비된다. 국민의 실망과 분노가 당연하다.

새 정부가 한껏 탄력을 받아 의욕적으로 일할 시점에,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대통령은 지난 11일부터 부처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과거 관례를 깨고 대통령이 장관으로부터 1대1 보고를 받는 파격적인 방식이다. 그런데 장관이 준비한 업무계획을 제대로 보고하지 못하는 일이 잦다고 한다. 대통령이 장관 얘기를 조금 듣다가, 그만 됐다고 끊은 뒤 자기 말만 한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대통령의 긴 얘기에서 정작 정리할 내용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정부가 성과를 내려면 장관의 충실한 보고-대통령의 명확한 지시-부처의 효율적 집행이라는 프로세스가 일사분란하게 진행돼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시스템이 무너진 것 같다.

윤석열 대통령이 ‘준비 안 된 대통령’이라는 것은 국민도 안다. 검찰총장을 그만둔 지 불과 100여일만에 정치에 뛰어들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하다. 국민은 준비 안 된 대통령의 리스크를 알면서도 문재인 정부의 심판을 위해 선택을 했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윤 대통령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려면 유능한 인재를 과감히 등용해서 좋은 의견을 많이 들어야 한다. 그리고 권한을 충분히 위임해서 좋은 성과를 낳도록 해야 한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제나라 환공이 첫 패자가 된 데는 재상인 관중의 공이 절대적이었다. 환공은 자신을 죽이고 형을 군주로 옹립하려 한 관중을 재상으로 발탁하는 뛰어난 용인술을 발휘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자신을 주변을 측근들로 둘러싸는 데 급급하다. 또 장관들의 얘기를 듣기보다 자기 말만 앞세운다.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경제위기에 따른 민생대책 미흡, 잦은 인사실패, 여당 내분 등 여러 요인이 꼽힌다. 그 중심에는 자신의 준비부족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하기는커녕 오히려 키우고 있는 ‘아마추어 대통령’이 있다. 대통령이 국정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정권의 거버넌스 위기다.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을 계기로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 여건은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정책 난맥상이 심각하다. 그중에서도 경제분야가 가장 심하다. 새 정부는 친기업을 내걸고 재벌·부자 감세와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대기업 성장을 통해 경제를 살리겠다는 낙수효과론이다. 하지만 이는 오래전에 사망선고를 받았다. 흘러간 물로 물레방아를 돌리려는 격이다.

정책의 방향이 불분명하다 보니 서로 충돌하는 일도 잦다. 새 정부는 재정 건전성 강화를 거시적 국정목표로 제시했다. 당장 법인세와 종부세 인하 등 재벌·부자 감세와 상충된다.

윤석열 정부는 산업부 블랙리스트사건,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 북한어민 북송 사건 등 ‘문재인 정부 때리기’에 올인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도 집권초 적폐청산을 대대적으로 벌였다. 하지만 전선을 너무 넓히다 보니 사회 갈등을 심화하고, 국정 에너지를 낭비했다. 개혁 대상을 과거정권과 보수로 한정하면서 내로남불 논란도 자초했다. 오랫동안 쌓여있는 각종 부조리와 불합리를 일소해서 미래를 새롭게 열라는 촛불혁명 정신과 배치된다는 논란도 낳았다. 결과적으로 탄핵을 지지했던 80% 가까운 촛불연합세력이 분열됐고, 2022년 대선 패배의 큰 요인이 됐다.

윤석열 정부는 과거 여당(국민의힘)도 문재인의 적폐청산에 반대했던 것을 잊고 ‘문재인의 실패’를 답습하려는 것 같다. 가뜩이나 준비안된 대통령이 당면과제의 해결을 위해 골머리를 싸매고 밤을 새워도 쉽지 않은 판에 힘을 낭비할 여유가 있는지 의문이다.

무소속 양향자 의원은 윤 대통령을 향해 “대통령이 프로답지 못하다”고 쓴소리를 했다. 윤 대통령도 “대통령을 처음 해봐서”라고 말한 것을 보면 이를 아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다면 지금이라도 이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아마추어 대통령’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책의 난맥상을 바로잡고, 무리한 ‘윤석열식 적폐청산’도 중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지율 회복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한겨레에서 보기 :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51871.html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윤 대통령의 ‘가짜뉴스’ 장사 [유레카]

윤석열 대통령과 가짜뉴스. 김재욱 화백 윤석열 대통령이 ‘가짜뉴스’를 직접 입에 올리는 일이 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출근길 회견에서 “엠비시(MBC)에 대한 전용기 탑승 배제는 우리 국가 안보의 핵심 축인 ...

  • HERI
  • 2022.12.13
  • 조회수 527

[아침햇발] 이재용 회장의 ‘약속’이 진심이라면 / 곽정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지난 10월28일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협력회사 디케이를 방문해 생산라인을 돌아보고 있다. 회장 승진 이후 첫 방문지로 협력업체를 선택한 것은 상생경영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 HERI
  • 2022.11.30
  • 조회수 631

윤 대통령은 존슨이 선물한 ‘처칠 팩터’ 내팽개쳤나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5월9일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어맨다 밀링 영국 국무장관으로부터 보리스 존슨 당시 영국 총리가 직접 쓴 책 <처칠 팩터>를 전달받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ㅣ 경제사회...

  • HERI
  • 2022.11.25
  • 조회수 688

[유레카] ‘머스크의 트위터’ 성패보다 중요한 것 / 구본권

머스크의 트위터. 김재욱 화백 2006년 7월 등장한 트위터는 스마트폰 시대와 맞물려 인류의 정보 이용 방식을 바꾼 소셜미디어다. 휴대전화 문자의 글자수 한도처럼 140자까지만 글을 쓸 수 있는 단문메시지 공유서비스로 출발했...

  • HERI
  • 2022.11.21
  • 조회수 678

[아침햇발] 윤석열의 ‘무능 리스크’ / 곽정수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 조문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이태원에서 안타까운 참사가 일어난 지 나흘...

  • HERI
  • 2022.11.02
  • 조회수 740

[유레카] 차별마저 학습한 챗봇, ‘이루다’가 돌아왔다 / 구본권

챗봇 이루다. 김재욱 화백 국내 인공지능 기업 스캐터랩이 개발한 채팅로봇(챗봇) ‘이루다’가 지난 27일 서비스를 재개했다. ‘스무살 여대생’ 챗봇이 이용자들의 왜곡된 성관념, 혐오 발언을 학습하고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

  • HERI
  • 2022.11.01
  • 조회수 600

지도에도 없는 길 들어섰는데, 뒤만 보는 운전자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마친 뒤 텅 빈 야당 의원석을 지나 퇴장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봉현 ㅣ 경제사회연구원장 겸 논설위원 강원도 태백에는 ‘삼수령’이라...

  • HERI
  • 2022.10.28
  • 조회수 694

추경호 부총리, 무지한 건가 뻔뻔한 건가? [아침햇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월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1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은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한국은 영국...

  • HERI
  • 2022.10.12
  • 조회수 812

착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봇’

[유레카]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인수하기로 한 트위터와 봇 테슬라의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지난 4월 440억달러(약 62조원)에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위터를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뒤집었다. 머스크는 7월 트위터...

  • HERI
  • 2022.10.11
  • 조회수 577

택시가 잡히지 않는 밤에 타다를 ‘복기’하며 / 이봉현

[아침햇발] 코로나 팬데믹 이후 택시기사가 배달 등으로 대거 이직해 수도권에서 밤 시간 택시 잡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지난 4월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자정이 넘은 시간에 시민들이 택시를 잡기 위해 길거리에 서 있다. 연...

  • HERI
  • 2022.10.05
  • 조회수 796

[유레카] 등반가 쉬나드가 연 ‘자본주의의 새 길’ / 구본권

파타고니아 창립자 이본 쉬나드. 김재욱 화백 한동안 극점과 8000m대 봉우리는 숱한 생명을 삼킨 모험과 과시적 국가주의의 대상이었다. 1964년 중국 시샤팡마(8027m)를 끝으로 8000m 14좌 모두에 사람 발길이 닿고, 1986년 라인홀...

  • HERI
  • 2022.09.26
  • 조회수 888

[아침햇발] 전현희 위원장에 박수를 보내는 이유 / 곽정수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감사원의 감사 재연장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면서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감사원은 직무상 대통령으로부터도 독립된 위...

  • HERI
  • 2022.09.16
  • 조회수 740

[아침햇발] 한가위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 이봉현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은 태양보다 몇배 더 큰 무거운 별들의 고향으로, 우리은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성운 가운데 하나다. 미 항공우주국 제공 이봉현 | 경제사회연구원...

  • HERI
  • 2022.09.13
  • 조회수 828

‘심심한 사과’ 문해력 논쟁과 ‘헤어질 결심’ 서래에게 배울 것 [유레카]

청소로봇 룸바, 지뢰탐지 로봇 팩봇 등을 개발한 미국의 로봇공학자 로드니 브룩스는 최근 창고로봇 카터를 선보였다. 작업자의 동작을 판독해 사람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이 로봇에 대해 외신들은 ‘사람의 몸짓언어를 해독하는...

  • admin
  • 2022.08.24
  • 조회수 948

[아침햇발] 유럽은 올겨울이 두렵다는데, 우리는? / 이봉현

천연가스 소비의 55%를 러시아산에 의존했던 독일은 러시아의 가스 공급 축소 등으로 올겨울 가스 소비를 20% 줄여야 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가스 공급망의 핵심을 이루는 ‘오픈 그리드 유럽’의 가스압축 시...

  • HERI
  • 2022.08.22
  • 조회수 939

[유레카] 제트세대의 문해력 ‘수평적 읽기’ / 구본권

페이스북은 코로나19와 관련된 허위정보 게시물을 삭제하던 정책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페이스북은 초기엔 “표현 자유”를 내걸고 백신음모론 등 허위정보를 방치했는데 비판이 높아지자 방침을 바꿔 지난 2년간 2500만...

  • HERI
  • 2022.08.22
  • 조회수 623

[아침햇발] 기업이 ‘반칙’하기 좋은 나라 / 곽정수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임 100일을 맞아 연 첫 공식 기자회견에서 소회와 국정운영 구상을 밝히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곽정수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선임기자 “법과 윤리를 위반한 임직원...

  • HERI
  • 2022.08.19
  • 조회수 641

“일주일내 범죄 발생 예측 정확도 90%” AI 도입 득될까?

시카고 구역별 범죄 발생확률 AI, 높은 정확도 예측 불구 유색인종, 빈곤층 과잉 대표 채용시 민감정보 배제해도 성·인종 추정가능 대리지표로 ‘비의도적 차별’ 만들어내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데이터 차별 만연한 사회현실 반...

  • HERI
  • 2022.08.09
  • 조회수 944

5살 취학과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생일 격차 [유레카]

캐나다에서 아이스하키는 인기 높은 국민스포츠인데, 청소년 명문구단 선수들의 생일을 분석했더니 이색적인 통계가 나왔다. 전체 선수의 40%가 1~3월에 태어났고, 상반기 출생 선수를 합치면 전체의 70%에 이르렀다. 11~12월에 ...

  • HERI
  • 2022.08.03
  • 조회수 943

[아침햇발] ‘아마추어’ 대통령 / 곽정수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의 특별 사면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곽정수 | ...

  • HERI
  • 2022.07.26
  • 조회수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