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우아한 형제들), 에어비앤비, 쿠팡... 이제 우리에게 친숙한 기업들 중 상당수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입니다. '승자독식'의 세계로 불리는 플랫폼 경제에 사회적경제가 접목된다면 어떻게 될까요?자세한 내용은 기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협동조합의 원리와 가치를 디지털 경제에 접목하려는 노력은 ‘플랫폼 협동조합 운동’(Platform Cooperativism)을 통해 퍼지고 있다. 플랫폼을 구성하는 참여자들, 즉 플랫폼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이용자, 노동조합, 지역사회가 주인이 되어 플랫폼 운영방향을 함께 결정하고 수익을 공정하게 공유하자는 사회운동이다.[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플랫폼 협동조합 성공모델 어떤 것이 있나
낮은 수수료, 운영의 민주성, 노동자들의 출자, 공정무역 상품과 친환경 상품의 구매 장려... 성공적인 플랫폼 협동조합들의 사례 엿보기 [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일시: 2019년 4월 22일 (월) 14:30 ~ 18:00
장소: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헬리녹스 홀(Helinox hall)
주최: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센터,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문의: 02-2123-4776(iwsr@yonsei.ac.kr)
등록: 현장등록
시민경제 REVIEW
환경 살리는 패러다임 전환, 지역 사회적 경제에서부터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중독된 무한생산, 자원고갈, 승자독식의 경제논리는 지구환경을 갉아먹으며 번성해 왔다. 그렇다면 분권, 분산, 협력, 공유를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경제가 승자독식 경제의 대안을 제시했듯이 생태, 환경 문제에도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HERI 칼럼
[한귀영의 프레임 속으로]
보궐선거에서 표출된 엄중한 민심 4·3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범여권과 자유한국당의 무승부로 끝났다. 의석 규모는 ‘초미니’지만 이번 선거가 지니는 정치적 메시지는 간단치 않다. 유권자들은 양쪽 모두에게 경고를 던졌다. [클릭해서 기사 더 보기]
아시아미래포럼 미리보기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 조직위원회 회의 열려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 조직위원회가 4월 10일 서울 중구의 한 레스토랑에서 열렸다. 회의에 참석한 조직위원들은 ‘불확실성', '재구성’, ‘포퓰리즘과 포용 정치’ 등 올해 아시아미래포럼의 주제와 연사 선정을 두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클릭해서 내용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