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I 리뷰
[HERI 리뷰] 녹색생활 성공시대 쓰는 천안 목요장터

7000681245_20110427.JPG
» 지난 4월14일 충남 천안시 쌍용동 광명아파트에서 올해 첫 목요장터가 열렸다. 10여 가지의 채소와 달걀, 버섯, 벌꿀 등 인근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 30여 품목이 거래된다. 천안시 농업기술센터 제공
천안의 아파트 단지에서는 목요일마다 특별한 장터가 열린다. 국내 로컬푸드의 선구자로 1993년부터 18년 역사를 이어오고 있는 ‘천안 목요장터’다.

올해 첫 목요장터가 열린 4월14일 충남 천안시 쌍용동 광명아파트의 공터. 농민 10여명이 냉동탑차에 싣고 온 물건의 진열을 채 마치기도 전에, 아파트 안내방송을 듣고 찾아온 주민들로 북적대기 시작했다. 파와 열무, 얼갈이배추, 상추 등의 채소는 물론이고, 무항생제 달걀과 버섯, 벌꿀에 이르기까지 30여 품목이 금세 주민들의 바구니로 옮겨졌다. 장터는 30분 만에 문을 닫고, 농민들은 또다른 아파트단지로 옮겨갔다.



냉동탑차 도입한 뒤 인기 급상승


올해는 농산물유통지도자회(회장 배경수) 회원인 25 농가가 목요일마다 2개 조로 나누어 아파트 25곳을 순회하고 있다. 1조와 2조는 각각 7~8대의 냉동탑차를 보유하고 있고, 한 아파트에서 30분 반짝 장터를 연다. 1조는 아파트 11곳, 2조는 아파트 14곳을 순회한다.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하려고 점심시간에는 각자 집으로 돌아가, 오후에 팔 농산물을 다시 가져온다.

14년째 목요장터에서 벌꿀을 팔고 있는 배경수(51) 회장은 “역사는 18년이지만 상당기간 사업이 들쭉날쭉했다”며 “3년 전부터 아파트 25곳을 순회하는 지금의 규모로 안정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냉동탑차를 도입한 뒤로 신선도가 높아지면서 주민들의 반응이 부쩍 좋아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천안 목요장터는 1993년 판로에 어려움을 겪던 농민들이 농업기술센터와 궁리 끝에 만들어낸 ‘작품’이었다. 농민들은 가장 좋은 농산물을 공급하는 책임을 맡고 농업기술센터에서는 아파트를 섭외하기로 역할 분담을 했다. 천안 농업기술센터의 이현경 지도사는 “지난해에는 농가 30곳에서 모두 5억2천만원의 쏠쏠한 매출을 올렸다”며 “이제는 혹 잘못되거나 부족한 게 없는지 살펴봐 주기만 해도 스스로 굴러갈 것 같다”고 말했다.

달걀을 내다파는 민경호(44)씨는 “가장 품질 좋은 것을 내놓고, 대신 제값을 받자는 것이 우리의 원칙”이라고 말했다. 농민들로서는 좋은 값을 받지만, 중간유통 마진이 없기 때문에 실제 판매는 소맷값의 85% 수준에서 이뤄진다. 농민도 좋고 주민도 좋은 ‘착한 직거래’의 모범인 셈이다.


농산물을 판매하는 회원 농가들은 4월 첫 장터가 열리기 전과 추석 직전에 두차례 주민초청 농장체험 행사를 연다. 소중한 고객들과의 신뢰 쌓기이다. 올해는 4월8일 여러 아파트 부녀회 간부 80명을 농가의 비닐하우스로 초청했다. 실컷 즐기고 돌아갈 때는 직접 수확한 채소를 한 보따리씩 안겨주었고,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버스를 빌린 비용과 점심값을 부담했다.

배 회장은 “주민들과 꾸준히 쌓은 믿음이 목요장터 성공의 가장 큰 자산이 되고 있다”며 “직거래 장터에 참여를 희망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어, 내년에는 1개 조를 더 늘리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초청 농장체험 행사도 호평


로컬푸드 사업에 앞장서온 천안시는 매주 금요일마다 시청의 앞마당을 개방하는 금요장터도 열고 있다. 금요장터에는 전체 25 농가 중 15 농가 정도가 참여한다. 이현경 지도사는 “목요장터는 매출이 많은 대신 차량 유지비가 들어가고, 금요장터는 매출이 적은 대신 수익성이 높다”며 “직거래 장터 지원업무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충남발전연구원의 허남혁 책임연구원은 “천안의 목요장터는 아파트 위주의 우리 주거 실정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독창적인 농민장터 모델”이라며 “우리나라에서 농민장터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준 좋은 사례”라고 평가했다. 허 책임연구원은 “로컬푸드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천안시의 의지도 직거래 농민장터가 뿌리내리는 데 큰 힘이 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대 선임기자

서비스 선택
댓글
로그인해주세요.
profile image
powered by SocialXE
List of Articles

[헤리리뷰 19호] 원가·품질 경쟁력은 기본…지자체 지원도 중요

오픈마켓에서 성공하려면 건강식품 가공업체 목포 고려건강원 이정희 대표는 오픈마켓을 활용해 연 1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고려건강원 제공 지난 2009년 고용노동부는 인증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몇 가지 설문조사를 벌였다...

  • HERI
  • 2011.07.11
  • 조회수 6667

[헤리리뷰 19호] 환경·기후변화서 인권·노동·반부패로 중심이동

사회책임경영 이슈 트렌드 » 2011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평가모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업 사회책임경영(CSR)의 주요 이슈가 변하고 있다. 과거 사회책임경영이 환경·기후변화를 중점적으로 다뤘...

  • HERI
  • 2011.07.11
  • 조회수 6744

[헤리리뷰 19호] 이틀간 열띤 토론…여성이사비율·인권 격론

‘2011 아시아 CSR 전문가위원회’ 어떻게 진행했나 » 한·중·일 사회책임경영 전문가들이 지난 5월29일 서울 중구 라마다 호텔에서 ‘2011 아시아 사회책임경영 전문가위원회’를 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

  • HERI
  • 2011.07.11
  • 조회수 6251

[헤리리뷰 19호]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사업 지속가능성” “양적 확충보다 경쟁력 갖출 수 있게 해줘야”

[대기업 부문장 좌담] 사회적기업 지원 활성화를 위한 과제 » 대기업 사회적기업 관련 부문장들이 6월17일 한겨레신문사 회의실에서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지원 활성화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

  • HERI
  • 2011.07.11
  • 조회수 7295

[헤리리뷰 19호] 사회적기업 지원 활성화를 위한 과제

[기업별 지원 활동] 현대 / 포스코 / SK / LG전자 / 삼성 현대자동차 고용창출서 인프라 지원까지 다양 고용창출, 사업연계, 지역밀착, 인프라 구축 등 4가지 영역에서 사회적기업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 사회적 일자리...

  • HERI
  • 2011.07.11
  • 조회수 7513

[헤리리뷰 19호] 인재 요소 주목…사후 약방문서 사전 위험감축으로

재난 보도의 새로운 대안 » 지난 3월11일 일본 동북부 지역을 덮친 대지진과 해일로 마을 3분의 1이 바닷물에 잠기고 대화재가 났던 미야기현 게센누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2005년 8월 말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

  • HERI
  • 2011.07.11
  • 조회수 7290

[헤리리뷰 19호] “지역정책 핵심은 연계와 협력…갈등 해소는 분권으로”

홍철 지역발전위원장에게 듣는다 지난 수개월간 수도권 이남 지방자치단체들에선 환호와 격앙, 허탈과 분노가 반복되었다. 동남권 신공항,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 이전, 과학벨트 유치 등과 관련해 지자체장, 지역 국회의원들...

  • HERI
  • 2011.07.11
  • 조회수 6934

[헤리리뷰 19호] “민주화운동과 사회적기업…목적은 같습니다”

HERI가 만난 사람 / 안재웅 다솜이재단 이사장 » 안재웅 다솜이재단 이사장. 이정아 기자 안재웅(사진) 목사는 사회적기업 다솜이재단의 이사장이다. 하지만 1970년대부터 면면히 이어져 온 기독교사회운동, 민주화운동의 산증인이...

  • HERI
  • 2011.07.11
  • 조회수 7129

[헤리리뷰 19호] 2011 사회적기업가학교 170여명 수료

» 2011 사회적기업가학교 170여명 수료 . 엔시스콤 제공 ‘2011 사회적기업가학교’ 수료식이 6월25일 성공회대학교 피츠버그홀에서 열렸다. 한겨레신문사와 성공회대가 공동 주최하는 사회적기업가학교는 2009년 문을 연 국내 첫 민...

  • HERI
  • 2011.07.11
  • 조회수 6035

[헤리리뷰 19호] 한겨레경제연-자유기업원 ‘직선토론’

» 한겨레경제연-자유기업원 ‘직선토론’ . 김태형 기자 한겨레경제연구소는 자유기업원과 함께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를 정례적으로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5월부터 약 1년간 매달 한차례씩 열리고 있는 이 토론회는 이름을 ‘...

  • HERI
  • 2011.07.11
  • 조회수 6276

[헤리리뷰 19호] 한·중·일 CSR 공동연구팀 중간발표

» 한·중·일 CSR 공동연구팀 중간발표 .하수정 연구원. 한국·중국·일본의 기업 사회책임경영(CSR) 전문 연구기관인 한겨레경제연구소, 칭화대 리더십센터, 호세이대 유엔글로벌콤팩트연구센터가 5월27일 공동연구 중간발표를 위해 서...

  • HERI
  • 2011.07.11
  • 조회수 6548

[헤리리뷰 19호] 이해관계자간 공유가치 창출로 기업 신뢰 구축

스웨덴의 사회책임경영 흐름 » 세실리아 마르크헤르베르트 스웨덴 농업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 세실리아 마르크헤르베르트 스웨덴 농업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 스웨덴 농업과학대에서 마케팅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기업의 사회...

  • HERI
  • 2011.07.11
  • 조회수 7164

[헤리리뷰 18호] 유기농 16년…믿음 얻고 제값 받고 자연 살리고

[HERI 리뷰] 녹색생활 안성 고삼농협 ‘맞춤형 실익사업’ » 조현선 조합장이 고삼농협의 앞마당에 세워놓은 ‘생명 흙’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그는 “우루과이라운드 시장개방이 이어질 때, ‘무서운 시장개방을 이겨내는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4757

[헤리리뷰 18호] 신선한 로컬푸드 “30분만에 동나요”

[HERI 리뷰] 녹색생활 성공시대 쓰는 천안 목요장터 » 지난 4월14일 충남 천안시 쌍용동 광명아파트에서 올해 첫 목요장터가 열렸다. 10여 가지의 채소와 달걀, 버섯, 벌꿀 등 인근 농민들이 생산한 농산물 30여 품목이 거래...

  • HERI
  • 2011.06.24
  • 조회수 11814

[헤리리뷰 18호] “‘중앙정부는 재원-자치단체는 사람’ 역할분담을”

[HERI Focus]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기초단체장 좌담 » 서형수 사회적기업가학교장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된 지 올해로 4년이 된다. 그간 사회적기업의 수는 빠르게 늘었다. 고용노동부에서 인정한 사회적기업이 500여곳, 지방...

  • HERI
  • 2011.06.24
  • 조회수 19280

[헤리리뷰 18호] 4개국 비재무활동 보고 의무화

앞서나가는 유럽연합 » 스웨덴 SCA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06년 유럽연합은 정기 보고서를 통해 유럽을 사회책임경영의 중심축으로 만들겠다고 선포했다. 2007년 독일에서 있었던 주요 8개국(G8) 정상회담에서는 G8 국가 주식시장에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9064

[헤리리뷰 18호] 갈수록 높아지는 위상…자금·인력 부족 호소

[HERI Think Tank] 한국의 독립 민간 싱크탱크 실태 » 한겨레경제연구소,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등의 독립 민간 싱크탱크와 야 4당 정책연구소, 민주노총 등이 3월7일 ‘한-미 FTA에 대한 진보개혁진영의 선택’ 포럼에서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7028

[헤리리뷰 18호] 될성부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사회책임경영 큰나무 된다

[헤리리뷰] 한겨레경제연구소(HERI)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세상 만들기 프로젝트 » 일러스트레이션 전지훈 현대건설과 애플 중 어디가 더 나은 기업인가? 기업 재무성과를 측정하는 회계규칙과, 그 측정 결과를 공개하는 보고...

  • HERI
  • 2011.06.24
  • 조회수 18849

[헤리리뷰 18호] 영상에 비친 눈물 한 방울, 아시아를 변화시킨다

[HERI Media] 주목되는 방송의 역할 » 17개국이 공동제작해 올 초 방송된 다큐멘터리 가운데 방글라데시 비티브이(BTV)가 제작한 ‘벗어날 수 없는 가난의 굴레’의 한 장면. 한국방송 제공 연말-연초에 방송된 <울지마 톤즈>...

  • HERI
  • 2011.06.24
  • 조회수 12801

[헤리리뷰 18호] 5년새 8배 증가…홍보엔 적극, 외부 소통엔 머뭇

공공기관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실태 최근 공공 사회 전반에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이번 한겨레경제연구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 결과, 공공기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은 꾸준히 증가하고 ...

  • HERI
  • 2011.06.24
  • 조회수 16426